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vel Motivations of Package Tour Travelers : A Study of its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 Focused on Perceived Values, Tourism Constraints and Satisfaction

패키지관광의 관광동기가 지각된 가치를 통하여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관광제약, 만족도 중심으로 -

  • Kim, Dae-Seok (Department of Management Consulting, Daejeon University) ;
  • Seo, Young-Wook (Department of Management Consulting, Daejeon University)
  • 김대석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 서영욱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Received : 2020.05.18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package tourism. The value perceived as a sub-factor of tourism motivation and inducement was divided into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And the variables of tourism constraints, satisfaction and behavior were addedly presented. The analysis proved that all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s (emotional and functional) of the sub-factors of tourism motivation (daily escape, harmony, service appeal, convenience). The perceived value (emotional and functional) has also established a posi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and tourism restrictions have been prove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of satisfaction and behavio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and it could be useful for promoting package tourism.

본 연구는 패키지관광의 활성화를 위하여 요인 간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관광동기의 하위요인을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으로 지각된 가치는 감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로 구분하였으며 그리고 관광제약, 만족도, 행동의도의 변수를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동기의 하위요인(일상 탈출, 화합, 서비스매력, 편리성)이 지각된 가치(감정적, 기능적)에 모든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지각된 가치(감정적, 기능적)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으며, 관광제약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부정적인 영향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의 두 변수 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패키지관광의 적극적인 고객들의 필요 욕구에 부합하는 마케팅이 실행된다면 패키지관광의 활성화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숙진, 김태헌. (2013). 제주특별자치도 관광패키지상품 가격 평가 전망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6): 469-480.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469
  2. 한국관광공사. (2014). http://kto.visitkorea.or.kr/kor.kto
  3. 강명수, 김동원. (2014). 항공해외여행 선호 유형에 따른 세분집단별 특성 분석.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2(6): 77-93.
  4. 김희수, 윤세목. (2015). 시기별.여행형태별 외래 관광 수요의 변동성 비교분석. Tourism Research, 40(2): 1-16.
  5. 한국관광공사. (2018). http://kto.visitkorea.or.kr/kor.kto
  6. 허유순, 이진희. (2019). 추자도 관광객의 관광 동기 유형별 만족 및 재방문 연구. 관광연구저널, 33(1); 141-155.
  7. Tzu-Kuang, H. Yi-Fan, T. & Herg-Huey, W. (2009). The preference analysis for tourist choice of destination: A case of Taiwan. Tourism Management. 30(2). 290-305.
  8. 최복룡, 조시영, 전재균. (2018). 로하스 관광동기가 지각된 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대회, 253-261.
  9. 임근욱. (2016). 자연관광목적지 관광객의 관광 동기, 관광만족 및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관광레저연구, 28(1): 99-115.
  10. 박진호, 김건휘. (2018). 관광객 태도가 음식관광동기와 관광만족도 간에 조절효과 연구 2017 전주비빔밥 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1): 1-11.
  11. 김연선. (2019), 전주 한옥마을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관광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196-204.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196
  12. 김원인. (1994). 관광지선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광학연구, 18(1): 1-22.
  13. Uysal, M., & Hagan, L. A. R. (1993). Motivation of pleasure travel and tourism. In M. Khan, M. Olsen & T. Var (Eds.). VNR's Encyclopedia of Hospitality and Touris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798-810.
  14. Weaver, P. A., McCleary K. W., Lepisto, L., & Damonte, L. T. (1994). The relationship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to psychological, behavioral and demographic variables. Journal of Hospitality and Leisure Marketing, 2(2): 93-109. https://doi.org/10.1300/j150v02n02_07
  15. 이학인, 정기한. (2017). 관광산업에서 관광동기가 소비가치와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7(6): 319-335.
  16. Klenosky, D. B. (2002). The Pull of Tourism Destinaion: A meands-end investig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40(4): 383-395.
  17. Crompton, J. L., (1979). Motivation for pleasure vac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6(4): 408-424. https://doi.org/10.1016/0160-7383(79)90004-5
  18. 전명숙, 하동현. (2015). 문화유산관광에서의 Push/Pull 요인이 진정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7(10): 229-249.
  19. Yoon, Y. & M. Uysal. (2005).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destination loyalty: a structural model, Tourism management, 26(1): 45-56. https://doi.org/10.1016/j.tourman.2003.08.016
  20. 최민석, 조시영, 전재균. (2018). 오토캠핑장 관광동기가 이용가치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관광레져연구, 30(3): 319-336.
  21. 김진옥, 김남조. (2013). 오토캠핑 참여자의 동기, 가치, 만족도, 충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관광연구, 28(5): 45-70.
