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Joint Intervention Model in Correcting Distort Leg with Imbalance of the Lower Extremity Joint, Pelvic and Shoulder Girdles, and Lumbar Spine

다리관절, 다리-팔 이음뼈, 허리뼈의 불균형을 가진 휜다리에 대한 전신조정술 관절중재모형의 교정효과

  • Moon, Sangeun (Professor, Dept of Physical Therapy, Masan University)
  • 문상은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교수)
  • Received : 2020.05.11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ctive effect of the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GCM) joint intervention model on distort leg with imbalance of the lower extremity joints, pelvic and shoulder girdles, and lumbar spine. Methods : The study us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ize of the distort leg and the imbalance of the lower extremity joints, pelvic and shoulder girdles, and lumbar spin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GCM joint intervention model. A total of 31 subjects from movement center G and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t university M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GCM joint intervention model was applied to 18 subjects in the bow knee group and 13 subjects in the knock knee group. The two groups received daily intervention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corrective effect of the GCM joint intervention model for each type of distort leg was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 The effects of the GCM joint intervention model in correcting bow knee and knock knee with knee deformation and imbalance of the lower extremity joints, pelvic and shoulder girdles, and lumbar spine were significant in most domains (p<.0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ow knee and knock knee groups showed significance in most domains (p<.05). Conclusion : The GCM joint intervention model showed significant corrective effect in the bow knee and knock knee groups in terms of knee deformation, lower extremity joints, pelvic and shoulder girdles, and lumbar spine (p<.05).

Keywords

Ⅰ. 서론

현대인은 누구나 바른 자세와 아름다운 체형을 갖고 싶어 하는데(Park, 2005), 그 중 주요 쟁점 중의 하나가 휘어진 다리의 문제이다(Kang 등, 2009). 휘어진 다리는 안 굽이 무릎(bow knee)과 밖 굽이 무릎(knock knee)으로 분류되는데, 이들은 대표적인 이마면에서의 비정상적인 무릎 정렬 상태이며, 무릎 관절뿐만 아니라 다리의 전반적인 정렬에 문제를 일으킨다(Chae 등, 2012).

다리 정렬이란 일반적으로 무릎관절 이마면에서의 넙다리뼈와 정강뼈의 관계를 의미하고, 정강 뼈 긴축과 넙다리 뼈 사이부 긴축을 연결한 선이 해부학적 축과 발목 관절, 무릎관절, 넙다리뼈 머리(엉덩관절)를 이은 선을 말한다(Park 등, 2001).

다리 정렬 불균형의 요인으로는 성장기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이 있고(Seok 등, 2010), 무릎 정렬 불균형의 요인으로는 넙다리 네 갈래 근의 부전과 같은 근육의 문제, 정강뼈나 넙다리뼈의 비틀림, 엉덩관절의 변형 등 뼈대 계의 문제 등이 있다(Yip & Ng, 2006). 그리고 나쁜 생활 습관이나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은 휜다리와 연계된다(Gettys 등, 2011).

나쁜 무릎 정렬 상태에 기인하는 넙다리 네 갈래 근의 근육 단면적 차이는 안 굽이 및 밖 굽이 무릎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데(Sogabe 등, 2009), 무릎 넙다리 통증 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은 밖 굽이 무릎 형태에서 주로 관찰된다(Wong, 2009).

휜다리의 밖 굽이 무릎 유형은 허리뼈의 과다 앞굽음과 과체중을 동반하며 발의 안쪽에 부하를 주게 되고 발 엎침을 증가시켜 편 평발을 일으키고(Pretkiewicz-Abacjew, 2006), 무릎관절의 불균형은 발목과 발의 관절뿐만 아니라 골반과 척추에도 영향을 미친다(Seok, 2012). 안굽이 무릎 유형은 넙다리뼈 안쪽 돌림을 일으키며(Fritsch와 Kuehnel, 2008), 정강뼈의 가쪽 돌림 변형 및 휜발을 유발하여(Kendall 등, 2005), 무릎뼈 탈구, 무릎관절의 통증 및 관절염을 유발시킨다(Yip & Ng, 2006). 발목-무릎-엉덩관절과 연결된 물렁 조직의 약화와 단축으로 인한 근육 간 불균형은 신체의 역학적 변화를 일으켜 뼈 대계의 자세를 손상시키고, 관절에 과부하나 근육의 기계적 효율에 영향을 미쳐 관절 안정화에 혼란을 주며 급-만성 다리 손상의 위험요소로도 작용한다(Hortobágyi 등, 2004; Sharma, 2007; Solberg, 2008).

