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yle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Film Color White

영화색채 하양의 활용 양상과 문화적 의미

  • Kim, Jong-Guk (Division of Culture & Arts, Baekseok University)
  • 김종국 (백석대학교 문화예술학부)
  • Received : 2020.05.23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With the cultural background of whiteness I did examine the universal meaning of absolute good, the special of psychosis, and the fantastic of femininity and memory/record. As an example I analyzed the symbolic meaning of white used in Korean films. Unconditional goodness, white as a generality: White color in all the films of good-evil confrontation falls into this category. The most obvious and the simplest configuration are the black-white dichotomy. In Nameless Gangster: Rules of Time(2011), The Merciless(2016), Asura: The City of Madness(2016) and The Bad Guys: Reign of Chaos(2019), white is the absolute good but it is not limited to a fair key figure. Paradoxically, black is not given only to the side of absolute evil. White is used to be a flexible visual device that reflects the socio-political situation without changing the meaning of the general good. Psychosis and pills, white as a peculiarity: The visual function that emphasizes sado-masochism in the absolute good and the universal symbol of white extends to psychotic specificities such as hysteria. In all the films creating horror, white symbolizes the mentally disabled and the pill for healing. Femininity and haunted white: White of absolute good is expressed by the socio-cultural tendency of femininity and the black-white contrast of vision is applied to the gender difference. In general the women's sexuality is emphasized in color red, but white is arranged in the background. In TaeGukGi: Brotherhood Of War(2004), 71: Into The Fire(2010), My Way(2011), The Front Line(2011), Roaring Currents(2014), Northern Limit Line(2015), The Battle: Roar to Victory(2019) and Battle of Jangsari(2019), white given to female figures sticks to the traditional femininity such as motherhood, sacrifice and weakness. The concept of specters is applied to desires, memories/records, history, fantasy, virtual/reality and social media images. The film history capturing to list memories and moments brings up the specters of socio-political genealogy. Most of films aiming for socio-political change are its examples and white constituting Mise-en-scene records to remember a historical event in Peppermint Candy(2000), The Attorney(2013) and A Taxi Driver(2017).

이 글은 한국영화 가운데 색채를 의도적이거나 관습적으로 활용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장르영화 대부분이 관례적 활용 빈도가 높으며, 색채를 의도적으로 부각시킨 미학적 선택 또한 예술영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양식으로 나타난다. 영화색채의 시각적 인상만큼이나 그것의 분석과 해석은 주관적일 수 있다. 보기의 객관성을 위해 색채에 관한 오랜 문화적 관점을 채택하고, 유사성과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화색채 하양의 활용 양상의 분류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절대선, 특수한 사례로서의 강박과 치유, 성의 구분 없이 여성성의 특성을 보여주는 전형과 시각적 쾌락, 미학적 용어인 프레임의 경계를 넘어서는 유령적 사유라는 범주에서 접근하였다. 특정한 장르, 작가, 영화를 세밀하게 분석하는 미시적 방법보다는 하양을 시각장치로 활용하는 영화들의 유형별 특성을 분류해보고, 색채 활용의 미학적이고 문화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첫째, <악인전>(2019), <범죄와의 전쟁: 나쁜 놈들 전성시대>(2011),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2016), <아수라>(2016), <나쁜 녀석들>(2019) 같은 영화들에서 하양이 절대선을 표현하는 시각의 전형으로 기능한다. 둘째, <기생충>(2019)의 공포와 불안, <곡성>(2016)의 악몽, <슈퍼맨이었던 사나이>(2008)의 과대망상, <기억의 밤>(2017)의 신경쇠약, <마더>(2009)의 광기, <윤희에게>(2019)의 강박, <밀양>(2007)의 히스테리 등이 가학과 피학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사례들이다. 셋째, <태극기 휘날리며>(2004), <포화 속으로>(2010), <마이웨이>(2011>, <고지전>(2011), <명량>(2014), <연평해전>(2015), <봉오동전투>(2019),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2019) 등에서 여성 인물에 부여되는 하양이 전통적인 이미지를 고착시킨다. 넷째, 사회정치적 변화를 반영하는 <박하사탕>(2000), <변호인>(2013), <택시운전사>(2017), <1987>(2017) 등에서 하양이 역사의 순간을 기억하고 기록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5A2A01039547)