  22. Kim, S. S., Lee, C. K., & Klenosky, D. B. (2003). The influence of push and pull factors at Korean national parks. Tourism Management, 24(2): 169-180. https://doi.org/10.1016/S0261-5177(02)00059-6
  23. Oh, H., Uysal, M., & Weaver, P. A. (1995). Product bundle and market segments based on travel motivation: A canonical correction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Hospitality Management, 14(2): 123-137. https://doi.org/10.1016/0278-4319(95)00010-A
  24. 윤설민, 백주아, 김흥렬. (2008). 문화유산 방문객의 추진-유인 요인, 만족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3(3): 401-423.
  25. 한응범. (2010). 관광동기로서 Push-Pull 요인이 관광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남은경, 이승곤. (2015). 치유의 숲 방문자의 관광동기가 지각가치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29(8): 79-93.
  27. 이경민, 구철모, 한희정. (2017). 가족 단위 철도 여행객의 추진(Push)동기 요인과 유인(Pull)동기 요인의 영향력 연구. Korea Business Review, 21(2): 175-200. https://doi.org/10.17287/kbr.2017.21.2.175
  28. 김진경, 정규엽, 한희섭. (2017). 방중 한국인 관광객의 관광동기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드 배치로 인한 갈등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6(5): 171-187.
  29. Patterson, P .G. & Spreng, R. A. (1997). Mode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in a business- to business, servicescontext, an empirical examin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 Industry Management, 8(5): 414-434. https://doi.org/10.1108/09564239710189835
  30. 이화인. (2016). 서비스 가격차별화 전략과 소비자의 가격공정성 지각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연구, 20(3): 125-144.
  31. Gallarza, M. G., & Gil Saura, I. (2006). Value dimension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An investig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ravel behaviour. Tourism Management, 27(3): 437-452. https://doi.org/10.1016/j.tourman.2004.12.002
  32. 김판영, 김문성. (2010). 여행서비스에 있어 고객의 지각 가치와 만족, 행위의도와의 관련성. 관광연구, 25(1): 263-282.
  33. 최성일, 안정석, 이수범. (2015).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27(7): 319-340.
  34. 황희정, 최일선. (2015). 왜 여가활동을 지속하는가?. 관광.레저연구, 27(1): 253-270.
  35. Williams, P., & Soutar, G. N. (2009).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an adventure tourism context. Annals of Tourism Research, 36(3): 413-438. https://doi.org/10.1016/j.annals.2009.02.002
  36. 전정아. (2018). 외식업체 고객가치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2(12): 107-120.
  37. 송기현, 최현실. (2019).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 행동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23(1): 605-626.
  38. 강희설, 이상훈, 정진우. (2020). 한식당 메뉴 선택 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 26(3): 168-180.
  39. 김주진, 신우진. (2020). 관광지에 대한 선택 속성 및 만족도와 관광객 행동의도 간 영향관계 연구, 전라북도 남원관광단지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1): 143-166.
  40. Indrawati & U. S. Fatharani. (2016).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towards customer satisfaction on online fashion store in Indonesia. Asia Pacific Journal of Advanced Business and Social Studies, 2(2): 232-241.
  41. Kotler, P., Bowen, J. T. & Makens, J. C. (2006). Marketing for hospitality and tourism (4th ed.). NJ : Pearson Prentice Hall.
  42. 신상준. (2017). 관광객의 농촌체험관광동기, 관광상품선택속성,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 연구. 관광레저연구, 29(5): 25-43.
  43. 최기, 김미정. (2019). 제주 관광체험활동에 대한 중국관광객의 관광만족과 행동의도 연구. 관광레저연구, 31(10): 113-133.
  44. Jackson, E. L. (1990). Variation in the desire to begin a leisure activity: Evidence of antecedent constrai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 55-70. https://doi.org/10.1080/00222216.1990.11969814
  45. Crawford, D. W., Jackson, E. L., & Godbey, G. (1991). A hierarchical model of leisure constraints. Leisure Sciences, 13: 309-320. https://doi.org/10.1080/01490409109513147
  46. 최일선, 홍장원, 이정아. (2019). 섬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제약이 관광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논총, 31(4): 121-138.
  47. 이상건, 윤유식. (2005). 잠재관광객 여가제약 요인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4(2): 589-602.
  48. 장미리. (2018). 관광제약요인과 관광만족의 영향관계 연구. 관광경영연구, 22(4): 635-653.
  49. 황희정, 최영희. (2016). 해양생태관광 제약요인 분석 관광제약, 태도, 그리고 행동의도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8(1): 133-158.