무릎 관절염은 무릎관절 근육의 기능 저하와 불균형으로 관절질환 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며(Pandya 등, 2005) 만성 장애를 초래하는 대표적 퇴행성 질환(McCarberg와 Herr, 2001)으로 관절 연골이나 연골 아래 부위와 같은 관절 변형을 수반한다(Hurwitze 등, 2002). 무릎 관절염 환자들의 약해진 근력이나 비대칭적 근육 활동들은 불안정한 관절을 가속화시킬 수 있고, 근육을 더욱 더 사용하지 않게 하여 넙다리 네 갈래 근의 약화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한다(Sharma 등, 2003). 무릎 관절염의 진행 정도와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마면에서의 다리 정렬 평가를 필요로 하고(Cicuttini 등, 2004), 넙다리 네 갈래 근의 약화와 무릎관절에 수반되는 편중되고 과도한 체중부하는 휜다리의 가속 요인으로 작용한다(Kim & Moon, 2015).

이처럼, 밖-안 굽이 무릎 변형을 동반하는 휜다리는 다리 정렬 불량을 포함하여 척추와 팔다리 관절의 가동성 및 다리의 근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Kim 등, 2012), 척추 변형이나 허리 통증을 촉진시키는(Chae 등, 2012)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휜다리에 대한 평가와 치료는 다리는 물론 척추와 팔-다리 관절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Moon, 2015).

본 연구는 휜다리에 대한 전신 조정술(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GCM)의 맨손 중재와 자가 교정 운동 모형이 휜다리의 교정에 미치는 영향(Kim과 Moon, 2015, 이하 GCM 근육 중재 모형)과의 비교를 위한 연속적 연구의 한 부분이다. 이전 GCM 근육 중재 모형의 연구결과는 밖-안 굽이 무릎 그룹 9개 평가 영역 모두에서 척추와 팔다리 관절의 불균형 개선과 함께 휜 다리의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자는 GCM 관절 중재 모형의 독자적 교정 효과를 근육 중재 모형과 비교 분석하고 싶어서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리 관절, 다리-팔 이음 뼈, 허리뼈의 불균형을 가진 휜다리에 대한 GCM 관절 중재 모형의 교정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자

2019년 4월 1일부터 2019년 10월 31일까지 G-운동센터와 M-대학교 물리치료과에 휜 다리의 교정을 목적으로 자원한 31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목적 및 제반 진행과정 등에 대한 윤리적 설명과 동의를 구한 후 안 굽이 무릎 그룹 18명(남 9, 여 9)과 밖 굽이 무릎 그룹 13명(남 6, 여 7)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질병이나 수술의 과거력과 3일 이상 근육 뼈 대계 통증을 경험한 사람은 제외하였다.

2. 연구방법

연구설계는 두 그룹의 모든 대상자에게 휜다리의 유형별 크기와 그에 따른 다리 관절, 골반-팔 이음 뼈, 허리뼈의 불균형 상태를 측정 분석한 후 그에 따른 전신 조정술의 관절 중재 모형을 격일 간격으로 주 3회 4주간 12일 적용하였다. 그런 후 동일 방법으로 재평가하여 휜 다리의 유형별 전신 조정술 관절 중재 모형의 교정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1) 휜다리 유형의 분류

기립자세에서 무릎관절 넙다리 안쪽 복사뼈와 발목관절 안쪽 복사뼈를 가능한 한 중립적으로 함께 붙이라고 지시한 후, 발목관절 안쪽 복사뼈는 맞붙지만 무릎관절 넙다리 안쪽 복사뼈가 벌어진다면 안 굽이 무릎, 무릎관절 넙다리 안쪽 복사뼈는 맞붙지만 발목관절 안쪽 복사뼈가 벌어진다면 밖 굽이 무릎 유형으로 분류하였다(Kim & Moon, 2015).

