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Regulatory Response Framework in connection with the Regulatory Strength of the Licensing Policy for New Medical Devices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FMEA-

의료기기 신제품의 인허가정책 규제강도에 연계한 규제대응 프레임워크 수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FMEA 적용을 중심으로 -

  • 김교수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의료기기산업학과) ;
  • 류규하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의료기기산업학과) ;
  • 김연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실)
  • Received : 2020.07.16
  • Accepted : 2020.10.2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Due to the spread of Corona 19 around the world, Infectious Disease Medicine and New Medical Devices such as Diagnostic Agent are being rapidly developed and launched, and for the fast supply and demand of these, each country has eased import regulations or has implemented policies for fast approval(NIDS, 2020). On the other hand, New Developed Medical Devices that are not related to New Infectious Diseases, they are still entering the market through strict licensing and licensing regulations, such as delay and cancellation in the test inspection process, etc. Therefore, This Study specialized in the government-managed laws encountered when New Medical Devices enter the market, derive Factors influencing the Strength of Regulations, analyzes the Strength of Regulations, and proposes a Regulatory Response Framework.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search, was applied by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FMEA) Method, Expert Interview(1st): Idea Collection, Expert Interview(2nd): Validation, and Priority through the Application Process of FMEA Method. A Method of Quantifying the Intensity of Regulation was proposed by multiplying the Impact of the Influencing Factors for each stage of regulation and the Burden Impact for each type of Regulatory Affairs to find the Importance of the Regulatory Factors and multiplying the Severity of the Regulatory Impact. The Implications are that major overseas countr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are actively responding with Special Regulatory Policies and Mitigation Policies for fast licensing of New Developed Medical Devices in accordance with Corona 19. It is expected that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regulations and measures to respond to regulations will be implemented so that a more proactive and preemptive response to the regulatory process of the licensing policy for New Devices can be achieved.