References

  1. 손세호. (2019). 「할리우드 영화와 흑인 인종 문제: 그리피스(D. W. Griffith)의 <국가의 탄생>을 중심으로」. 「미국사연구」. 50, 99-134.
  2. Hortense J. Spillers. (2003). Black, white, and in color: Essays on American literature and cul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4.
  3. Margarete Bruns. (1997). 「Das Ratsel Farbe 색의 수수께끼」. 세종연구원. 1999, 214-229.
  4. 김종국. (2019). 「영화색채의 검정: 권력과 혁신」. 「만화애니메이션연구」. 55, 395-418.
  5. 김융희. (2005). 「검은 천사 하얀 악마: 검정과 하양의 문화사」. 시공사, 12-16.
  6. Michel Pastoureau, Dominique Simonnet. (2015). 「Les couleurs expliquees en images 색의 인문학」. 고봉만 역, 미술문화, 2020, 54-75.
  7. 김종국. (2019). 「<신과 함께>의 검정, (비)물질과 지각의 상호작용」. 「만화애니메이션연구」. 57, 563-581.
  8. 김선현. (2011). 「마음으로 동양화(東洋畵) 읽기」. 한국학술정보, 40-44.
  9. 김종국. (2006). 「영화색채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70-107.
  10. 김경희. (2012). 「국가와 공공선/공동선」. 「정치사상연구」. 18(1), 33-52.
  11. 변학수. (2003). 「문화로 읽는 영화의 즐거움」. 경북대학교 출판부, 339-341.
  12. 서정아. (2017). 「영화에서 빛의 현상학, 그 나타남에 관한 연구」. 「현대영화연구」. 13(4), 203-246. https://doi.org/10.15751/COFIS.2017.13.4.203
  13. Margarete Bruns. (1997). 「Das Ratsel Farbe 색의 수수께끼」. 세종연구원. 1999, 214-219.
  14. Susan Hayward. (1996). 「Key concepts in cinema studies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이영기 역, 한나래, 1997, 149-153.
  15. 강병호. (2019). 「영상 콘텐츠에 나타난 생명 자본주의적 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117-130.
  16. 박현일. (2004). 「한국 색채문화의 사회 미학적 연구」. 원광대 박사논문, 111-125.
  17. 김지희, 방재석. (2019). 「영화 <리틀 포레스트> 속 공간적 특성과 의미에 대한 고찰」.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3), 299-324.
  18. 김종국. (2017). 「영화의 초록, 생명과 물질」.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9, 399-423.
  19. 정현경. (2020). 「평등의 몰락에 대한 영화적 대응과 의미: 영화 <설국열차>와 <기생충>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75, 7-33.
  20. 백현기. (2015). 「색채, 마음을 치유하다」. 공동체, 88-117.
  21. 21세기연구회. (2004). 「하룻밤에 읽는 색의 문화사」. 예담, 230-231.
  22. Sigmund Freud. (1955). 「Studies on Hysteria 히스테리 연구」. 김미리혜 역, 열린책들, 1997, 11-34.
  23. 박진우. (2016). 「영화 속 치유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부크크, 236-240.
  24. 김융희. (2005). 「검은 천사 하얀 악마: 검정과 하양의 문화사」. 시공사, 141-142.
  25. 김종국. (2019). 「송강호의 스크린 퍼포먼스와 사회적 태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123-132.
  26. Michel Pastoureau, Dominique Simonnet. (2015). 「Les couleurs expliquees en images 색의 인문학」. 고봉만 역, 미술문화, 2020, 54-75.
  27. 신항식. (2007). 「색채와 문화 그리고 상상력」. 프로네시스, 75-81.
  28. 김지영. (2003). 「한국 기층문화에 나타난 복식의 색채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4-25.
  29. 김미경. (2010). 「(사례를 통한) 색채치료」. 학림, 354-372.
  30. 김종국. (2017). 「영화에서 빨강의 상호작용적 의미」,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7, 241-271.
  31. 길윤홍, 김문석. (2017). 「박찬욱 감독의 영화 <아가씨> 색채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2(2), 1-11.
  32. 김종국. (2019). 「금자(이영애)의 빨강: 억압된 것들의 귀환과 해방」, 「Journal of Korean Culture」. 44, 403-426. https://doi.org/10.35821/jkc.2019.02.44.403
  33. 김상환 외. (1998). 「매체의 철학」. 나남, 61-110.
  34. 김보현. (2019). 「데리다의 마르크스의 유령들 읽기」. 세창미디어, 75-140.
  35. 김무규. (2012). 「서사적 영상에서 성찰적 형상으로」. 한울아카데미, 242-271.
  36. 김종국. (2018). 「쿨레쇼프 영화연기의 계보와 기계/가면 얼굴」.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2), 6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