  50. D. Crawford and G. Godbey. (1987).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Leisure Sciences, 9(2): 119-127. https://doi.org/10.1080/01490408709512151
  51. 최영기.김판영. (2016). 축제 방문객의 혼잡 지각과 체험만족,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 관광경영연구, 19(1): 273-290.
  52. 양성수, 오은지, 정철. (2019). 도서지역 관광객의 혼잡기대, 혼잡지각,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 우도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논총, 31(3): 121-140.
  53. Baker, D. A. & Crompton, J. L. (2000).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7(3): 785-804. https://doi.org/10.1016/S0160-7383(99)00108-5
  54. 김기호, 정기한, 신재익. (2013). 도서관광 속성과 체험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려해상국립공원 중심으로. 한국도서연구, 25(1): 61-83.
  55. 최해수. (2009). 축제 참가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축제 참가동기가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 24(3): 211-237.
  56. 양길승, 이화진. (2011). 해양축제 참가자의 참가동기와 지각가치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목포해양문화축제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국도서연구, 23(2): 17-36.
  57. 이충기, 고성규. (2014). 승마체험 동기가 가치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구조관계 분석. 관광연구, 28(6): 203-226.
  58. 성보현, 최영석. (2016). 생태체험의 동기, 지각된 가치, 만족도 및 행동의도 간 영향관계 분석 : 생태체험 기반시설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8(3): 55-78.
  59. 정정희, 이수범. (2016). 친환경식품 선택 동기가 지각된 가치, 소비자 태도,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30(1): 211-226.
  60. 취홍잉, 이승구. (2020). 자원봉사관광의 참여동기, 제약요인, 만족도와 행동의도의 관계성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9(1): 101-111.
  61. 한성희. (2011). 스마트폰의 소비가치와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2(3): 233-260.
  62. 이충기, 김홍미, 안대희. (2008). 한국관광에 대한 일본관광객의 지각된 가치가 방문객 만족도와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레저연구, 20(4): 69-85.
  63. 김동준, 조인희. (2016). 관광엔터테인먼트 선택 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기업의 식음료이벤트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3): 67-76.
  64. 차재빈, 조미나. (2017). 여행상품 구매 시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위험이 구매 후 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셜커머스 여행상품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9(1): 101-121.
  65. 이종설, 양재영, 박영진. (2017). 여행자들의 지각된 가치가 여행상품 만족과 브랜드이미지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9(1) 83-99.
  66. 현홍준, 양승필, 서용건. (2010). 대학생의 여가 제약 요인과 여가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2(6): 627-645.
  67. 강은주, 김연희, 이희선. (2015). 여성고령자의 여가제약과 협상전략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협상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9(4): 87-116. https://doi.org/10.24210/KAPM.2015.29.4.004
  68. 김미경, 김지은. (2017). 노인들의 여가제약이 여가만족 및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32(8): 91-109.
  69. 안주석, 임근욱. (2018). 직장인들의 여가참여동기가 여가제약,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32(2): 81-98.
  70. 한상겸. (2019). 해외여행자의 관광지 선택속성과 제약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진흥연구, 7(2): 121-137.
  71. 이철진, 최재우. (2015). SNS관광정보가치와 관광행동의도 간 관계에서 지각된 제약의 매개효과. 관광연구, 30(3): 247-268.
  72. 왕길, 이승구. (2018). 다크투어리즘 목적지 방문객의 제약요인과 방문동기가 브랜드자산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한.중 기념관의 비교. 호텔경영학연구, 27(3): 117-134.
  73. 이병철, 백안젤라, 유재희. (2015). 패키지투어 여행자의 사회네트워크 구조가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4(4): 97-112.
  74. 이엔, 정기은. (2016). 한국관광지 매력속성에 따른 베트남인 패키지관광객의 만족도 및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6(4): 175-187.
  75. 이항아, 김이태. (2019). 스마트관광 가상현실체험요소가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현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5): 53-67.
  76. H. Wold. (1985). Partial Least Squares, in S. Kotz & N. L. Johnson(Eds.), Encyclopedia of Statistical Sciences, 6: New York: wiley, 581-591.
  77. H. Wold. (1982). Soft Modeling:The Basic Design and Some Extensions. in: Joreskog, K.G. and Wold, H.O.A., Eds., Systems under Indirect Observations: Part II, North-Holland, Amsterdam, 1-54.
  78. Gefen, D. Straub, D., and Boudreau, M. C. (200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4(1): article 7.
  79. Comrey, A. L. (1973). A First Course in Factor Analysis, Academic Press, New York.
  80. Fornell, C. and D. E.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1):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81. 강상훈, 류성옥. (2014).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다목적지 여행 결정. 관광학연구, 38(6): 233-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