2) 안-밖 굽이 무릎 유형의 크기 측정 및 도구

양측 무릎 넙다리 안쪽 복사뼈 사이의 안 굽이 무릎 크기와 양측 발목 정강 뼈 안쪽 복사뼈 사이의 밖 굽이 무릎 크기에 대한 측정은 디지털 수평거리 측정기(DC-146A, Backlight digital caliper ISO, Chin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Fig 1).

DHTHB4_2020_v8n3_1_f0001.png 이미지

Fig 1. Backlight digital caliper ISO 

3) 다리 관절, 다리-팔 이음 뼈, 허리뼈의 불균형 크기 측정 및 도구

다리 관절인 발목-무릎-엉덩관절과 골반-팔 이음 뼈 및 허리뼈의 자세평가용 뼈 돌기 정점을 촉진 마킹한 후, 각 관절별 불균형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로 디지털 수평거리 측정기, 측각기 어플(Cliometer bubble level, Plaincode TM, Korea)(Fig 2), 디지털카메라(D90, Nikon, Japan), 디지털 편집기(Picpicktools ver 5.0.2, Freeware, Kore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다리 관절, 다리-팔 이음 뼈, 허리뼈의 크기 측정을 위한 주요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리 관절의 자세평가로 발목관절의 자세 평가는 발 앞쪽 체중심 정점을 마킹하여 좌-우측 레벨 (높낮이) 비교 측정(각도), 발목 안쪽 복사뼈 정점 마킹하여 좌-우측 무릎 아래 뼈 돌림 상태를 비교 측정(cm)하였다. 무릎관절의 자세평가는 무릎뼈 앞쪽 면 정점을 마킹하여 좌-우측 레벨과 방향(cm)을 비교 측정하였다. 엉덩 관절의 자세평가는 넙다리 큰 돌기 정점을 마킹하여 좌우측 앞-뒤 위치를 비교 측정(cm)하였다. 둘째, 다리 이음 뼈의 자세평가는 엉덩뼈 능선과 앞-뒤 위쪽 엉덩뼈 가시 정점을 각각 마킹하여 좌-우측 레벨을 비교 측정(각도)하였다. 셋째, 허리뼈 옆 굽음 크기 측정은 제3~5 허리뼈 중 가장 큰 옆굽음을 보이는 가시돌기 정점을 찾아 마킹한다. 그런 다음 양발 뒷꿈치 뼈 중심점에서 제7목뼈 방향으로 그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옆 굽음 된 가시돌기 정점까지의 거리를 측정(cm)하였다. 넷째, 팔 이음 뼈의 자세 평가는 어깨뼈 아랫각 및 봉우리의 정점을 각각 마킹하여 좌-우측 레벨을 비교 측정(각도)하였다. 다섯째, 골반 및 몸통 돌림의 자세평가는 기립자세에서의 옆면 이상적 추선을 기준으로 엉덩뼈 능선 및 어깨뼈 봉우리의 정점을 마킹하여 좌-우측 앞쪽 위치를 비교 측정(cm)하였다.

DHTHB4_2020_v8n3_1_f0002.png 이미지

Fig 2. Cliometer bubble level 

3. 전신 조정술(GCM)의 관절 중재 모형

휜다리에 관련된 엉덩-무릎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 조정술의 체형별 중재 적용 근육 중 단축된 넙다리빗 근 혹은 넙다리 근막 긴장근과 안쪽 혹은 가쪽 뒤 넙다리 근을 각각 택일하여 점진적인 수동 신장 도수치료를 적용한다. 그런 후 전신 조정술의 체형별 중재 적용부 엉덩 무릎-발목 관절 중 가동성의 제한이 가장 큰 1개 관절을 선택하여 관절 연쇄 사슬을 따라 전신에 걸친 관절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정-신장 회전 중재 도수치료기법을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모형(Fig 3)을 설정하였다(Moon, 2015).

