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irtual Instrument Tone Comparisons Through Harmonics Analysis - Focused on Sogeum and Flute -

배음 분석을 통한 가상악기의 음색비교 - 소금과 플룻을 중심으로 -

  • 성기영 (중부대학교 실용음악학 전공)
  • Received : 2020.09.24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Since 1964, research and improvement projects on Gugak instru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modernize, standardize, and scientificize them, but their inherent problems of Gugak instruments have failed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It seems that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is is that the study of instrumental acoustics on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was not preceded. In Gugak orchestra, Sogeum used in concertos and solo music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plays the similar role in Western orchestras due to its clear tone and high sound range. In this paper, the sound colors of Sogeum and flute, which sound similar, were analyzed through the their harmonics distribution and sound structures of the instruments. This showed that the overall tone was richer and softer than Sogeum, and that the tones of the two instruments sounded similar due to the similar composition of harmonic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usical instrument acoustical researches on various Gugak instruments will continue to help popularize and globalize Gugak instruments.

1964년부터 국악기의 현대화, 표준화, 과학화 등을 위해 국악기에 대한 연구와 개량사업이 추진되었으나, 국악기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러한 주요 원인중 하나는 국악기에 대한 악기 음향학 연구가 선행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악기 중 협주곡이나 독주곡에서 사용하고 있는 소금은 맑은 음색과 높은 음역으로 인하여 국악관현악단에서도 서양 오케스트라에서의 플룻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악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슷한 음색으로 들리는 소금과 플룻의 음색을 악기가 가지고 있는 배음의 분포와 구조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음색은 소금에 비하여 플룻이 풍부하고 부드럽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고음으로 갈수록 배음들의 비슷한 구성으로 인하여 두 악기의 음색이 비슷하게 들린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는 다양한 국악기들에 대한 악기 음향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국악기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중부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경향신문(2018). 창간기획-한류20년의 발자취, 2018년 10월4일.
  2. 이유정(2020). 신한류 콘텐츠로서 국악퓨전밴드의 가능성 모색.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3): 323-331.
  3. 국립국악원(2017). 국립국악원소장 개량악기 조사보고서. 국립국악원.
  4. 송혜진(2002). 국악 이렇게 들어보세요. 다른세상.
  5. 임진옥(1991). 당적과 소금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혜진(2011). 소금의 효율적 지도 방안. 국악교육연구, 5(2): 25-66.
  7. 김선영(2009). 소금 연주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유기준(2002). 소금협주곡 <길>의 분석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권용미(2007). <파미르수상곡>의 선율 분석 및 연주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한충은(2018). 소금협주곡1번 '바람으로부터' 분석 -소금 solo선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주연(2001). 대금과 플룻의 음색 비교 분석.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강성훈(2013). 음향제작기술. SOUNDMEDIA.
  13. 악기사전편집위원회(2000). 세계악기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4. 국립국악원(2018). 창작을 위한 국악기 이해와 활용. 국립국악원.
  15. 강상구(2015). 한국 TV 역사 드라마의 배경 음악을 통해 본 음악의 정체성 연구 -추노, 동이, 해를 품은 달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9(3):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