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부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방사선방어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 및 교육요구도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and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f Radiation Protection amo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Students for Life Care

  • 김승국 (호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 고대식 (호남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Kim, Seong-Guk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
  • Ko, Dae-Sik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Honam University)
  • 투고 : 2020.09.22
  • 심사 : 2020.10.27
  • 발행 : 2020.10.31

초록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방사선 방어에 관한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방사선 방어를 위한 안전관리의 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 244명을 분석한 결과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점수는 9.50점, 방사선 방어 태도 점수는 30.24점이었다.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과 태도 모두 방사선 방어 교육을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지식과 태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방사선 방어에 대한 태도 점수와 지식 점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r=.472, p<.000),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지식 점수가 높아질수록 태도 점수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 방어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6.1%, 교육요구는 87.3%, 참여 의향은 82.0%, 교육시기는 2학년이 54.9%로 가장 높았다. 교육방법은 시청각 교재를 활용한 강의가 59.04%로 가장높았고, 강연자는 방사선사가 77.45%로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점수와 태도 점수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요구와 참여 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방사선사가 시청각 교재를 활용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and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f radiation protection amo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students for life car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adiation protection and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personalized educational programs for safety management in radiation protection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stud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bout radiation protection and attitude toward i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score and knowledge score regarding the radiation protection (r=.472, p<.000). In participation intention into the education about the radiation protection, 82% of the responders said that they had participation intention. In time when they are to be educated, 2nd graders was the highest at 54.9%, in instructional method, lecture with audiovisual materials was the highest at 59.04%, and in lecturer, radiological technologist was the highest at 77.45%. It could be found from such findings that emergency medical services students' life care of education needs for radiation protec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were high and concluded that safety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radiation protection is required with accurate knowledge about radiation protection and positive attitude and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s, radiological technologist's utilizing the audiovisual materials for instruction is the most effec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윤정애, 윤영숙(2011). 치과위생사와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방사선안전관리 지식 및 태도에 대한 비교. 한국치위생학회지, 11(5): 729-739.
  2.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73(ICRP 73) (1998). Radiological Protection and safety in medicine. ICRP, 5-50.
  3. Auguste, P., Baton, P., Hyde, C., & Robert, T.E.(2011). An economic evaluation An economic evaluation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for the diagnosis of breast cancer recurrenc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5(18): 1-54. https://doi.org/10.3310/hta15suppl1-01
  4. 보건복지부(2018). 2017년 의료방사선 관련종사자 피폭선량 통계연보 발간 보도자료.
  5. Mahesh, M.(2001). Fluoroscopy:patient radiation exposure issue. Radiographics, 21(4): 1033-1045. https://doi.org/10.1148/radiographics.21.4.g01jl271033
  6. 도경현(2013). 저선량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사협회지, 54(12): 1253-1261. https://doi.org/10.5124/jkma.2011.54.12.1253
  7. Information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2001). Radiation: A review of human carcinogens. In IARC Monograph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Humans, 100D: 1-362.
  8. Lee, M.S., & Oh, K.S.(2017). Effects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by Phytoestrogen in Human Breast Cancer Cell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1(2): 271-278.
  9. 보건복지부(2018). 2018년도 중앙응급의료통계연보.
  10. 김승욱, 안병주(2018). 일체형 방어벽 제작을 통한 이동형 엑스선 발생기의 차폐능 평가.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12(7): 895-908.