DHTHB4_2020_v8n3_1_f0003.png 이미지

Fig 3. Tibio-femoral and tibio-talus joint intervention models 

4. 자료 분석

두 그룹 31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Version 20.0(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두 그룹의 중재 전․후에 대한 집단내 비교 검정은 대응표본 t-검정, 집단 간 비교 검정은 독립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유의 수준 α=. 05로 설정하였다.

Ⅲ.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령, 체중에서 안-밖 굽이 무릎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만(p>. 05) 신장(㎝)에서는 유의하였다(p>. 0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DHTHB4_2020_v8n3_1_t0001.png 이미지

BG: bow-knee group, KG: knock-knee group 

2. 휜 다리의 유형별 변형 크기와 다리 관절, 골반-팔 이음 뼈, 허리뼈의 불균형 양상(중재 모형 적용 전)

1) 휜 다리의 유형별 변형 크기

안 굽이 무릎 그룹 4.27 ㎝, 밖 굽이 무릎 그룹 5.37 ㎝로 휜다리의 유형별 변형 크기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Table 2).

Table 2. Corrective effect of bow & knock knee deformation 

DHTHB4_2020_v8n3_1_t0002.png 이미지

BG: bow-knee group, KG: knock-knee group 

Table 3. Correction effect of imbalance in lower extremity joints 

DHTHB4_2020_v8n3_1_t0003.png 이미지

BG: bow-knee group, KG: knock-knee group 

2) 다리 관절의 불균형 크기(Table 3)

(1) 발목관절의 불균형 크기

안 굽이 무릎 그룹은 발목 레벨 1.04 °, 무릎 아래 뼈 돌림 1.77 °, 밖 굽이 무릎 그룹은 발목 레벨 0.92 °, 무릎 아래 뼈 돌림 2.15 °로 나타났다. 발목 레벨은 안 굽이 무릎, 무릎 아래 뼈 돌림은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발목관절의 불균형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2) 무릎관절의 불균형 크기

안 굽이 무릎 그룹은 무릎뼈 높낮이 2.25 °, 무릎뼈 방향 0.00 °, 밖 굽이 무릎 그룹은 무릎뼈 높낮이 3.20 °, 무릎뼈 방향 0.38 °로 무릎관절의 불균형 크기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모두 크게 나타났다.

(3) 엉덩관절의 불균형 크기

안 굽이 무릎 그룹 0.37 ㎝, 밖 굽이 무릎 그룹 0.70 ㎝로 엉덩관절(넙다리 큰 돌기 이상 돌림)의 불균형 크기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다리 이음 뼈의 불균형 크기(Table 4)

(1) 엉덩뼈 불균형의 크기

안굽이 무릎 그룹은 엉덩뼈 능선 1.44 °, 앞 위쪽 엉덩뼈 가시 1.66 °, 뒤 위쪽 엉덩뼈 가시 3.01 °, 밖 굽이 무릎 그룹은 엉덩뼈 능선 1.52 °, 앞 위쪽 엉덩뼈 가시 2.19 °, 뒤 위쪽 엉덩뼈 가시 1.63 °로 나타났다. 엉덩뼈 능선과 앞 위쪽 엉덩뼈 가시는 안 굽이 무릎, 뒤 위쪽 엉덩뼈 가시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엉덩뼈 불균형의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2) 골반 돌림 불균형의 크기

안 굽이 무릎 그룹 2.02 ㎝, 밖 굽이 무릎 그룹 2.76 ㎝로 골반 돌림 불균형의 크기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able 4. Correction effect of imbalance in pelvis girdle 

