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gal Issues Regarding the Civil Injunction Against the Drone Flight

토지 상공에서의 드론의 비행자유에 대한 제한과 법률적 쟁점

  • Received : 2020.06.14
  • Accepted : 2020.06.24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civilian drone world has evolved in recent years from one dominated by hobbyists to growing involvement by companies seeking to profit from unmanned flight in everything from infrastructure inspections to drone deliveries that are already subject to regulations. Drone flight under the property right relation with the land owner would be deemed legal on the condition that expeditious and innocent passage of drone flight over the land be assured.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enshrines the concept of innocent passage through a coastal state's territorial sea. Passage is innocent so long as it is not prejudicial to the peace, good order or security of the coastal state. A vessel in innocent passage may traverse the coastal state's territorial sea continuously and expeditiously, not stopping or anchoring except in force majeure situations. However, the disturbances caused by drone flight may be removed, which is defined as infringement against the constitutional interest of personal rights. For example, aggressive infringement against privacy and personal freedom may be committed by drone more easily than ever before, and than other means. The cost-benefit analysis, however, has been recognjzed as effective criteria regarding the removal of disturbances or injunction decision. Applying that analysis, the civil action against such infringement may not find suitable basis for making a good case. Because the removal of such infringement through civil actions may result in only the deletion of journal article. The injunction of drone flight before taking the information would not be obtainable through civil action, Therefore, more detailed and meticulous regulation and criteria in public law domain may be preferable than civil action, at present time. It may be suitable for legal stability and drone industry to set up the detailed public regulations restricting the free flight of drone capable of acquiring visual information amounting to the infrigement against the right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토지 상공을 비행하는 드론이 토지 소유권에 미치는 방해의 위법성을 판단함에 있어서는 토지 소유자의 이익과 드론 비행의 이익에 대한 추상적 이익형량이 아니라 토지 소유자의 수인의무의 성립, 즉 수인한도를 초과하는 방해인가를 물음이 적절한 판단 기준이라고 판단된다. 그 수인한도는 토지 소유자의 정당한 이익이 침해되는 정도에 대한 것이고, 그 정당한 이익의 존재는 관념적 방해가 발생하는 토지 상공일 것이다. 그러한 방해는 드론이 토지에 얼마나 가까이 비행하는가와 얼마나 토지 상공에 머무르는가의 함수 관계로 측정될 수 있다. 토지 상공에 머무르지 않고, 통과만 한다면, 드론이 토지에 가까이 접근했더라도 관념적 방해의 발생 가능성은 줄어들고 발생량도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또는 드론이 토지 상공을 느린 속도로 통과한다면, 그 고도가 높을 수록 관념적 방해의 발생 가능성은 줄어들고 발생량도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드론이 토지 상공을 비행하더라도 인격권으로서의 이익에 침해를 하지 않는, 즉, 재산법적 법률 관계하에 비행한다면, 그 위법성은 그 침해가 수인한도를 초과하는가에 관한 개별 사안별로 판단됨이 타당하고, 그렇다면, 드론이 토지 상공을 마치 국제 해양법상 영해내의 외국 선박에게 인정되는 "무해통항권"에 비유될 수 있는 "무해하게 신속히 통과하는 비행"을 한다면 토지 상공의 드론 비행에 위법성은 없다고 판단된다. 우리 민법상 사생활의 침해로 인한 금지 및 예방청구에 관한 명문 규정은 없다. 그러나 사생활에 관한 권리는 헌법상의 기본권이고, 정보수집과 이용 매개체의 폭증 속에서, 소극적인 방어권만이 아니라 보호를 위한 청구권적 성격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드론이 추적하려는 자와 피하려는 자간의 균형 관계를 무너뜨리는 사정을 감안할 때, 보호이익의 주체가 청구권적 성격의 방어권을 가질 당위성이 찾아진다. 