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trategic Festival Planning on Festival Satisfaction and Urban Regeneration : Focusing on the Gimje Horizon Festival

전략적 축제기획이 축제만족과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제지평선축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2.28
  • Accepted : 2020.03.21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An empirical study utilizing data was performed with a variable called 'strategic planning' for festivals in order to look into the impact of a cultural tourism festival on urban regeneration. As a success factor of a festival, strategic festival planning was drawn up, and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Seven strategic factors verified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festival satisfaction (festival success) and on urban regeneration, and festival satisfaction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urban regeneration by having a mediating effect on it. For the analysis, the Gimje Horizon Festival was selected as it was considered as a typical case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a festiv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stival and urban regeneration was understood by conducting a combined analysis of a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a survey, a literature search, field investig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e quantitative analysis indicates that strategic planning has a positive impact on festival satisfaction (festival success) and on urban regeneration and that festival satisfac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urban regeneration. The same study result as the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was obtained even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This shows that the higher the path coefficient of strategic planning, the higher the path coefficient of festival satisfaction and urban generation and that with better strategic planning, the effects of festival satisfaction and urban regeneration are maximized. In other words, when planning and implementing a festival by actively incorporating the seven strategic planning factors which were suggested as festival success factors earlier in this study beginning from the stage of festival planning, it is likely to have a positive impact not only on the success of the festival but also on urban regeneration. This is an implication that gives a new alternative to software-based urban regeneration through festivals. It is meaningful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festival planning and the direction of planning to maximize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to festival planners and urban regeneration experts. This study is believed to serve as a momentum for people to take a new approach to studies on festivals and urban regeneration utilizing softwar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축제가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축제의 '전략적 기획'이라는 변수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활용한 실증 연구를 실행하였다. 축제의 성공 요인으로서 전략적 축제 기획요소를 도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한 7가지 전략적 기획요인이 축제만족(축제성공)과 도시재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며, 축제만족이 매개효과로 작용하여 도시재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대상은 축제를 통한 도시재생의 전형적 사례로 볼 수 있는 김제지평선축제를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한 정량적 분석과 문헌조사, 현장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한 정성적 분석을 혼합하여 분석함으로써 축제와 도시재생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전략적 기획이 축제만족(축제성공)과 도시재생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축제만족이 도시재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성적 분석을 통해서도 정량적 분석 결과에 상응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전략기획의 경로계수가 높아질수록, 축제만족 및 도시재생의 경로계수도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전략기획이 잘 이루어질수록 축제만족 및 도시재생의 효과가 극대화됨을 의미한다. 즉, 본 연구에서 축제의 성공 요인으로 제안한 7가지 전략적 기획요소를 축제기획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기획·실행할 때에 축제의 성공뿐 아니라 도시재생에도 정(+)의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축제를 통한 소프트웨어적인 도시재생의 새로운 대안을 주는 시사점으로서 축제기획자나 도시재생 전문가들에게 축제기획의 중요성과 도시재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획의 방향성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축제 및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도시재생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호(2000), 문화행사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 2000년 경주세계문화엑스포 성공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123-132.
  2. 김남희(2016), 전략적 축제기획을 위한 기획요소 제언, 글로벌문화콘텐츠 21(1), 1-35.
  3. 김남희(2019), 축제의 전략적 기획과 지역재생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신복(1989), 발전 기획론, 박영사.
  5. 김우종(2016),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6. 김애란(2013), 지역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지역사회 22(1), 107-113.
  7. 김애란(2014), 메가 이벤트 개최 효과가 개최지역과 주변 지역에 미치는 관광영향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정환(2012), 동제(洞祭)속성이 참여 동기, 매력도, 장소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춘식(1999), 21세기와 지역축제의 축제발전, 자치논단 11월호, 8-15.
  10. 김희진.안태기(2014), 축제 이벤트의 전략과 기획실무, 한울.
  11. 도시재생사업단(2012),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이야기, 한울.
  12. 류웅결(2008), 지역축제의 지속가능성 지표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류정아(2013), 축제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4. 민보영.윤설민(2014), 메가이벤트 개최에 따른 관광영향, 전체영향, 그리고 관광 관련 지지도 간 구조적 관계, 호텔관광연구 16(1), 312-330.
  15. 문화관광산업연구원(2018), 2018 김제지평선축제 평가보고서.
  16. 문화체육관광부(2006), 문화관광축제 변화와 성과.
  17. 문화체육관광부(2007), 문화관광축제 변화와 성과.
  18. 문화체육관광부(2008), 지역축제 매뉴얼.
  19. 문화체육관광부(2014), 문화관광축제의 성과 및 선정.평가제도 개선방안 연구.
  20. 문화체육관광부(2016), 지역축제 평가보고서.
  21. 문화체육관광부(1997), 한국의 지역축제.
  22. 박소연(2003), 문화관광 이벤트로서 지역축제별 기획요인이 고객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박경옥.신문기.류지호(2015), 지역주민의 지역사회 애착과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연구, 관광레저연구 27(1), 43-62.
  24. 백승국(2005), 축제기획을 위한 문화기호학적 방법론, 인문콘텐츠 6(1), 249-267.