DHTHB4_2020_v8n3_1_t0004.png 이미지

BG: bow-knee group, KG: knock-knee group 

4) 제3~5 허리뼈(L3~L5) 옆 굽 음의 크기(Table 5)

안 굽이 무릎 그룹 0.81 ㎝, 밖 굽이 무릎 그룹 0.90 ㎝로 허리뼈(L3~L5) 옆 굽 음의 크기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able 5. Correction effect of lumbar scoliosis(L3~L5) 

DHTHB4_2020_v8n3_1_t0005.png 이미지

BG: bow-knee group, KG: knock-knee group 

5) 팔 이음 뼈의 불균형 크기(Table 6)

(1) 어깨뼈 아래 불균형의 크기

안 굽이 무릎 그룹 1.94 °, 밖 굽이 무릎 그룹 2.29 °로 어깨뼈 아래 레벨 불균형의 크기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2) 어깨(어깨뼈 봉우리) 불균형의 크기

안 굽이 무릎 그룹 2.05 °, 밖 굽이 무릎 그룹 2.29 °로 어깨 레벨 불균형의 크기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몸통 돌림 불균형의 크기

안 굽이 무릎 그룹 2.84 ㎝, 밖 굽이 무릎 그룹 4.22 ㎝로 몸통 돌림 불균형의 크기는 밖 굽이 무릎 그룹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able 6. Correction effect of imbalance in shoulder girdle 

DHTHB4_2020_v8n3_1_t0006.png 이미지

BG: bow-knee group, KG: knock-knee group 

3. 휜다리의 유형별 변형과 다리 관절, 골반-팔 이음 뼈, 허리뼈의 불균형 교정 효과(중재 모형 적용 후)

1) 휜다리의 유형별 교정 효과

안 굽이 무릎 그룹 2.43 ㎝, 밖 굽이 무릎 그룹 2.87 ㎝로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Table 2)(p <. 05).

2) 다리 관절의 불균형 교정 효과(Table 3)

(1) 발목관절의 불균형 교정 효과

밖 굽이 무릎 그룹은 발목 레벨 0.66 ° 및 무릎 아래 뼈 돌림 0.22 °, 안 굽이 무릎 그룹은 발목 레벨 영역에서만 0.68 °의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5).

(2) 무릎관절의 불균형 교정 효과

무릎뼈 높낮이 영역에서 안 굽이 무릎 그룹 1.20 °와 밖 굽이 무릎 그룹 1.85 °의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 (p <. 05). 그러나 무릎뼈 방향 영역에서는 안-밖 굽이 무릎 그룹 모두 유의성이 없었다(p>. 05).

(3) 엉덩관절의 불균형 교정 효과

안 굽이 무릎 그룹 0.21 ㎝, 밖 굽이 무릎 그룹 0.37 ㎝로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5).

3) 다리 이음 뼈의 불균형 교정 효과(Table 4)

(1) 엉덩뼈 불균형 교정 효과

안 굽이 무릎 그룹 엉덩뼈 능선 0.99 °-앞 위쪽 엉덩뼈 가시 1.02 °-뒤 위쪽 엉덩뼈 가시 1.74 °, 밖 굽이 무릎 그룹 엉덩뼈 능선 0.91 °-앞 위쪽 엉덩뼈 가시 1.30 °-뒤 위쪽 엉덩뼈 가시 0.95 °로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5).

(2) 골반 돌림 불균형 교정 효과

안 굽이 무릎 그룹 1.42 ㎝, 밖 굽이 무릎 그룹 0.71 ㎝로두 그룹 모두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5). 4) 허리뼈(L3~L5)의 옆 굽음 교정 효과 안굽이 무릎 그룹 0.42 ㎝, 밖 굽이 무릎 그룹 0.39 ㎝로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 (p <. 05)(Table 5).

5) 팔 이음 뼈의 불균형 교정 효과(Table 6)

(1) 어깨뼈 아래 레벨 불균형 교정 효과

안 굽이 무릎 그룹 0.95 °, 밖 굽이 무릎 그룹 1.47 °로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5).

