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NRF-2018S1A6A3A04042721)임.
참고문헌
- 강성률.박병선.이정미.최귀숙(2015), 한부모가정 아동, 청소년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와 지역사회지지의 다중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32(0), 137-157.
- 고광이(2020). 지역별 가족행복종합지수 개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1(3), 621-647.
- 김소희(2009),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1), 117-142.
- 김도희(2017),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마을만들기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과제: 울산시 북구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8(2), 91-130. https://doi.org/10.15818/IHSS.2017.18.2.91
- 김동배.이은진.이경은(2010). 손자녀 주양육자 및 공동양육자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노인복지연구, 62(0), 183-209.
- 김미곤.여유진.정해식.박이택.김성아(2017),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석준.배경희(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학, 64(3), 5-27.
- 김세진.문수경(2013),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참여기간, 가족관계만족도, 참여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115-130.
- 김형일.유승호(2015), '더 나은 삶 지수'에서의 '주관적 웰빙'에 관한 연구: 주관적 웰빙의 내적.외적 양태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19(1), 65-90.
- 김혜경 외(2014),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 서울: 다산출판사.
- 노신애.진미정(2012), 지역사회 범위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가족친화성 평가: 서울시 거주 미취학 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279-294.
- 박승규(2014), 지역주민 행복도 지수 도출 개념 및 측정방안, 지방자치Focus, 81(0), 1-21.
- 박주희(2012), 가족친환적 생활환경 만족도와 역할 갈등의 대처 전략이 맞벌이 취업남녀의 역할 만족도와 역할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2), 59-83.
- 박소현.최이명.서한림(2007), 가족친화마을 평가지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 변미리.민보경.박민진(2017), 서울형 행복지표 구축과 제도화 방안. 서울연구원.
- 신화경.조인숙 (2013). 가족친화 주거환경을 위한 지역 커뮤니티 평가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6), 177-187 https://doi.org/10.6107/JKHA.2013.24.6.177
- 오세일.고태경.전승봉(2019), 청년세대를 위한 통합적 삶의 질 연구, 사회과학연구 27(2), 88-121. https://doi.org/10.17787/JSGISS.2019.27.2.88
- 이준상.김향아(2017).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27-36.
- 이희길.심수진.이정윤(2017), 국민 삶의 질 지표 개편, 통계개발원
- 정영금.윤소영.조성은(2014), 가족친화지수 추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7-35.
- 조은숙(2016), 가족행복지수 개발 및 시범적용 연구: 건강가정사업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1), 119-144.
- 진미정(2018), 가족정책 관점에서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개념화, 한국가족복지학, 23(2), 337-361.
- 진경.조창덕(2015), 지역공동체 행복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세종: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차성란(2011),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역량 강화 방안: 살기좋은 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분석을 기초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3), 23-42.
- 차성란.이해욱(2011), 가족친화마을 환경조성을 위한 주민들의 아파트 내외부 및 근린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대전시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45-62
- 한국개발연구원(2018), 국민행복지표 개발 연구, 세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5), 2015년 지역생활권 지표 구축 및 주민행복도 조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 한준(2015), 한국인의 삶의 질의 사회적 결정요인, 국정관리연구, 10(2), 67-94
- Helliwell, J.K, Wang S.(2011), Trust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1(1), 42-78.
- Lewin, Kurt. (1951),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New York: Harper.
- Urie, Bronfenbrenner. (1979). The eclology of human development-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 Murray, H.A. (1938). Explorations in personality. Oxford Univ. Press.
- 국가미래연구원(2017), 국민행복지수,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public, 자료검색일: 2019.12.30.)
- 김태호(2019), 한국인 소득과 직업에 불만 많고, 건강과 가족에 만족도 높다, 중앙일보, 6월 3일. (https://news.joins.com/article/23487334#none, 자료검색일: 2020.01.15.)
- 방준호(2018), 10년 전과 비교한 한국인의 삶의 질...'가족.공동체' 뒷걸음, 한겨레, 6월 9일.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51249.html, 자료검색일: 2020.01.15.)
- 박종서.이지혜(2014). 가족관계만족도의 특징과 사회적 함의, 보건복지포럼(2014.5), 33-44.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periodical/view.do?ano=514&menuId=48&aid=326&tid=38&bid=19, 자료검색일: 2019.12.30.)
- 통계청(2017), 국민 삶의 질 2017, (http://kostat.go.kr/sri/srikor/srikor_pbl/2/index.board? bmode=read&aSeq=370293&pageNo=5&rowNum=10&amSeq=&sTarget=&sTxt=, 자료검색일: 2019. 12. 30)
- 통계청, 각년도, 사회조사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 자료검색일: 2020.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