  11. Ciraulo, D.L,, Marini, C.P., Lloyd, G.T. & Fisher, J.(1994). Do surgical residents, emergency medicine physicians, and nurses experience significant radiation exposure during the resus citation of trauma patients?. J Trauma, 36(5): 703-705. https://doi.org/10.1097/00005373-199405000-00018
  12. Simpson, A.K., Whang, P.G,, Jonisch, A., Haims, A., & Grauer, J.N.(2008). The radiation exposure associated with cervical and lumbar spine radiographs. J Spinal Disord Tech, 21(6): 409-412. https://doi.org/10.1097/BSD.0b013e3181568656
  13. 이현경, 박정임(2017). 우리나라 응급의료센터 응급구조사의 직업적 방사선 노출.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7(3): 170-179. https://doi.org/10.15269/JKSOEH.2017.27.3.170
  14. 김유정, 안희철, 손유등, 안지윤, 박승민, 이원웅, 이영환(2013). 응급실에서 이동식 단순X-선 검사와 피폭선량과의 상관관계 : 코호트 연구. 대학임상독성학회지, 11(2): 101-105.
  15. 질병관리본부(2016). 2016년 진단방사선분야 종사자를 위한 방사선안전 가이드라인.
  16. 윤보영(2019). 내시경하 중재적 방사선시술시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행위 영향 요인. 울산대학교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윤수정, 오진아, 임미해(2016). 간호학생과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한국콘텐츠학회지, 16(10): 563-572.
  18. Dumonceau, I.M., Garcia-Fernandez, F.J., Verdun, F.R., Carinou, E., Donadille, L., Damilakis, J., Mouzas, I., Paraskeva, K., Ruiz-Lopez, N., Struelens, L., Tsapaki, V., Vanhavere, F., Valatas, V., & Sans-Merce, M.(2012). Radiation protection in digestive endoscopy: European society of digestive endoscopy guideline. Endoscopy, 44(4): 408-421. https://doi.org/10.1055/s-0031-1291791
  19. Giannoudis, P.V., McGuigan, J., & Shaw, D.L. (1998). Ionising radiation during internal fixation of extracepsular neck of femur fractures. Injury, 29(6): 469-472. https://doi.org/10.1016/S0020-1383(98)00090-4
  20. Mehlman, C.T., & DiPasquale, T.G.(1997). Radiation exposure to the orthopaedic surgical team during fluoroscopy: "how far away is far enough?". Journal of Orthopaedic Trauma, 11(6): 392-398. https://doi.org/10.1097/00005131-199708000-00002
  21. 한은옥(2002).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조사 :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조현철(2004). 혈관조영실에서 근무하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선량 측정과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인식과 행동조사. 고려대학교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정훈, 고성진, 강세식, 최석윤, 김창수(2011). 방사선사의 방사선/능에 대한 지식, 인식, 행위 분석. 대한방사선과학회지, 34(2): 123-129.
  24. 한은옥(2007). 의료기관방사선종사자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 대한방사선방어학회지, 32(2): 89-96.
  25. 최정임(2016).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 지식, 태도 및 행위에 관한 연구 : 수술실과 중환자실 중심으로. 가야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윤영숙(2018).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안전관리 지식, 태도 및 행위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연구학회지, 2(3): 1-10.
  27. 강성금(2013). 수술실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과 방사선 방어행위에 대한 인식 및 수행. 류마티스건강학회지, 20(3): 247-257.
  28. 이윤주(2014). 대학병원 간호사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홍선미, 신성희(2014). 내시경실 간호사의 방사선피폭 방어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상간호연구, 20(2): 177-188. https://doi.org/10.22650/JKCNR.2014.20.2.177
  30. 김선주(2004). 치과 의료기관 종사자의 방사선 방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 한국치위생학회지, 4(1): 15-30.
  31. 윤요상(2015). 일부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방사선에 대한 피폭방어 행위의도 관련요인. 조선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한국동위원소협회(2011). 한권으로 끝내는 방사선장해방어, 서울.
  33. Dorevitch, S., & Forst, L.(2000). The occupational hazards of emergency physicians. Emergency Medicine, 18(3): 300-311.
  34. Labar G,A.(1992). healthy dose of worker protection. Occupational Hazards, 54: 21-26.
  35. 오효선(2015). 군병원 방사선 관계종사자의 방사선안전관리에 대한 지식, 행위, 인식에 대한 연구. 건양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