(2) 어깨 레벨 불균형 교정 효과

안 굽이 무릎 그룹 1.02 °, 밖 굽이 무릎 그룹 1.28 °로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5).

(3) 몸통 돌림 불균형 교정 효과

안 굽이 무릎 그룹 1.51 ㎝, 밖 굽이 무릎 그룹 2.47 ㎝로 두 그룹 모두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p <. 05).

Ⅳ. 고찰

휜다리와 그에 연계된 척추 및 팔다리 관절의 통합 교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휜 다리에 대한 GCM 근육 중재 모형(Kim과 Moon, 2015)과의 비교를 위한 연속적 연구의 한 부분으로 다리 관절과 다리-팔 이음 뼈 및 허리뼈의 불균형을 가진 휜 다리에 대한 GCM 관절 중재 모형의 교정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휜다리와 척추 및 팔다리 관절의 통합 교정에 관한 근거 및 임상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휜다리의 변형 크기는 직전 논문인 GCM 근육 중재 모형에서와 마찬가지로 밖 굽이 무릎이 안 굽이 무릎 유형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다리 관절과 다리-팔 이음 뼈 및 허리뼈의 휜다리 유형별 불균형 크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발목관절의 불균형 크기는 직전 논문과 본 논문 모두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무릎뼈 높낮이 및 엉덩관절의 불균형 크기는 직전 논문과 본 논문 모두 밖 굽이 무릎 유형에서 더 크게 나타났지만 복부 불균형 영역에서는 안 굽이 무릎 유형의 불균형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직전 논문에 비해 본 논문에서 밖 굽이 무릎 유형의 불균형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난 부위로는 무릎 아래 뼈 돌림, 엉덩뼈 능선-앞 위쪽 엉덩뼈 가시 골반 돌림 다리 이음 뼈, 허리뼈의 옆 굽음, 어깨, 어깨뼈, 몸통 돌림 영역이었다. 반대로 안 굽이 무릎 유형의 불균형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난 부위로는 뒤 위쪽 엉덩뼈 가시 다리 이음 뼈 영역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GCM 체형별 근육-관절 연쇄기 전에 따라(Moon, 2015) 밖 굽이 무릎 유형이 허리뼈의 과다 앞 굽음과 과체중을 동반하며 발의 안쪽에 부하를 주게 되고 발 엎침을 증가시켜 편 평발을 일으키는데 (Pretkiewicz-Abacjew, 2006) 반해, 안 굽이 무릎 유형은 넙다리뼈 안쪽 돌림을 일으키며(Fritsch와 Kuehnel, 2008), 정강뼈의 가쪽 돌림 변형 및 휘어진 발을 유발하는 (Kendall 등, 2005) 역학적인 관절 사슬상의 변형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휜다리의 교정 효과는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그룹 간 비교에서는 직전 논문인 GCM 근육 중재 모형과는 반대로 본 논문인 GCM 관절 중재 모형 밖 굽이 무릎 유형에서 더 큰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밖 굽이 무릎 그룹의 신체 유형이 안 굽이 무릎 그룹에 비해 비대하여 관절면의 안정성에서 유리한 큰 함요-요철 관절면을 갖고 있는 비만형(endomorph) 범주가 많아(Moon, 2015) 관절 중재에서 더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은 다리 관절과 다리-팔 이음 뼈 및 허리뼈의 균형 회복 효과이다. 두 그룹 모두에서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그룹 간 비교에서는 다르게 나타났다. 직전 논문인 GCM 근육 중재 모형에서 더 큰 균형 회복 효과가 나타난 그룹 및 영역은 안 굽이 무릎 그룹의 발목과 무릎 및 엉덩관절 그리고 다리 이음 뼈 영역, 밖 굽이 무릎 그룹의 허리뼈 옆 굽음 및 팔 이음 뼈(몸통 영역) 영역이었다. 그리고 본 논문인 GCM 관절 중재 모형에서 더 큰 균형 회복 효과가 나타난 그룹 및 영역은 안 굽이 무릎 그룹의 허리뼈 옆 굽음 영역, 밖 굽이 무릎 그룹의 발목과 무릎 및 엉덩관절, 다리 이음 뼈(골반 돌림과 앞 위쪽 엉덩뼈 가시 레벨), 팔 이음 뼈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근육 중재가 주가 되거나 관절 중재가 주가 되는 GCM 연쇄 사슬상의 역학적 힘을 이용한 교정은 안-밖 굽이 무릎의 유형별 및 그에 부속된 관절 영역별로 효과의 차이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어깨뼈와 엉덩뼈의 상대적 기울임 유형에 따라 분류되는 GCM 체형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의 적용부에 한해 적용된 개인별 맞춤형 중재 시스템, 즉 원인 규명에 따른 척추와 팔다리 관절의 관절면 운동 중심의 통합적 조절이 체형별 근육-관절 연쇄 사슬을 따라 전신에 걸친 근 긴장도와 관절면의 안정성 개선에 영향을 미쳐(Moon, 2015) 교정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1994년 발간된 전신 조정술(현문사)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27년째 계속되고 있는 연속 연구로 약 20여 편의 임상연구 논문과 2003년 바르셀로나 세계 물리치료 학술대회(World Confederation for Physical Therapy; WCPT) 논문 발표를 통해 요통 등 기능 장애성 근육 뼈 대계 병변에 대한 척추와 팔다리 관절의 통합적 진단-평가-치료-관리 프로그램을 구축 중이다. 