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Life Stress, Self-esteem, Social Support on Marital Conflict Coping in Middle-aged Adults

중년 성인의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가 부부갈등대처에 미치는 영향

  • Song, Ji-Hyeun (Department of Nursing, Cheju Halla University) ;
  • Jo, Yeong-Mi (Department of Nursing, Cheju Halla University) ;
  • Yoon, Su-Sie (Department of Nursing, Cheju Halla University)
  • 송지현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 조영미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 윤수지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20.07.23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life stress,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marital conflict coping,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marital conflict coping in middle-aged adul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324 middle-aged adults who were in J city, from April to July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4.0 version program.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life stress and self-esteem affected negative marital conflict coping, which was 10.1% of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Th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ffected positive marital conflict coping, which was 20.1% of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level of life stres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more tend to act negative marital conflict coping. Also, the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 the more tend to act positive marital conflict coping. Based o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programs for couples to participate together in order for middle-aged adults to avoid negative conflict coping and purse positive conflict coping action in a conflict situation that occurs during their married lives.

본 연구는 일 지역 중년 성인의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가 부부갈등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4월부터 2019년 7월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J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 성인 3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는 SPSS/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일 지역 중년 성인의 부부갈등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은 부정적 부부갈등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0.%이었다. 또한,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는 긍정적 부부갈등대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20%이었다. 즉, 생활스트레스가 많고,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을수록 부정적 부부갈등대처 행동이 많고, 사회적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긍정적 부부갈등대처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중년 성인이 부부생활을 하는 동안 발생하는 갈등상황에서 부정적 갈등대처행동을 지양하고 긍정적 갈등대처행동을 지향할 수 있도록 부부가 함께하는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호길(2016). 여가활동이 중년기 삶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 관광연구, 12(2): 129-148.
  2. 전해옥, 김아린, 채명옥(2018). 한국 중년 성인의 심리적 위기감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 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3): 451-467. https://doi.org/10.5932/JKPHN.2018.32.3.451
  3. 서미아(2014). 중년기 부부갈등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긍정감정과 성역할태도의 매개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2): 343-35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343
  4. 김영애, 김경신(2013). 한국과 중국 중년기 부부관계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51-74.
  5. 통계청(2019). 혼인이혼 통계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2120432
  6. 정옥분, 정순화(2014). 결혼과 가족의 이해. 학지사.
  7. 천혜정, 최혜경, 강인(2006). 결혼지속년수에 따른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법의 차이와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179-202.
  8. 강리리, 이진아(2012). 자신이 인지한 배우자의 갈등대처행동이 자존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3): 1061-1068.
  9. 조준배(2009). 경제적 스트레스요인이 부부갈등 대처방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아존중감과 자기생활만족도 그리고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7: 153-174.
  10. 안창현, 김진이(2008). 부부의 자아존중감, 의사 소통 및 가족 응집성.적응성과 갈등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2): 95-114.
  11. Lazarus, R. S., & Folkman, S(1984). Coping and adaptation. The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282-325.
  12. Fincham, F. D(2003). Marital conflict: Correlates, structure, and contex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1): 23-27. https://doi.org/10.1111/1467-8721.01215
  13. 서영숙, 정추영(2020). 중년여성의 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641-648.
  14. 김영환(2020).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자살 생각 예방에 미치는 영향 -성별, 학년, 학교 유형이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엔터네인먼트산업학회, 14(5): 193-205.
  15. 임안나, 박영숙(2017). 중고령자의 사회적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319-32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3.319
  16. 박성덕, 서연실(2016). 어머니가 인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6(2): 193-212.
  17. 최규련(1995).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과 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3(6): 99-113.
  18. 박수경(2015). 중년기 결혼만족도 증진 프로그램이 부부건강성,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 방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남진, 김영희(201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1): 197-225.
  20. 김의진(2014). 중년부부의 부부갈등, 여가경험,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민하영(2015).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부부갈등과 부부갈등에 대한 회피적 대처행동의 영향: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6(2): 131-143. https://doi.org/10.5723/KJCS.2015.36.2.131
  22. Holmes, T. H., & Rahe, R. H(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2): 213-218. https://doi.org/10.1016/0022-3999(67)90010-4
  23. 이평숙(1984). 생활사건과 관련된 스트레스량 측정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채경선, 정윤주(2016).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심리사회 성숙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2): 201-227.
  25.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전병재(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1): 107-130.
  27. 양유정, 신성희(2014). 중년부부의 자아존중감과 가족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커플관계 자료분석방법 적용. 한국정신간호학회지, 23(2): 60-69.
  28.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9. 이옥선(2000). 척수장애인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와 재활동기간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McCubbin, H. I., Larsen, A. S., & Olson, D. H(1982). F-COPES: Family coping strategies. Family inventories, 101-120.
  31. 송말희(1990). 기혼남.녀의 부부간 갈등정도와 대응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31-47.
  32. 정경화, 전나미(2019).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생활습관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21(1): 62-69.
  33. 권유림, 전해옥(2013).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가족기능이 노화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3(2): 176-184.
  34. 조남희, 성춘희(2016). 중년여성과 중년남성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논문지, 7(6): 89-97.
  35. 박은옥(2011). 성별에 따른 성인의 사회적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7(2): 169-177. https://doi.org/10.4069/kjwhn.2011.17.2.169
  36. 정명선, 김영순, 김수진(2013). 생의 의미발견 집단상담이 중년여성의 삶의 의미,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교육치료연구, 5(2): 129-144.
  37. 김선미, 이승미, 구혜령(2017). 아버지 자조모임 참여자의 경험과 기대: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아버지모임'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20(1): 163-187.
  38. 박선원(2017).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체계와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 594-610.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594
  39. 전미경, 김민숙(2013). 일 간호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및 생활스트레스. 디지털융복합연구, 11(4): 293-302. https://doi.org/10.14400/JDPM.2013.11.4.293
  40. 김미례(2007).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61-777.
  41. Westman, M(2002). Crossover of stress and strain in the family and workplace. Research in Occupational Stress and Well-being, 2, 143-181. https://doi.org/10.1016/S1479-3555(02)02004-8
  42. 최승미, 김지연(2016). 중년기 기혼 남녀의 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과의 관계에서 결혼 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4): 683-702. https://doi.org/10.18205/KPA.2016.21.4.005
  43. 장해순(2003). 대인갈등 상황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상호관계, 매력간의 관계. 언론과학연구, 3(2): 302-344.
  44. 김민정, 현명호(2010).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남성 화병 증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1): 19-33. https://doi.org/10.17315/KJHP.2010.15.1.002
  45. 홍보화, 이지민(2015). 원가족 건강성, 원가족 규칙, 자아존중감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0(2): 343-365.
  46. 이인아, 박경아(2020). 장애아동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지지의 매개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411-419.
  47. Segerstrom, S. C., Carver, C. S., & Scheier, M. F(2017). Optimism. In The happy mind: Cognitive contributions to well-being, 30: 195-212.
  48. 이봉은, 김세경, 천성문(2017). 부부의 자기분화와 부정적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원, 29(5): 1501-1512.
  49. 조윤진, 유성경(2012).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2): 441-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