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affecting the Length of Stay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 Lee, Hye-Seung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Gwangju University) ;
  • Kim, Hwan-Hui (Department of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Gwangju University)
  • 이혜승 (광주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 김환희 (광주대학교 보건행정학부)
  • Received : 2020.06.23
  • Accepted : 2020.08.27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aim data of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to determine what factors affected the length of stay in patients aged 65 and older and undergoing total knee arthroplasty due to the principal diagnosis of gonarthrosis by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s. As a result of making an analysis, gender, age, medical security type, severity, residential area and the number of sickbeds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length of stay in each type of medical institutions. At this point in time when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riggered by population aging and another subsequent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put a heavy strain on household and national economy, it'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shorten the length of stay and how to ensure the efficient management of sickbed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could be used as basic data on quality life-care for elderly patients by the introduction of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geared toward lessening patient burden for medical expenses.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만65세 이상의 주진단이 무릎 관절증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성별, 연령, 의료보장형태, 중증도, 거주지역 및 병상규모가 재원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이로 인한 노인 진료비 증가는 가계 및 국가 경제의 많은 부담으로 작용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원일수 단축효과와 함께 효율적인 병상운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자의 진료비 부담을 경감시키는 위한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노인환자의 양질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광주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연구 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통계청(2019). 2019 고령자 통계 http://kostat.go.kr
  2. 양승훈(2019). 노인의 라이프케어를 위한 균형 평가척도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논문지, 13(4): 411-417.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도별 진료비 통계지표.
  4. 이규식, 정형선, 황성완, 최대봉(2017). 고령사회를 대비한 노인의료비 효율적 관리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사)건강복지정책연구원
  5. 조우신. 안형선, 김민영, 설의상, 이성우, 최지원(2006). 슬관절 전치환술 후 통증. 대한정형외과학회지, 41(1): 129-133.
  6. 이경화, 김환희(2019). 라이프케어를 위한 관절 치환술 환자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661-670.
  7. 송지영(2019). 만성질환 영성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5): 273-279.
  8.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statisticsList/2020.04.23.
  9. 국민건강보험공단(2016). 2015 건강보험통계.
  10. 한국소비자원(2017). 관절질환분쟁 https://www.kca.go.kr
  11. 서근택, 이홍석, 김명수, 이정섭, 김정일(2009). 당뇨병 환자에서의 고관절 전치환술. 대한정형외과학회지, 44(5): 526-532.
  12. Lonner, J.H., Lotke, P.A., Kim, J., & Nelson, C. (2002). Impaction Grafting and Wire Mesh for Uncontained Defects in Revision Knee Arthroplasty,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404: 145-151. https://doi.org/10.1097/00003086-200211000-00026
  13. Vincent, K.R., & Vincent, H.K.(2012). Resistance Exercise for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Injury, Function and Rehabilitation, 4(5): 45-52.
  14. 엄동춘, 남은숙, 이호연, 이은봉, 윤영임, 채공주(2012).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분석: 통증, 질병활성도,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 및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간호학회지, 42(3): 434-442. https://doi.org/10.4040/jkan.2012.42.3.434
  15. 이미경, 이인희, 주정혜, 홍문숙, 서재곤, 성영희(2005).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조기퇴원 후 가정간호 운동프로그램이 슬관절 기능 상태와 삶에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근관절건강학회지, 41(12): 143-154.
  16. 서영숙, 이경수, 박종호, 강성홍(2010). 우리나라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원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의 변이에 관한 연구. 학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4): 1511-1519.
  17. 도세록(2005). 의료이용 양상의 변화와 보건의료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65-76.
  18. 이근우, 손예진, 이광수(2015). 병원특성이 50세 이상 무릎관절증 입원환자의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사회연구, 35(4): 95-115. https://doi.org/10.15709/HSWR.2015.35.4.95
  19. 방효중, 이광수(2013). 요양병원 입원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재원일수 결정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900-909.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900
  20. 차선경, 김성수(2013).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원일수 결정요인: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디지털정책역구, 11(4): 351-359.
  21. 윤경일(2015). 치매환자 특성과 재원일수 결정 요인의 병원 종별 비교.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0(1): 1-13.
  22. 김성수, 김원중, 강성홍(2011). 손상입원환자의 중증도 보정 재원일수의 변이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6): 2668-2676. https://doi.org/10.5762/KAIS.2011.12.6.2668
  23. An, J.Y., & Tak, Y.R.(2009).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in Old and Oldest-old Elderly People with Arthritis. Journal of the Korean Acad Nurs, 39(2): 72-83. https://doi.org/10.4040/jkan.2009.39.1.72
  24. Barbara, R.N., Denise, O.W., Christopher, D.M., Janet, Y.Y., William, H.K., Michelle, S.D., Justine, G.D., Sheryl, Z.M., & Jay, M.J. (2007). Factors that Influence Exercise Activity Among Women Post Hip Fracture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Plus Program. Clin Interv Aging. 2: 413-427.
  25. Kim, Y., & Byun, H.S.(2014). Effects of Pain on Memory, Physical Function, and Sleep Disturbance in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Nurs, 16(1): 59-67. https://doi.org/10.17079/jkgn.2014.16.1.59
  26. Epps, C.D.(2004). Length of Stay, Discharge Disposition, and Hospital Charge Predictors. Association of peri 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79(5): 975-997. https://doi.org/10.1016/S0001-2092(06)60729-1
  27. Styron, J.F., Koroukian, S.M., Klika, A. & Barsoum, W.K.(2011). Patient vs Provider Characteristics Impacting Hospital Lengths of Stay after Total Knee or Hip Arthroplasty. The Journal of Arthroplasty, 26(8): 1418-1426. https://doi.org/10.1016/j.arth.2010.11.008
  28. 정희숙(2013). 슬관절 치환술에서의 재원일수 관련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김상미, 이현숙(2018). 슬관절전치환술 노인 환자의 원내합병증과 재원일수 영향요인. 병원경영학회지, 23(3): 52-162.
  30. 박혜선, 이수재(2015). 관절부분치환술에서 재원일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한국사회안전학회지, 10(1): 103-133.
  31. 김숙영, 전은영(2011). 한국인의 골관절염 위험요인 분석. 재활간호학회지, 14(2): 111-117.
  32. 이용재(2011). 노인암환자의 건강보험과 의료 급여 이용차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5): 270-279. https://doi.org/10.5392/JKCA.2011.11.5.270
  33. 김종건(2010).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대상자의 노인의료비 증가 원인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7: 355-374.
  34. 신영석(2006). 의료급여 환자의 의료이용 적정성 고찰. 보건복지포럼, 114: 91-101.
  35. Rasouli, M.R., Menedez, M., Sayadipour, A.S., Purtill, J.J., & Parvizi, J.(2016). Direct Cost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otal Joint Arthroplasty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rthroplasty, 31(2): 533-536. https://doi.org/10.1016/j.arth.2015.09.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