전 세계적인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진단시약 등과 같은 감염병 의료 및 의료기기 신제품이 비약적으로 개발·출시되고 있으며, 이의 빠른 수급을 위해 각 국가들은 수입규제를 완화하거나 신속한 인·허가를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NIDS, 2020). 반면, 신종 감염병과 관련 없는 신개발 의료기기의 경우 오히려 시험검사 등 지연 및 취소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등 여전히 엄격한 인·허가규제를 통해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기신제품이 시장에 진출하면서 마주하게 되는 정부소관법률에 특화하여 규제강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규제강도를 분석하여 규제대응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FMEA)기법 적용, 전문가인터뷰(1차):아이디어수집, 전문가인터뷰(2차) : 타당성검증의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FMEA기법의 적용프로세스를 통해 우선 규제단계별 영향요인의 발생영향도와 규제사무 유형별 부담영향도를 곱하여 규제요인의 중요도를 구하고, 규제영향 심각도를 곱하는 방식으로 규제강도 정량화방법을 제시하였다. 시사점은 최근 해외 주요 국가들 및 우리나라 정부가 코로나19에 따른 신개발의료기기의 신속한 인·허가를 위한 특별규제정책 및 완화정책을 펼치며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시점에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통해 향후 기존 의료기기 신제품의 인·허가 정책 규제프로세스에도 보다 적극적이며 선제적인 대응이 될 수 있도록 규제의 개선방향과 규제대응 방안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식(2017), "보안관점에서 정보자산 관리프로세스개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권식.안승구.이종한.이광훈(2016), "규제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우리나라 제조업 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규제연구」, 제25권 제1호, pp. 91-111.
  3. 김기삼(2018), "정보보안 위험성향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광민(2011), "Likert 척도", 「가정의학회지」, 제32권 제1호, pp.1-2
  5. 김순창(2011), "IEC 60601-1 3판 관련규격(공통규격, 보조규격, 개별규격)의 국내 의무적용 방안 마련 연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p.9-36.
  6. 김성택.서성원.정소연.양영순(2011), "선박 의장시스템의 위험도 평가 프레임워크", 「대한조선학회지」,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pp.158-164
  7. 노민리.차완규.안태호(2019), "중소/벤처기업의 특허전략 프레임워크에서 FMEA를 적용한 특허리스크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제22권 제3호, pp.83-91
  8. 박진아.이경숙(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요구도에 관한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제35권 제3호, pp27-54
  9. 배현아(2015), "새로운과학기술도입과 의료기기해당성 판단",「과학기술법연구」, 제21권 제3호, pp. 123-156 https://doi.org/10.32430/ilst.2015.21.3.123
  10. 식품의약품안전처(2018), "보도자료 의료기기 규제혁신방안('18.7) 과제진행 상황", 2019. 6.4. 베포
  11. 신경림.조명옥.양진향(2004), 「질적 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2. 심영섭(2013) "창의와 융합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혁 방향",「규제연구」,제22권 특집호, pp. 3-35
  13. 안승구.이광훈.김권식(2018), "기업 혁신활동 단계별 기술규제가 중소기업 기술혁신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57권 제2호, pp.159-195
  14. 이광호 외(2009), "기업의 기술규제 실태조사 및 총괄현황 분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5. 이종한.최무현(2004), "국민의 정부의 규제개혁 성격에 관한 실증 연구-규제개혁 위원회 등록규제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중심으로",「한국정책학회보」, 제13권 제2호, pp.37-66
  16. 이종한.김신(2009), "산업별 규제체계 평가에 관한 연구: 규제거버넌스와 성과의 상관관계 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7. 이종한(2013), "규제성과의 측정 및 활용에 관한 연구",「한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09
  18. 이광훈.김권식(2016), "규제비용관리제를 적용한 미래창조과학부 소관 등록규제의 규제부담 실증분석", 「규제연구」, 제25권 제2호, pp. 81-111
  19. 이성숙.김애화(2008),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본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특수교육논총」, 제20권, pp.113-137
  20. 이유미.김예상(2011), "FMEA기법을 이용한 초고층 커튼윌 공사의 공기지연 관련 핵심리스크요인 분석", 「대한건축학술논문집」, 제27권 제1호, pp.113-137
  21. 이현철.여상구.고성석(2008), "위험도기반 건설경영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구조계 제28권 제1호, pp.681-684
  22. 우태희.박재현(2012), "FMEA를 이용한 국가기술자격의 발전방향",「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53-263 https://doi.org/10.12812/KSMS.2012.14.2.253
  23. 유진환.김대흠.고재욱(2003), "FMEA기법을 이용한 화학제품의 PL대응체계 연구",「한국가스학회지」, 제7권 제4호, pp.30-35
  24. 오형술(2017), "제조물 책임법 대응을 위한 품질 리스크 진단모델 개발",「한국산업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제40권 제3호, pp.27-37
  25.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6,17), "2016년,2017년 의료기기산업 분석보고서"
  26.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2019),「의료기기규제과학전문가」, 좋은책 차오름
  27.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2020), "2020년 글로벌의료기기규제정책 분석 보고서"
  28.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2020), "코로나19로 인한 의료기기 임상시험영향과 대응전략"
  29. 류규하(2016), 「의료기기 글로벌 허가인증제도」, 북랩
  30. 한국행정학회(2017), "규제비용관리제 종합평가"
  31. 한국개발연구원.한국행정연구원.국무조정실(2014), "규제비용총량제 매뉴얼"
  32. 한국행정연구원(2015), "경제적 규제와 사회적 규제의 분류지침 및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15-01
  33. 한성훈.임시영(2008), "규제완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Montly Bulutin, p59-99
  34. 허영.박경환.양종수(2013), "의료기기 산업현황 및 R&D 전략", 「전자공학회지」, 제40권 제7호, pp. 68-76
  35. Bahrami, M., D. H. Bazzaz, and S. M. Sajjadi (2012), "Innovation and improvements in project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Using FMEA techniqu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41 pp. 418-425 https://doi.org/10.1016/j.sbspro.2012.04.050
  36. Cabrera, D., Mandel, J. T., Andras, J. P., and Nydam, M. L. (2008). What is the crisis? Defining and prioritizing the world's most pressing problems.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6(9), 469-475. https://doi.org/10.1890/070185
  37. Case, K., A. Nor, and P. C. Teoh (2010), "A diagnostic service tool using FMEA,"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23(7), pp.640-654. https://doi.org/10.1080/0951192X.2010.486007
  38. Chuang, P. T. (2007), "Combining service blueprint and FMEA for service design,"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27(2), pp.91-104. https://doi.org/10.1080/02642060601122587
  39. Greenbaum, T. L. (1998). The handbook for focus group research. Sage.
  40. Krueger, R. A.(1998).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Focus Group Kit 6. SAGE Publication: CA
  41. Krueger, R. A. and Casey, M. A. (2000).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Sage.
  42. Lee, C. H., K. W. Yang, and S. B. Kim (2012), "Reestablishment of RPN evaluation method in FMEA procedure for K2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0(3), pp.306-315 https://doi.org/10.7469/JKSQM.2012.40.6.306
  43. Morgan, D.I.(1998). The Focus Group Guidebook:Focus Group Kit 1. SAGE Publication: CA
  44. Miu, P. and B. Ozdemir.(2006),"Basel Requirements of Downturn Loss Given Default: Modeling and Estimating Probability of Default and Loss Given Default Correlations.", The Journal of Credit Risk 2(2):43-68. https://doi.org/10.21314/JCR.2006.037
  45. Miu, P. and B. Ozdemir.(2008), Stress-Testing Probability of Default and Migration Rate with Respect to Basel II Requirements
  46. Miu, P. and B. Ozdemir.(2009), Basel II Implementation: A Guide to Developing and Validating a Compliant, Internal Risk Rating System. New York: McGraw-Hill
  47. Ogus, Anthony I.(1994), Regulation: Legal Form and Economic Theory, Oxford,UK: Clarendon Press.
  48. OECD(2015), "Better Policies Series : Korea policy priorities for a dynamic inclusive and creative economy-KR"
  49. Stamatis, D. H.(2003),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 FMEA from Theory to Execution", Milwaukee ASQC Qual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