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orytelling Strategy of and Its Potential to Evolve into Transmedia Franchise

<자이언트 펭TV> 스토리텔링 전략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의 가능성

  • Cho, Hee-Young (International Film Business Academy, Busan Asian Film School)
  • Received : 2020.01.23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EBS's YouTube channel , which has been creating a remarkable cultural phenomenon since April 2019, and to examine the potential for its transition to transmedia franchise. Based on Henry Jenkins'seven principles of transmedia storytelling, shows satisfactory relevance in all but 'multiplicity'out of the 10 capacities consisting of the principles. In particular, was found excellent in terms of core capacities such as 'spreadability', 'immersion', 'worldbuilding', 'continuity', 'drillability' and 'performance'. In additi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in sociocultural practice dimension of the keywords of the related news articles has discovered that is strongly linked to the following five values: 'social integration', 'resistance against authoritarianism', 'self-dignity and reasonable individualism', 'gender neutrality' and 'ecologism', indicating the reason why the work has been able to resonate so extraordinarily with participants across all generations. By answering the two chosen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has proved that has high potential to be successful in evolving into transmedia franchise, while keeping building a new realm of edutainment storytelling by cleverly exploiting EBS's unique identity as a public education broadcaster. is viewed as an exceptional property capable of advancing transmedia storytelling in the local market; thus, productive arguments and contemplation over its evolution in storytelling needs to continue so that it can maintain a long-lasting positive influ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인기 캐릭터 '펭수'의 성장기를 통해 주목할 만한 문화 현상을 형성 중인 EBS의 유튜브 채널 <자이언트 펭TV>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분석하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의 이행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독보적인 캐릭터 '펭수'를 중심으로 한 <자이언트 펭TV>의 유관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담론분석(CDA)의 텍스트 및 담론 수행 차원의 분석을 위해 헨리 젠킨스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7대 원칙 10요소에의 부합 여부를 검토한 결과, '다양성'을 제외한 모든 요소들을 비교적 만족스럽게 충족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성공적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이행하기 위해필수적인 '확산성', '몰입성', '세계관 구축', '연속성', '탐구성', '사용자 참여성'의 주요 항목에서의 우수성이 두드러졌다. 또한 CDA의 사회문화적 수행 차원의 분석을 위해 관련 뉴스 키워드를 검토한 결과 전 연령층의 사용자들을 단기간에 매료시킨 <자이언트 펭TV>의 스토리텔링은 '사회 통합과 소통·공감', '권위 타파', '자존감과 합리적 개인주의', '성 중립성' 및 '생태주의 감수성'의 맥락에서 브랜딩 및 유통 극대화에 매우 유리한 연계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자이언트 펭TV>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이행 가능성 및 스토리텔링 전략상의 강점을 학술적으로 검증했다는데 있다. 전 세대를 아우르며 장수하는 콘텐츠가 그리 많지 않은 국내에서 단비처럼 찾아온 <자이언트펭TV>가 건강한 브랜드 파워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스토리텔링의 진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고민을 이어갈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유빈, [올해의 인물-문화] 2019년, 대한민국이 펭수의 매력에 빠졌다,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993 /2019.01.20
  2. 김현진, [토요워치-펭수앓이] 꼰대에 반기든 펭수... 탈권위 반기는 직딩,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VS5DO8FH6/2019.01.20.
  3. Jenkins, H. Transmedia Education: the 7 Principles Revisited. http://henryjenkins.org/blog/2010/06/transmedia_education_the_7_pri.html /2019.01.20.
  4. 서성은. (2015a).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Herman, D. (2005). "Storyworld", In Routledge Encyclopaedia of Narrative Theory, Herman, D. Jahn, M., & Ryan, M-L.(eds.), pp. 569-570, London: Routledge.
  6. 이동배. (2019). 글로벌시대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연구 케이팝 BTS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17: 69-93.
  7. Jenkins, H. Transmedia Storytelling 101. http://henryjenkins.org/blog/2007/03/transmedia_storytelling_101.html /2019.01.20.
  8. Phillips, A. (2012). A Creator's Guide to Transmedia Storytelling: How to Captivate and Engage Audiences across Multiple Platforms, New York, NY: McGraw-Hill, 2012.
  9. 조희영. (2018). 국내 영상콘텐츠에 적용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웹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3): 309-322.
  10. Evans, E. (2011). Transmedia Television: Audiences, New Media and Daily Life. New York: Routledge, 2011.
  11. Dena, C. (2009). Transmedia Practice: Theorising the Practice of Expressing a Fictional World Across Distinct Media and Environmen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ydney.
  12. Smith, A. (2009). Transmedia Storytelling in Television 2.0.: Strategies for Developing Television Narratives Across Media Platforms. B.A. thesis, Middlebury College, 2009.
  13. Pratten, R. (2011). Getting Started in Transmedia Storytelling: A Practical Guide for Beginners. London: Create Space.
  14. 전경란. (2010).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텍스트 이용 및 특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9): 243-25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243
  15. 신동희, 김희경. (2010).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연구: 스토리텔링과 개념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0): 180-189. https://doi.org/10.5392/JKCA.10.10.180
  16. 서성은. (2015b).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 <미생>의 가능성과 한계. 어문학, 128: 277-308.
  17. 조희영. (2019).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트랜스 미디어 콘텐츠 기획.유통 전략 연구: 드라마와 웹툰 연계 콘텐츠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 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배진아, 박주연. (2010). TV 포맷의 유형화 탐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121-153.
  19. EBS 크리에이터 연습생 '펭수' 유튜브 100만 구독자 돌파, EBS, https://about.ebs.co.kr/board/bbs?boardTypeId=1&boardId=31&cmd=view&pageNo=7&no=14&searchCondition=title&searchKeyword=&postId=10005752606&uri=&tabVal= /2019.01.20
  20. Fairclough, N. (1995).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London: Longman.
  21. Crossley, N. (2005). Key Concepts in Critical Social Theory, London, UK: Sage.
  22. 박정은. (2014). 여가문화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캠핑'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김현진, [토요워치] 청춘 위로하듯... 주류문화틀 깨니 짜릿하네,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VPNSBEFQJ/2019.01.20
  24. 손충근. (2017). <무한도전>의 게임성 연구 : 경계의 모호성과 게임성. 스토리앤이미지텔링, 13: 143-168.
  25. Barthes, R. (2002[1970]). S/Z. Miller, R. (trans.), Oxford: Blackwell Publishing.
  26. 김종성, 김태호-유재석이 찾은 '코로나19' 돌파구, 놀랍다 [리뷰] MBC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 상생을 외치다, 오마이스타,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620170&fbclid=IwAR0WL6xjZygpymkOZiB11VpryTEyib4Us9ds-HTAF6Tx6L9yGfgIJFK7mGo /2019.03.10.
  27. 로제 카이와. (1994). 이상률 역,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28. Jenkins, H. Transmedia Storytelling 202. http://henryjenkins.org/blog/2011/08/defining_transmedia_further_re.html /2019.01.20.
  29. 김신엽. (2016).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마케팅. 박치완, 신광철 외, 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 어벤져스에서 오즈의 마법사까지, pp. 243-268,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30. 윤여광. (2019). 방탄소년단(BTS)의 글로벌 팬덤과 성공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13-25.
  31. 강윤화, "나의 길을 가는 거야 낫시~" 일본의 펭수 '후낫시' 10년 롱런 비결, 일요신문,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60894/2019.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