Transmedia and Sungkyunkwan University

DAW 소프트웨어의 UI가 대중음악 창작에 미치는 영향 - Pro Tools의 Edit Window 중심으로

  • 조현진 (로컬멀티플라이 공연예술기획팀)
  • Received : 2018.12.18
  • Accepted : 2019.12.31
  • Published : 2020.01.25

Abstract

Among various tools for pop music composition, what is most frequently used by K-Pop composers is the digital sequencer program, or DAW software (Digital Audio Workstation). When it comes to making commercial music such as K-Pop, the proportion of using these programs is extremely high. By using those software, composers come to undergo an entirely different art creation process. User interface (UI) of the DAW software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process of making music, particularly vis-a-vis usability and visibilit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Avid Pro Tool's UI with a focus on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revealed in relation with the real effect throughout music composition. This study categorizes the UI elements in the Edit Window of the Pro Tools as Grid, Track, Slip, Clip, and Fade. Those categorized elements would be analyzed through Douglas Morgan's Creative-Process theory, thereby clarifying how visual interface of the DAW software functions in music composition practically.

대중음악 작곡가가 시도하는 다양한 작곡 방법 중에서도 DAW 소프트웨어를 통한 작곡 방법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일 것이다. 특히 K-POP 등의 상업 음악에 있어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곡하는 비율은 절대적으로 높은 편이고, 이 과정에서 작곡가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전과는 전혀 다른 양상의 창작 과정을 거친다. 음악창작의 과정에서 DAW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 편의성이나 시각적인 측면에서 작곡가의 창작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Avid사의 Pro Tools에 나타난 UI에 내재된 특성을 음악창작 과정에서 미치는 실제적인 효과중심으로 분석한다. Pro Tools의 Edit Window에 나타난 UI 요소를 Grid, Track, Slip, Clip, Fade로 분류하여 각각을 모건의 예술 창작 과정의 네 단계이론을 통해 대입하는데, 이로써 DAW 소프트웨어의 시각적인 인터페이스가 어떻게 음악창작 현장에서 세부적으로 작용하는지 밝힐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환, 미학의 이해, 문예, 1989.
  2. Colby N. Leider, Digital audio workstation, McGraw Hill Professional, NY, 2004.
  3. Jacques Ellul, 무의미의 제국: 예술과 기술 사회, 하태환 역, 대장간, 2013.
  4. Lev Manovich, 뉴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5. Margaret Pabst Battin, John Fisher, Roland Moore, Anita Silvers, 예술이 궁금하다: 퍼즐과 함께하는 미학산책, 윤자정 역, 현실문화연구, 2004.
  6. Marshall McLuhan,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김상호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7. Michael Chanan, 음악 녹음의 역사: 에디슨에서 월드 뮤직까지, 박기호 역, 동문선, 2005.
  8. Pekka Gronow, Ilpo Saunio, An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recording industry, Continuum, NY, 1999.
  9. Simon Frith, John Street, 케임브리지 대중 음악의 이해, 장호연 역, 한나래, 2005.
  10. 김진호, Sound Forge 기반 컴퓨터 음악 작곡 전략에 대한 연구, 낭만음악, 2008.
  11. 정일진, DAW에 따른 음향분석에 대한 연구: Logic Pro와 Pro Tools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2. Brian Eno, "Studio as a compositional tool", Downbeat, 1983.
  13. Douglas Morgan, "Creativity Today",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Vol. 12, No. 1, 1953, pp.1-54. https://doi.org/10.2307/426297
  14. Jack Glickman, "Creativity in the arts"in Philosophy looks at the arts, Joseph Margolis (eds), Temple University Press, PA, 1987, pp.169-186.
  15. Monroe Beardsley, "On the creation of art",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Vol. 23, No. 3, 1965, pp.291-304 https://doi.org/10.2307/428176
  16. Paul Harkins, "Appropriation, Additive Approaches and Accidents: The Sampler as Compositional Tool and Recording Dislocatio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opular Music, Vol. 1, No. 2, 2010, pp.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