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Life Stress, Body Image, and Happines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신체상 및 행복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김정숙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 강숙 (조선간호대학교)
  • Received : 2020.05.18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life stress, body image, happi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77 nursing students from April 16 to May 4,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Life stress, body image, happines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mm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dy image and happiness,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tress. Happiness, body image, life stress, gender, and major satisfaction, which accounted for 46% of the varia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to lower life stress and increase body image and happiness in order to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신체상, 행복,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 및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간호대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16일부터 5월 4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스트레스, 신체상, 행복 및 건강증진행위에서 공통적으로 전공만족도와 학교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건강증진행위는 신체상과 행복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생활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행복, 신체상, 생활스트레스, 성별, 전공만족도로 총 변화량의 46%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생활스트레스는 낮추고 신체상과 행복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금선. (2005).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 행위와 스트레스 증상과의 상관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5(3): 585-592. https://doi.org/10.4040/jkan.2005.35.3.585
  2. 손영화, 조혜진, 박종철. (2015). 건강지향 소비자 행동에 대한 조사 연구. 소비자학연구, 26(6): 179-206.
  3. 양남영, 송민선. (2019).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과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25(2): 148-157.
  4. 이명숙, 김금순, 조미경, 안정원, 김순오. (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근관절건강학회지, 21(2): 125-134. https://doi.org/10.5953/jmjh.2014.21.2.125
  5. 차선경, 이은미. (2014).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650-658.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650
  6. 박동영, 김미조. (2017). 간호대학생의 가족기능, 건강지각,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6): 561-570.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561
  7. 박지현, 김은희. (2017).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9): 193-202. https://doi.org/10.5762/KAIS.2017.18.9.193
  8. Cash, T.F. (1989). Body-image Affect: Gestalt versus Summing the Part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9(1): 17-18. https://doi.org/10.2466/pms.1989.69.1.17
  9. 이인숙, 양윤미. (2015).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 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01-312.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301
  10. 이은미, 김유정. (2017). 대학생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및 사회적 압박감, 스트레스가 신체상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2): 173-181.
  11. Mitchell, J., Olbrisch, M.E., Pino, H., Ritz, S., Rowen, L., & Taylor, R. (2008). Roundtable Discussion: Body Image. Bariatric Nursing and Surgical Patient Care, 3(4): 241-248. https://doi.org/10.1089/bar.2008.9953
  12. 김경희, 김계하. (2012). 간호대학 여자 신입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1(2): 149-157.
  13. Bekhet, A.K. Zauszniewski, J.A., & Nakhla, W.E. (2008). Happiness: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Nursing Forum, 43(1): 12-23. https://doi.org/10.1111/j.1744-6198.2008.00091.x
  14. 강혜승, 이현지, 박보하, 이연경. (2019).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공감능력 및 소명의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243-252.
  15. Hoggard, L. (2005). How to be Happy. London: B.B.C Books.
  16. 이경민, 안은선, 전원희. (2018).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 웰빙. 가정간호학회지, 25(3): 164-172. https://doi.org/10.22705/JKASHCN.2018.25.3.164
  17. 홍세화. (2018).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6): 339-346. https://doi.org/10.15207/JKCS.2018.9.6.339
  18. Faul, F., Erdfelder, E., Lang, A.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of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19. Holmes, T.H., & Rahe, R.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https://doi.org/10.1016/0022-3999(67)90010-4
  20.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6(1): 185-196.
  21. 이지영. (2007).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Rowe, D.A.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Questionnaire to Measure Body Im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ia University.
  23. 조정환, 송금주. (2002). 신체상(body image) 검사지의 구인 타당화.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4(1): 31-46.
  24. 서은국, 구재선. (2011).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96-114.
  25. Walker, S.N., Sechrist, K.R., & Pender, N.J. (1987).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2): 76-81.
  26. 윤순녕, 김정희. (1999).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8(2): 130-140.
  27. 송영아, 하영옥. (2018).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24(2): 139-145. https://doi.org/10.14370/JEWNR.2018.24.2.139
  28. 차선경, 이은미. (2014).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사고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650-658.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650
  29. 김경혜, 김경덕. (2008). 간호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 스트레스 지각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김천과학대 논문집, 34: 21-29.
  30. 조명주. (2016). 간호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2): 182-190.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182
  31. 성미현, 김옥선, 정연옥, 석소현. (2017).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우울 및 자기효능감 비교연구: Type D 성격군과 non-Type D 성격군을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26(3): 217-225.
  32. 김현. (2015). 간호대학생과 일반 여자 대학생의 건강행위, 스트레스 및 대처유형 비교. 동서간호학연구지, 21(1): 28-35. https://doi.org/10.14370/JEWNR.2015.21.1.28
  33. 박영례, 장은희, 문희. (2019). 대학생의 신체상과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0): 177-195.
  34. 강숙. (2018). 종합병원 간호사의 피로, 건강지각 및 행복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8): 456-465. https://doi.org/10.5762/KAIS.2018.19.8.456
  35. 김소선, 박정숙, 노영숙. (2005). 간호사의 개인적 특성과 건강상태 인지, 신체상,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17(1): 8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