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lay World Structure of EBS Character "Pengsu"

EBS 캐릭터 '펭수'의 놀이세계 구조

  • Kim, Jeong-Seob (Department of Cultural Industry & Art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김정섭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학과)
  • Received : 2020.03.18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Even ordinary-looking plays can have a profound meaning. Based on this assumption, Eugene Pink (1960) has established an analytical model of play with five elements, namely "delight", "meaning", "community", "rules" and "tools." It was an effort to reflect on the true meaning of play beyond the cortical entertaining nature of play. In this study, it was carried out that all the texts containing images and performance from the EBS character "Pengsu" were selected, since he emerged as a new star in 2019. And also his play structur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Pink's model. As a result, Pengsu's play structure was confirmed to be systematic and complete as a play prototype because it was well-organized with five elements of play. It was regarded as a successful character that skillfully attracts participants to the play worl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lay, "fun" was found to be his funny appearance, sudden and unconventional behavior, "meaning" was the elimination of authoritarianism, self-esteeming and energizing, "community" was a multi-platform media user who crossed off-on-line, analog-digital-line, "rules" was to set his concept fixed as a young stranger with an ego to unreveal his identity, and "tools" was shown as his character itself and continual discourse. It shows that until now, Pengsu has a social net function of quite spreading the positive meaning of encouragement and comfort, advice and guide, consideration and forgiveness, introspection and nirvana to all members of our society, including the youth who are struggling with uncertainty and anxiety by showing rather exaggerated and stimulating performance that precisely combines these play elements.

평범하게 보이는 놀이에도 심장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유진 핑크(Fink, 1960)는 이런 가정을 전제로 놀이의 외피인 오락성을 넘어 놀이의 속살인 참된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놀이세계'의 근원적 구조를 통찰해 놀이를 재미(delight), 의미(meaning), 공동체(community), 규칙(rules), 도구(equipment)라는 5개 요소로 해부하는 연구모형을 확립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분석모델을 적용하여 2019년 스타로 떠오른 공영 방송 EBS의 신생 캐릭터 '펭수'의 놀이 구조를 출연 영상물, 퍼포먼스, 기사 등 모든 텍스트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해 내용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펭수의 놀이세계는 놀이 원형의 5가지 요소를 짜임새 있게 갖춰 놀이로서의 체계성과 완결성이 두드러졌다. 수용자들을 놀이의 장으로 잘 흡인하여 성공한 캐릭터가 된 것이다. 구성요소 중 재미는 우스꽝스런 외양과 돌발성·파격성이 돋보는 행동, 의미는 권위주의 타파와 자존감·활력의 제고, 공동체는 오프·온 라인과 아날로그·디지털을 넘나드는 멀티 플랫폼 이용자들, 규칙은 펭수의 콘셉트를 자아를 지닌 어린 이방인으로 설정해 신분 비공개하기, 도구는 펭수 캐릭터 그 자체와 그가 시시각각 선보인 언술(言術)로 각각 나타났다. 펭수는 '자아인형'으로서 그간 이런 놀이요소를 정교하게 결합시킨 다소 과장되고 자극적인 퍼포먼스를 통해 불확실성과 불안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층 등 모든 사회 구성원들에게 격려와 위로, 조언과 안내, 배려와 용서, 성찰과 해탈이란 긍정적인 의미를 적잖이 전파하는 사회적 순기능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철. (2013). E. 핑크의 놀이존재론(I)- 실존 범주로서의 놀이, 현대유럽철학연구, 32: 189-216.
  2. Vycinas, V. (1961). Earth and Gods: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Martin Heidegger. Martinus Nijhoff.
  3. 김희경. (2019). 캐릭터를 통한 한류의 변화와 발전 가능성- 펭수 캐릭터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2019.12.19-23.
  4. 조인희, 윤여광. (2014). 미국-일본의 캐릭터 산업 비교 분석을 통한 한국 캐릭터 산업의 발전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1-8.
  5. 노유정. (2019). 구독 100만 명 돌파한 '펭수', 40억 뷰 인기 끈 '아기상어'. 한국경제, 2019.12.9.
  6. 이지훈. (2017). 캐릭터 스토리의 독창성과 캐릭터의 매력성 및 친근성이 캐릭터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6): 47-56.
  7. 김운한. (2007). 광고 캐릭터의 정보원 속성이 캐릭터 호감도와 광고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4): 297-306.
  8. Callcott, M.F., & Phillips, B.J. (1996). Observations: Elves Makes Good Cookies: Creating Likable Spokes-Character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5(September/October): 73-79.
  9. 조유빈. (2019). 대한민국이 펭수의 매력에 빠졌다. 시사저널, 1581호, 2019.12.23.
  10. 오진영. (2019). 무례한 게 매력? 밀레니얼 세대가 펭수에 반한 이유, 한국일보, 2019.12.30.
  11. Fink, E. (1957). Oase des Glucks. Gedanken zu einer Ontologie des Spiels, Alber.
  12. Fink, E. (1960). 'The Ontology of Play', Philosophy Today, 4(2): 95-109. https://doi.org/10.5840/philtoday19604229
  13. 권승태. (2012). 3막의 비밀, 커뮤니케이션북스.
  14. Bruns, G.L. (2002)."The Hermeneutical Anarchist: Phronesis, Rhetoric, and the Experience of Art," in : Jeff Malpas Ulrich Arnswald, and Jens Kertscher. Ed., Gadamer's Century Essays in Honor of Hans-Georg Gadamer. MIT Press.
  15. 정은해. (2007).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놀이 개념, 인문논총, 57: 55-91.
  16. Klopfer, E., Squire, K., & Jenkins, H. (2002). Environmental Detectives: PDAs as a Window into a Virtual Simulated World. In Proceedings of IEEE International Workshops on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in Education (95-98). IEEE.
  17. Fink, E. (1974). The Ontology of Play. Philosophy Today, 18: 147-161. https://doi.org/10.5840/philtoday197418214
  18. Huizinga, J. (1938). Homo Ludense, Routledge.
  19. 정낙림. (2017). 놀이하는 인간의 철학, 책세상.
  20. 김선진. (2013). 재미의 본질, 경성대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