그리고 근래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휘어진 다리에 대한 교정 영역에서 GCM의 효과를 검증할 목적으로 동일 방법으로 진행한 결과, 이상에서와 같이 근육 및 관절 교정 모형 모두에서 유의한 교정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수와 조건 및 다양성이 적고 연구기간이 짧아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보다 다양한 조건을 가진 더 많은 다리 대상자와 더 긴 연구기간을 설정한 추후의 심층적 보완연구를 필요로 한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다리 관절과 다리-팔 이음 뼈 및 허리뼈의 불균형을 가진 휜다리에 대한 GCM 관절 중재 모형의 교정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GCM 관절 중재 모형 적용 후 두 그룹 모두 휜다리의 변형 크기는 감소하는 교정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리 관절과 다리-팔 이음 뼈 및 허리뼈의 균형 회복 개선 효과도 함께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CM 관절 중재 모형은 휜다리의 교정과 그에 동반된 연계 관절의 균형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GCM의 체형별 관절 연쇄사슬에 따른 관절면의 안정성 증진기법이 휜다리와 그에 수반된 불균형의 통합적 교정에 중요한 하나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휜다리와 체형교정의 물리치료 영역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교정 프로그램 구축에 GCM 근육-관절 중재 모형이 좋은 임상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 논문은 2019년도 마산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Chae YW, Park JW, Park S(2012). The effect of postural stability on genu varum in young adults. J Korean Phys Ther, 24(6), 419-422.
  2. Cicuttini F, Wluka A, Hankin J, et al(2004).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nee angle and tibiofemoral cartilage volume in subjects with knee osteoarthritis. Rheumatol, 43(3), 321-324. https://doi.org/10.1093/rheumatology/keh017.
  3. Fritsch H, Kuehnel W(2008). Color atlas of human anatomy. 5th ed, New York, Thieme. pp.268-275.
  4. Gettys FK, Jackson JB, Frick SL(2011). Obesity in pediatric orthopedics. Orthopedic Clinics of North America, 42(1), 95-105. https://doi.org/10.1016/j.ocl.2010.08.005.
  5. Hortobagyi T, Westerkamp L, Beam S, et al(2004). Altered hamstring-quadriceps muscle balanc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Clin Biomech, 20(1), 97-104. https://doi.org/10.1016/j.clinbiomech.2004.08.004.
  6. Hurwitze DE, Ryals AB, Case JP, et al(2002). The knee adduction moment during gait in subjects with knee osteoarthritis is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static alignment than radiographic disease severity, toe out angle and pain. J Orthop Res, 20(1), 101-107. https://doi.org/10.1016/S0736-0266(01)00081-X.
  7. Kang SH, Lee WJ, Kim TY(2009). Possible effects of applying rehabilitation program upon bowlegged undergraduates COG (center of gravity) oscillation and its correction. J Sport Leisure Studies, 35(2), 1061-1072. https://doi.org/10.51979/KSSLS.2009.02.35.1061
  8.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2005).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s. pp.49-52.
  9. Kim MH, Koh EK, Jung DY(2012). Analysis of kinematic motions of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during electrical stimulation of abductor hallucis muscle in subjects with hallux valgus. J Korean Phys Ther, 24(4), 276-281.
  10. Kim YS, Moon SE(2015). The effects of the manual intervention and self 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on the distorsional leg. J Korean Soc Integrative Med, 3(1), 29-39. https://doi.org/10.15268/ksim.2015.3.1.029.
