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Factors of Success of Film Using Big Data : Focusing on the SNS Utilization Index and Topic Keywords of the Film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화흥행 요인 분석: 영화 <기생충>의 SNS 활용지수와 토픽키워드 중심으로

  • Kim, Jin-Wook (Department of Theatre and Film, Joongbu University)
  • 김진욱 (중부대학교 연극영화학 전공)
  • Received : 2020.05.22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the rapidly changing era of the fourth industry, big data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n recent years, the use of big data has been rapidly applied to overall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nd among them, the use of big data is essential as a film genre with a lot of capital. This research method is analyzed as the film , which won the Palme d'Or Prize of the 72nd Cannes Film Festival in 2019 and the works and directors' award at the Academy Awards. The analyzed value predicts the film's performance through opinion mining, which gives the value of the change and sensitivity of each data cycle, and extracts the utilization index and topic keywords of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to reflect the audience's interest. Identify the factors. As such, if model performance and model development can be predicted through model analysis of film performance using big data, the efficiency of the film production process will be maximized while the risk of production cost and the risk of film failure will be minimized.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4차 산업 시대에 빅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 문화예술콘텐츠 전반에도 빅데이터의 활용은 급속도로 적용되고 있고, 그중에서도 영화는 자본이 많이 드는 예술장르로서 빅데이터의 활용은 매우 유용한 분석 수단이다. 본 연구는 2019년 제72회 칸 영화제의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외국어 영화상)을 차지하며 한국영화의 가치를 보여준 영화 <기생충>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값은 데이터의 주기별 변화량과 감성의 값을 부여하는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해 영화 흥행을 예측하고,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등 SNS의 활용지수와 토픽 키워드를 추출하여 관객들의 관심을 반영하는 영화적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처럼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화흥행 요인분석으로 모델 구축 및 모형 개발로 흥행예측이 가능해지면 영화제작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제작비용과 영화실패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Joongbu University Research & Development Fund, in 2020

References

  1. https://namu.wiki/w/메타데이터 참조.
  2. https://ko.wikipedia.org/wiki/비정형_데이터 참조.
  3. 강지훈, 박찬희, 도형록, 김성범. (2014). 데이터마이닝기법을 활용한 영화 흥행 실적 예측 기법.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 2014, No. 5, 142-154.
  4. 허민회, 강필성, 조성준. (2013). 오피니언 마이닝을 이용한 영화 흥행의 예측.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 2013, No. 5, 487-500.
  5. 박선영. (2012). SNS를 통한 구전 효과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써니>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2, No. 7, 40-53.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040
  6. Joshi. M., Das. D, Gimpel. K, and Smith. N. A. (2010). Movie reviews and revenues: An experiment in text regression, I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The 2010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NAACL-HLT),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93-296.
  7. 김진욱. (2014). 영화 마케팅의 빅데이터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설국열차>의 SNS 데이터 분석 처리과정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349-356.
  8. 김진욱. (2015). 영화흥행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명량>의 오피니언 마이닝 처리과정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3): 81-90.
  9. 이오준, 박승보, 정다울, 유은순. (2014).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영화 흥행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527-538. https://doi.org/10.5392/JKCA.2014.14.10.527
  10. https://wikidocs.net/22654 참조.
  1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zxy826&logNo=220733365086 참조.
  12. http://www.parkjonghyuk.net/lecture/programming1/lecturenote/chap08-1.pdf 참조.
  13. https://www.scienceall.com/정확도accuracy/ 참조.
  14. https://ko.wikipedia.org/wiki/NoSQL 참조.
  15. 김진욱. (2014).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화마케팅 연구.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http://kinimage.naver.net/20130905_221/1378352574071ye9IC_PNG/hadoopoverview.png?type=w620 참조.
  17. 김유신. (2012). 주가지수 예측을 위한 뉴스 빅데이터 오피니언 마이닝 모형. 국민대학교 IT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한국산업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 정도를 나타내는 종합지수(네이버 지식백과, 지식경제용어사전. 대한민국정부, 2010) 참조.
  19. http://www.r-project.org
  20. http://www.aistudy.co.kr/psychology/schema.htm 참조.
  21. 중앙처리장치가 처리나 제어하고 있던 기능을 여러 개의 처리장치에 분산시킨 후 전송시킬 때에 일부 데이터를 손실하더라도 시스템은 정상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정보통신용어사전, 일진사, 2008). 일부 참조.
  22. 우종필, 이응환. (2018).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천만 관객 영화 예측 모델. 한국빅데이터학회지, 3(1): 63-71.
  23. 봉준호. <기생충> 긍, 부정 감성 추이 출처. http://www.bigt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66
  24. 네이버트렌드, 연합뉴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