그래서 드론이 토지상공을 무해하고 신속히 통과하는 것을 넘어서서, 인격권으로서의 사생홯보호이익을 침범하는 경우에, 드론 비행의 위법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추상적 이익형량이 아니라, 기본권의 우월성 기준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인격권으로서의 사생활보호이익을 침해함이 없이, 재산법적 법률관계하에서 드론이 타인의 토지 상공을 비행하더라도, 토지의 소유자가 그 비행의 금지를 구할 사법적인 근거는 약하다고 판단된다. 드론이 해당 토지 상공을 집중적으로 배회하거나 또는 머물거나, 또는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비행을 하지 않는 한, 그러한 비행이 수인한도를 초과한다고 입증되기도 어렵고, 따라서 위법하다고 판단되기도 어렵다. 즉 신속하고 무해한 통과의 조건하에서 드론의 비행의 자유가 민사법상 제한될 근거가 약하다고 판단된다. 반면에, 사생활보호이익을 침해하는 영상정보의 획득 등에 사용되는 드론 비행의 경우에는, 정보 주체의 방어권을 인정해야 할 당위성이 크다고 판단되며, 기본권의 상충시에도 인격권으로서의 사생활보호이익이 더 중시됨이 법리상 타당하다. 이러한 법이론적 배경을 고려할 때, 사생활보호이익을 침해할 정도의 성능을 갖춘 드론과 그렇지 않은 드론을 공법의 차원에서 분류하고, 각각에 적용되는 공법적 기준을 제정하여 시행함이 법적 안정성 차원에서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준, "토지 소유권이 토지 상공에 미치는 범위", 민법판례연구 I, 박영사, 2019. 6. 28, 86-91면
  2. 권영준, "초상권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그리고 이익형량을 통한 위법성 판단", 민사판례연구 31, 한국민사판례연구회, 박영사, 2009. 2. 28, 524-525면
  3. 권태상, "개인정보 보호와 인격권 -사법(私法) 측면에서의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집, 2013년, 39면
  4. 김선이, "무인항공기의 사생활 침해에 관한 법적 고찰", 동아법학 제65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267-299면
  5. 김선이, "무인항공기의 사생활 침해에 대한 법적 대응: 미국 정책,입법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29권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4.12.30.
  6. 김성미, ".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5권제1호, 2020.3.31, 3-32면
  7. 김일환, "한국헌법상 일반적 인격권 존재여부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2000 18면
  8. 김진우, "독일법상의 소유물방해제거청구권의'방해'", 재산법연구 제29권 제4호, 한국재산법학회, 2012, 40-43면
  9. 김형석, "소유물방해배제청구권에서의 방해의 개념 -대법원 2003.3.28. 선고, 2003다 5917 판결의 평석을 겸하여", 법학 제45권 제4호 (2004),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402-403면.
  10. 류창호, "토지소유권의 상하범위에 관한 연구 - 지하공간에 대한 한계심도와 대심도의 차별적 권원취득을 중심으로 -", 외법논집 제7집(1999), 673
  11. 류창호, "드론의 운행과 토지소유권의 침해", 경희법학, 제50권 제4호, 2015. 232-279면
  12. 박신욱, "무인항공기에 의한 소유권 및 사생활 침해에 관한 연구", 민사법학 제70호 (2015.3), 423면
  13. 박진완, "우리 헌법상의 일반적 인격권의 보장체계",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2004, 30면
  14. 안경희, "관념적 침해에 대한 소고", 재산법연구 제20권 제2호, 2003년, 75면"
  15. 윤용석, "생활방해와 소유권의 침해",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2006, 36Page
  16. 이명웅, 헌법 제23조의 구조, 헌법논총 제11집, 2000, 315-317쪽
  17. 이종덕, "증강현실 기술의 활용과 물권 침해 - 포켓몬GO 게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2017, 25면
  18. 임규철, "정보화 사회에서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헌법학연구, 제8권 제3호
  19. 정연덕, "Google 'Street View'와 개인정보 보호의 법적 문제점", 한국정보법학회, 정보법학, 2009, 23면
  20. 조성훈, "주거침입과 정보통신망침입 : 보호법익과 '침입'의 해석론을 중심으로", 선진상사법률연구, 통권 제80호 (2017.10) 333면
  21. 한승수, "항공기 비행에 의한 피해와 민사적 쟁점 - 대법원 2016.11.10. 선고 2013다 71098 판결의 검토", 중앙법학회, 중앙법학 제22집 제1호 2020년 3월 109면
  22. 허완중,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과 기본권보호의무 그리고 기본권충돌의 관계", 헌법재판소, 헌법논총 25집, 2014, 5-64 page
  23. Hillary B. Farber, "Keep Out! The Efficacy Of Trespass, Nuisance And Privacy Torts As Applied To Drones", 33 GASTULR 359, Georgia State University Law Review, 2017 winter
  24.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0
  25. 곽윤직 편집대표, 民法注解[V], 박영사, 1992
  26.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0년
  27. 미국 연방항공청 입법보고서 "Operation and Certification of Small Unmanned Aircraft Systems 81 FR 42064-012016 WL 3477138June 28,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