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Lower Limb Exercise Program on the Backrest Chair in College Students with Low Back Pain

등받이 유무에 따른 하지 운동프로그램이 허리통증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Kim, Yoon-Hwa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unjang University) ;
  • Seo, Tae-Hwa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김윤환 (군장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서태화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20.09.16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with low back pain to find out how a backrest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pain and balance of students. Thirty-two students at K University in Gwangju City were randomly classified with backrests and without backrests group respectively. Each group conducted the program for lasted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30 minutes for four weeks. Visual Analog Scale (VAS) was measured for pain assessment before and after arbitration, and the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was measured for functional disability assessment. TETRAX is used to measure the weight distribution index and posture st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he Korean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and weight distribution ind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ver time, but the posture stabilit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ower limb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in back pain, dysfunction and weight distribution index, and it is believed that the pain reduction is significant when performed by distal movement in the area of back pain, It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reduce low back pain in college students who spend a lot of time sitting down.

본 연구는 등받이 유무에 따른 하지 운동프로그램이 허리통증이 있는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균형능력, KODI, VAS 검사를 이용하였다. 광주광역시 소재 K대학교 학생 32명을 대상으로 4주간 탄력밴드를 이용한 하지 운동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등받이의 유무에 따른 집단 별 16명씩 무작위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균형능력과 KODI 점수에서는 집단과 시간에 의한 상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VAS 점수에서는 집단과 시간에 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중재 후에 균형능력, KODI, VAS 점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등받이 유무와 상관없이 의자에 앉아서 시행하는 하지운동 프로그램이 오랜시간 앉아서 생활하며 허리통증이 있는 학생과 직장인에게 일상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으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VanMiddelkoop, M.R., Verhagen, S.M., & Verhagen, A.P.(2010). Exercise therapy for chronic nonspecific low-back pain,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4(2): 193-204. https://doi.org/10.1016/j.berh.2010.01.002
  2. Anthony, H.W.(199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and sciatica, American. Family Physician, (5): 1333-1341.
  3. 김정헌, 허진강, 고태성(2009). 물리치료사의 작업관련 요통의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대한치료과학회지, 1(1): 15-23.
  4. 이상철, 이대택(2007). 요통환자의 운동치료 및 효과에 관한 고찰, 운동학학술지, 9(1): 69-78.
  5. 공용수(2014). 교각운동 방법 차이에 의한 만성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도, 근 두께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Hamaoui, A.D., Bouisset, M.C.(2004). Postural sway increase in low back pain subjects is not related to reduced spine range of motion, Neuro science letters, 357(2): 135-138. https://doi.org/10.1016/j.neulet.2003.12.047
  7. 김재구(2015). 척주건강을 위한 운동의 역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1): 191-199.
  8. 김종순(2001). 동적 요부 안정화 운동치료법이 요통 환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준성(2012). 저항운동과 요부안정화 운동의 복합실시가 만성요통남성의 요부근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Tsao, H., Tucker, K.J., & Hodges, P.W.(2011). Changes in excitability of corticomotor inputs to the trunk muscles during experimentally-induced acute low back pain, Neuroscience, 181: 127-133. https://doi.org/10.1016/j.neuroscience.2011.02.033
  11. Cresswell, A.G., Grundstrom, H.(1992). Observations on intra-abdominal pressure and patterns of abdominal intra-muscular activity in man, Acta Physiol Scand, 144(4): 409-418. https://doi.org/10.1111/j.1748-1716.1992.tb09314.x
  12. 이소희(2013). 하지 운동 병행 복부근 수축이 요통환자의 복부근 두께 및 요부 근력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부경희, 오태영(2015). 앉기와 스쿼트 동작 시시각정보가 체간 및 하지관절 각속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7(2): 90-96
  14. Koutedakis Y., Frischknecht R., & Murthy M.(1997). Knee flexion to extension peak torque ratios and low-back injuries in highly active individuals. Int J Sports Med, 18(4); 290-295. https://doi.org/10.1055/s-2007-972636
  15. 박승규, 김제호(2013). 근전도-생체되먹임 훈련이 무릎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근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5(2): 81-87.
  16. 강성규(2003). 만성요통환자의 제지방량과 체지방 분포에 따른 등속성 근력발현의 특성 분석, 대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우예빈, 권미영(2015). 요부 안정화운동과 하지 근력강화운동이 만성 요통환자의 통증과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3(2): 47-54. https://doi.org/10.15268/KSIM.2015.3.2.047
  18. Church G., Glennen S.(1992). The handbook of assistive technology: equipment in rehabilitation for health professionals. London, Chapman & Hall. samdiegu. CA, singular Pub. Group.
  19. Kisner, C., Colby, L.A.(2010).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 5th Ed. Philadelphia: 445-450, 527-536.
  20. 김선칠, 김신균, 김창숙(2017). 앉은 자세에서 실시하는 복부드로우인기법의 효과, 한국재활복지공학회, 11(3): 207-214.
  21. 정연우(2015). 허리안정화 운동이 20대 여성의 월경 시 허리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2): 377-382.
  22. Makhsous, M., Lin.(2002). Sitting with Adjustable Ischial and Back Supports, Biomechanical Changes, 28(11): 1113-1120.
  23. 김동훈(2012).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최두리(2017). 탄력밴드와 짐 볼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남성노인의 건강체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김충린(2010). 네 개의 독립 힘판 균형 측정기를 이용한 균형 조절 능력의 평가,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윤나미, 윤희종, 김건(2017). 척추측만증의 유형과 양상이 청소년의 정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9(5): 287-291.
  27. Wagner, D.R., Tatsugawa, K., & Parker D.(2007). Reliability and utility of a visual analog scale for the assessment of acute mountain sickness, High Alt Med Biol, 8(1): 27-31. https://doi.org/10.1089/ham.2006.0814
  28. 김진택, 김선엽, 오덕원(2009). 요통 환자에서 나타나는 공포-회피 반응과 기능 수행 수준의 관계: 단면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6(1): 52-60.
  29. 전지혜(2017). 요추부 불안정성을 가진 요통 환자의 요추부 안정화 운동과 둔 근 강화 운동이 통증, 기능장애 및 심리사회 수준에 미치는 효과 비교연구,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3(2): 33-44.
  30. 고유진, 고태성, 박준형(2018).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자세균형, 척추안정성, 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료과학회지, 10(1): 5-14. https://doi.org/10.31321/KMTS.2018.10.1.5
  31. 김대현(2016). 여성 만성 허리 통증 환자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과 균형 운동이 미치는 근활성도 영향 비교,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오세준(2013). 능동적 국소 분절 조절운동이 만성 요통환자의 통증 및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