  11. McCarberg BH, Herr KA(2001). Osteoarthritis, how to manage pain and improve patient function. Geriatr, 56(10), 14-17.
  12. Moon SE(1994).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Seoul, Hyunmoon Publishing Co.
  13. Moon SE(2003). A new approach to the whole body intervention program(WBIP) of non-specific back disorder. The 1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WCPT, SI-PL-0827. https://www.wcpt.org/sites/wcpt.org/files/abstracts2003/common/abstracts/0827.html.
  14. Moon SE(2015).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3rd ed, Seoul, Jeongdam Media, pp.53.
  15. Pandya NK, Draganich L, Mauer A, et al(2005). Osteoarthritis of the knees increases the propensity to trip on an obstacle. Clin Orthop Relat Res, 431, 150-156. https://doi.org/10.1097/01.blo.0000150316.97009.f2.
  16. Park KD(2005). The effect of pelvic manipulation to primary school students balance, flexibility, and LLI. Korean J Growth Development, 13(2), 13-22.
  17. Park RJ, Jang JH, Park DM, et al(2001). Physical therapy encyclopedia, basic and evaluation of physical therapy. Seoul, Nanum-ui Jib, pp.345-346.
  18. Pretkiewicz-Abacjew E(2006). A comparison of body positioning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genu valgum. Gait Posture, 24(2), S184-S185.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6.11.128.
  19. Seok SH(2012). The effect of functional exercise for growth and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students with genu valgum.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20. Seok SH, Kim KB, Kim HS, et al(2010). Effect of foot orthotics on muscular function of knee and lumbar during exercise rehabilitation in adolescent boys. J Exerc Rehabil, 6(1), 131-138.
  21. Sharma L(2007). The role of varus and valgus alignment in knee osteoarthritis. Arthritis Rheumatism, 56(4), 1044-1047. https://doi.org/10.1002/art.22514.
  22. Sharma L, Dunlop DD, Cahue S, et al(2003). Quadriceps strength and osteoarthritis progression in malaligned and lax knees. Ann Int Med, 138(8), 613-619. https://doi.org/10.7326/0003-4819-138-8-200304150-00006.
  23. Sogabe A, Mukai N, Miyakawa S, et al(2009). Influence of knee alignment on quadriceps cross-sectional area. J Biomech, 42(14), 2313-2317. https://doi.org/10.1016/j.jbiomech.2009.06.022.
  24. Solberg G(2008). Postural disorders and musculoskeletal dysfunction: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2nd ed,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pp.303.
  25. Yip SL, Ng GY(2006). Biofeedback supplementation to physiotherapy exercise programme for rehabilitation of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lin Rehabil, 20(12), 1050-1057. https://doi.org/10.1177/0269215506071259.
  26. Wong YM(2009). Recording the vastii muscle onset timing as a diagnostic parameter for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fact or fad. Phys Ther Sport, 10(2), 71-74. https://doi.org/10.1016/j.ptsp.2009.0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