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odeling of Teaching Methods of Acting Using Brecht's Acting Tools - An Alternative to the Loss of Presence of Repetitive Representational Acting -

브레히트 연기실행도구를 이용한 연기교수법 모형 개발 연구 - 반복적 재현연기의 현존성 상실의 대안으로 -

  • Lee, Ji-Eun (Division of Performing Art and Moving Image, Semyung University)
  • 이지은 (세명대학교 공연영상학부)
  • Received : 2020.09.23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paper start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the need for a link between text-centered acting and body-centered acting. This study is focused on Brecht's theory of acting to overcome loss of presence by repetition which have been discussed many times by not only actors, but also acting educators. Brecht's acting theory has already been mentioned by many researchers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actor training.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ractical applicabl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actual practice of Brecht acting and possibility that his acting theory can serve as a link between text and body-centered acting theory. As a research method, we first conduct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concepts and limitations of text-centered representational acting and body-centered post-drama acting. Then distinguish between text and body-centered acting tools among Brecht's epic theatre, to summarize the terms and concepts he uses and to identify the existing effects he reaches while acting.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n teaching model that transforms and develops Brecht's acting theory through the writer's teaching experience.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its effectiveness becau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writer's experience. We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help the diversity of acting education by developing in-depth insights on Brecht acting theory and various models of acting teaching methods.

본 연구는 텍스트 중심의 연기론과 신체 중심의 연기론의 연결링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하며 출발한다. 배우뿐만 아니라 연기교육자에 의해서도 수차례 논의되어 온 재현적 반복 연기를 통한 현존성 상실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줄 방안으로 브레히트의 연기론을 연구한다. 브레히트의 연기론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종래의 배우훈련의 대안으로써 이미 언급된 바 있지만 실제 적용이 가능한 연기 훈련방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으로 브레히트 연기법의 실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목표한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텍스트 기반의 모순 찾기와 신체 중심의 브레히트 연기론을 연구하고 그의 연기론이 텍스트와 신체 중심 연기론의 연결링크로써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텍스트 중심의 재현적 연기론과 신체 중심의 포스트드라마 연기론의 개념과 한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그리고 브레히트의 서사적 연기 중에서 텍스트에 중점을 둔 연기실행도구와 신체에 중점을 둔 연기실행도구를 구분하여 그가 사용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고 연기실행의 과정에서 도달하는 현존적 효과에 대해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필자의 지도경험을 바탕으로 브레히트의 연기이론을 변형하여 개발한 연기교수법 학습모형을 제안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모형은 필자의 지도경험만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그 효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브레히트 연기론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다양한 연기교수법 모형을 개발을 통해 현대 연기교육의 다양성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세명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엄옥란(2004). 재현적 연극에서 배우의 무대 위 현존 상태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 김기란(2019).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연기 개념과 배우의 정체성. 드라마연구, 0(59): 5-36.
  3. 김종국(2019). 브레히트 연기론의 영화적 변용 양상.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1): 59-67.
  4. 안재범(2014). 연기개념의 '포스트'적 변환에 관한 고찰. 한국극예술연구, 0(46): 267-303.
  5. 김현희(2015). 무대에서의 현존을 위한 배우 훈련 -무대동작을 중심으로-. 연극교육연구, 26(-): 5-37.
  6. 서나영(2017). 스타니슬랍스키 연기론의 비판적 고찰. 연극교육연구, 30(-): 97-130.
  7. 김태훈(2005). 스타니슬랍스키의 신체적 행위법(The method of physical action)을 통한 연기교육 교수법 모형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연극학, 0(26): 111-160.
  8. 김방옥(2004). 한국연극의 사실주의적 연기론 연구. 한국연극학, 0(22): 147-214.
  9. Hodge, A.(2010). Actor training. New York : Routledge. (김민채 역(2017). 배우훈련. 서울: 동인.)
  10. Diderot, D.(1981). Paradoxe sur le comedien. Paris: Garnier-Flammarion. (주미사 역(2001), 배우에 관한 역설. 서울: 문학과지성사.
  11. 이재민(2014). 뜨거운 배우와 차가운 배우. 한국연극학, 1(54): 241-278.
  12. 서나영(2017). 스타니슬랍스키 연기론의 비판적 고찰. 연극교육연구, 30(-): 97-130.
  13. 심재민(2010). 포스트드라마의 몸: 현상학적인 몸의 현존 방식에 대한 레만의 해석. 한국연극학, 0(42): 157-191. https://doi.org/10.18396/KTSA.2010..42.005
  14. 권경희(2014). 연기의 기술적, 의식적 리미널리티(Liminality)와 배우의 아우라의 상관성 -물질성 탐색의 한 과정으로서의 개념적 이해-. 한국연극학, 1(53): 31-56.
  15. 서나영(2018). 브레히트의 학습극(Lehrstuck)을 통해 본 배우의 비판적 사고 훈련. 연극교육연구, 33(-): 243-267.
  16. 이지은(2018). '제시적 연기'를 활용한 뮤지컬 연기법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105-114.
  17. Brecht, B.(2003). Werke : grosse kommentierte Berliner und Frankfurter Ausgabe. Berlin : Aufbau-Verlag. (송윤엽, 김길웅, 김정희, 박영구, 오성균 역, et al. (2005). 브레히트의 연극 이론. 서울: 연극과 인간.)
  18. Brecht, B.(2003). Werke : grosse kommentierte Berliner und Frankfurter Ausgabe. Berlin : Aufbau-Verlag. (송윤엽, 김길웅, 김정희, 박영구, 오성균 역, et al. (2005). 브레히트의 연극 이론. 서울: 연극과 인간.)
  19. Brecht, B.(2000). Schiriften zum theater. Berlin : Suhrkamp. (김기선 역. (2020). 브레히트, 연극에 대한 글들. 서울: 지만지드라마.)
  20. Boal, A.,(1992). Games for actors and non-actors. New York : Routledge. (이효원 역. (2003). 배우와 일반인을 위한 연기훈련. 서울: 울력.)
  21. 송동준(1993). 브레히트의 서사극.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2. 김대현(1999). 배역창조에 있어서의 '행동'에 관한 연구(1). 연극교육연구, 3(-): 67-88.
  23. Hodge, A.(2010). Actor training. New York : Routledge. (김민채 역(2017). 배우훈련. 서울: 동인.)
  24. 서나영(2018). 브레히트의 학습극(Lehrstuck)을 통해 본 배우의 비판적 사고 훈련. 연극교육연구, 33(-): 243-267.
  25. 송동준(1993). 브레히트의 서사극.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6. 김대현(1999). 배역창조에 있어서의 '행동'에 관한 연구(1). 연극교육연구, 3(-): 67-88.
  27. 송동준(1993). 브레히트의 서사극.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