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Community on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Family Happiness Composite Index in Korea

지역사회가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행복종합지수를 중심으로

  • 오영은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추주희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 고광이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Received : 2020.05.16
  • Accepted : 2020.06.29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family-friendliness of the reg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 and the community environment, and objectively comparing the lo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family. To this end, we reviewed the areas of socio-cultural and economic sectors that affect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trend of changes in regional index by utilizing the Korean Family Happiness Composite Index (KFHCI) developed as a community indicators. This index utilizes community indicators published in the National Statistical Portal's "e-Region indicators," and these variables are related to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seven areas of the Family Happiness Composite Index (Population Family, Health Culture, Education, Income Consumption, Employment Labor, Housing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Social Integration) by region, and examined the trends for 10 years. According to the study, the average score of KFHCI's entire region was rising from 2008 to 2018. Overall, the community environment that affect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also improving. The regions belonging to the upper level were Jeonnam, Gangwon, Chungnam, Jeonbuk, and Gyeongbuk. Areas belonging to the lower level are Seoul, Busan, Daegu, Incheon, and Gwangju. In almost sectors, the lower-level regions did not have sufficient physical infrastructure compared to population density and over-density, and improved little by little, but not enough to reflect the needs of local peopl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we should develop more regular and complementary indicators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each region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study the impact of each index field when a socioeconomic crisis occurs due to social disasters, and try to change indicators

이 연구는 가족관계와 지역사회 환경의 관계를 살피고, 가족을 둘러싼 지역 환경을 객관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지역의 가족친화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 경제적 차원의 영역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지역사회지표로 개발된 한국가족행복종합지수(이하, 종합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종합지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종합지수는 국가통계포털의 「e-지방지표」에서 공시한 지역사회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이 변수들은 가족관계만족도와 연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행복종합지수의 7개 영역(인구가족, 건강문화, 교육, 소득소비, 고용노동, 주거 교통, 환경 및 사회통합)을 비교하여 10년간 추이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2008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종합지수의 전국 평균점수는 점점 상승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가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환경 역시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위레벨에 속한 지역은 전남, 강원, 충남, 전북, 경북으로 비수도권 및 농촌권역이었다. 하위레벨에 속한 지역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로 모두 특광역시로 대도시권역이다. 전반적으로 하위레벨에 속한 지역들은 인구 밀집 및 과밀도에 비해 관련 물리적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조금씩 개선하고 있었으나, 지역민의 욕구를 반영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만큼은 아니었다. 향후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각 지역별 맞춤형 정책 마련을 위해서 보다 정기적이고 보완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가 각 영역별, 지역별 미친 영향과 향후 변화추이를 지속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 (NRF-2018S1A6A3A04042721)임.

References

  1. 강성률.박병선.이정미.최귀숙(2015), 한부모가정 아동, 청소년의 우울과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와 지역사회지지의 다중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32(0), 137-157.
  2. 고광이(2020). 지역별 가족행복종합지수 개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1(3), 621-647.
  3. 김소희(2009),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1), 117-142.
  4. 김도희(2017),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마을만들기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과제: 울산시 북구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8(2), 91-130. https://doi.org/10.15818/IHSS.2017.18.2.91
  5. 김동배.이은진.이경은(2010). 손자녀 주양육자 및 공동양육자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노인복지연구, 62(0), 183-209.
  6. 김미곤.여유진.정해식.박이택.김성아(2017),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석준.배경희(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검증, 사회복지학, 64(3), 5-27.
  8. 김세진.문수경(2013),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참여기간, 가족관계만족도, 참여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115-130.
  9. 김형일.유승호(2015), '더 나은 삶 지수'에서의 '주관적 웰빙'에 관한 연구: 주관적 웰빙의 내적.외적 양태를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19(1), 65-90.
  10. 김혜경 외(2014),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 서울: 다산출판사.
  11. 노신애.진미정(2012), 지역사회 범위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가족친화성 평가: 서울시 거주 미취학 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279-294.
  12. 박승규(2014), 지역주민 행복도 지수 도출 개념 및 측정방안, 지방자치Focus, 81(0), 1-21.
  13. 박주희(2012), 가족친환적 생활환경 만족도와 역할 갈등의 대처 전략이 맞벌이 취업남녀의 역할 만족도와 역할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2), 59-83.
  14. 박소현.최이명.서한림(2007), 가족친화마을 평가지표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5. 변미리.민보경.박민진(2017), 서울형 행복지표 구축과 제도화 방안. 서울연구원.
  16. 신화경.조인숙 (2013). 가족친화 주거환경을 위한 지역 커뮤니티 평가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6), 177-187 https://doi.org/10.6107/JKHA.2013.24.6.177
  17. 오세일.고태경.전승봉(2019), 청년세대를 위한 통합적 삶의 질 연구, 사회과학연구 27(2), 88-121. https://doi.org/10.17787/JSGISS.2019.27.2.88
  18. 이준상.김향아(2017).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27-36.
  19. 이희길.심수진.이정윤(2017), 국민 삶의 질 지표 개편, 통계개발원
  20. 정영금.윤소영.조성은(2014), 가족친화지수 추세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7-35.
  21. 조은숙(2016), 가족행복지수 개발 및 시범적용 연구: 건강가정사업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1), 119-144.
  22. 진미정(2018), 가족정책 관점에서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개념화, 한국가족복지학, 23(2), 337-361.
  23. 진경.조창덕(2015), 지역공동체 행복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세종: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차성란(2011),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역량 강화 방안: 살기좋은 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역량강화 프로그램 분석을 기초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3), 23-42.
  25. 차성란.이해욱(2011), 가족친화마을 환경조성을 위한 주민들의 아파트 내외부 및 근린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대전시 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45-62
  26. 한국개발연구원(2018), 국민행복지표 개발 연구, 세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7.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5), 2015년 지역생활권 지표 구축 및 주민행복도 조사,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8. 한준(2015), 한국인의 삶의 질의 사회적 결정요인, 국정관리연구, 10(2), 67-94
  29. Helliwell, J.K, Wang S.(2011), Trust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1(1), 42-78.
  30. Lewin, Kurt. (1951),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New York: Harper.
  31. Urie, Bronfenbrenner. (1979). The eclology of human development-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Boston: Harvard University press.
  32. Murray, H.A. (1938). Explorations in personality. Oxford Univ. Press.
  33. 국가미래연구원(2017), 국민행복지수, (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e=public, 자료검색일: 2019.12.30.)
  34. 김태호(2019), 한국인 소득과 직업에 불만 많고, 건강과 가족에 만족도 높다, 중앙일보, 6월 3일. (https://news.joins.com/article/23487334#none, 자료검색일: 2020.01.15.)
  35. 방준호(2018), 10년 전과 비교한 한국인의 삶의 질...'가족.공동체' 뒷걸음, 한겨레, 6월 9일.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51249.html, 자료검색일: 2020.01.15.)
  36. 박종서.이지혜(2014). 가족관계만족도의 특징과 사회적 함의, 보건복지포럼(2014.5), 33-44.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periodical/view.do?ano=514&menuId=48&aid=326&tid=38&bid=19, 자료검색일: 2019.12.30.)
  37. 통계청(2017), 국민 삶의 질 2017, (http://kostat.go.kr/sri/srikor/srikor_pbl/2/index.board? bmode=read&aSeq=370293&pageNo=5&rowNum=10&amSeq=&sTarget=&sTxt=, 자료검색일: 2019. 12. 30)
  38. 통계청, 각년도, 사회조사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3/index.board, 자료검색일: 2020.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