  25. 손대현(1997), 관광이벤트의 기획과 연출, 관광학연구 20(2), 261-272.
  26. 신동주(2010), 이벤트에서 체험요소가 체험즐거움, 체험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Pine&Gilmore 체험이론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4(9), 251-270.
  27. 오영훈.박미숙(2017), 지역축제의 이야기와 표현 속성 연구-인천 소래포구 축제를 중심으로-, 지역과 문화 4(4), 69-85.
  28. 우종필(201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29. 이경모(2000), 이벤트학의 개념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연구 10(1), 133-156.
  30. 이미혜(2002), 전시이벤트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4(4), 121-138.
  31. 이상일(1998), 축제의 정신, 성균관대출판부.
  32. 이장주(2003), 지역축제 참여 동기 모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이장주.박석희(2009), 지역축제의 이미지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28(1), 243-261.
  34. 이주현(2011), 축제체험요소에 따른 시장세분화 특성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5. 이학식.임지훈(2009),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 법문사.
  36.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2015), 2015 김제지평선축제 평가보고서.
  37.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2016), 2016 김제지평선축제 평가보고서.
  38.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2017), 2017 김제지평선축제 평가보고서.
  39. 장영렬.이시혁(2002), 이벤트 계획실무, 커뮤니케이션북스.
  40. 전성환(1996), 이벤트 기획론, 예영커뮤니케이션.
  41. 정강환.윤유식(2004), 축제 방문객 만족도가 지역 문화관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6(2), 287-303.
  42. 정민의(2003), 지역축제 기획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문화관광연구 5(2), 61-82.
  43. 정승훈(2014),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과 개발 지지도 관계 분석, 탐라문화 47, 253-277. https://doi.org/10.35221/tamla.2014..47.008
  44. 조창현.김진휘.백진휘.안병민.라윤형(2015), 지역축제 평가결과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분석: 2012-2014년 축제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4), 492-504.
  45. 지진호(2006), 천안흥타령 축제의 관광매력성 제고방안, 천안시.
  46. 최상규(2015), 문화관광축제가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인식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플랜비문화예술협동조합(2016), 지역재생과 문화매개 플랜비 연차보고서 2015.
  48. 한국재정정보원,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 지역 활성화 2월호, 2018년 3월 2일.
  49. 한국경제, "즐길거리.먹거리 알차네" ... 김제지평선축제 '만족도 1위', 2018년 8월 19일.
  50. 한숙영.엄서호(2005), 역사 유적지에서의 현장 체험 특성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 논문집, 141-152.
  51. Bop Consulting(2016), Edinburgh Festival 2015 Impact Study.
  52. Buchanan, Thomas(1995), Toward an Understanding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6(1), 65-83.
  53. Bentler, P. M., & Bonett(1980), Significance tests and the analysis of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 588-606. https://doi.org/10.1037/0033-2909.88.3.588
  54. Carmines, E. G. & Zeller, R. A.(1979),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17, Thousand Oaks, CA: Sage University Press.
  55. Fornell, C., and Larker, D.F.(1981), Evalu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s: LISREL and PLS Applied to Consume Exit-Voice Theor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39-50. https://doi.org/10.2307/3151312
  56. G. Evans(2005), Measure for Measure: Evaluating the Evidence of Culture's Contribution to Regeneration, Urban Studies 42(1), 959-983. https://doi.org/10.1080/00420980500107102
  57. Hirschman, E. C. HolbrooK, M. B.(1982), Hedonic consumption :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46(3), 92-101. https://doi.org/10.2307/1251707
  58. Getz, D.(1991), Festival Special Events and Tourism.
  59. Jafari, J.(1987), Tourism models: the sociocultural aspects, Tourism Management 8(2), 151-159. https://doi.org/10.1016/0261-5177(87)90023-9
  60. Lounsbury, J. W. & Polik, J. R.(1992), Leisure needs and vocation satisfaction, Leisure Science 14(1), 105-119. https://doi.org/10.1080/01490409209513161
  61. Mckercher(2004), Understanding Tourism Behavior: Examining the Combined Effects of Prior Visitation History and Destination Statu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3(2), 171-179. https://doi.org/10.1177/0047287504268246
  62. Maslow, A.H.(1994), Religions, Values and Peak-Experience, New York: Penguin Compass.
  63. Noe, F. P. & Uysal, M.(1997), Evaluation of outdoor recreational settings. A problem of measuring user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4(4), 223-230. https://doi.org/10.1016/S0969-6989(96)00030-6
  64. Oliver, R. L.(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on Customers and Employees, Journal of Marketing 56(1), 57-71.
  65. Oliver, R. L. & Swan, J. E.(1997), Consumer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equity and satisfaction in transactions: A field survey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53(1), 21-35. https://doi.org/10.1177/002224298905300202
  66. Pedhazur, E. & Schmelkin, L.(1991), Measurement, design and analysis: an integrated approach,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67. Pine & Gilmore(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 97-105.
  68. Ritchie, J. R(1984), Assessing the Impact of Hallmark Events : Conceptual and Research Issu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23(1), 2-11. https://doi.org/10.1177/004728758402300101
  69. Schmitt, B.(1999),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5(13), 53-67. https://doi.org/10.1362/026725799784870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