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s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Juvenile Crime: The effect of Parenting and Socioeconomic Status

냉담-무정서 특질이 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행동,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

  • Jeon, Se-jin (Dept. of Child Development, Education and Psychology, Dongduk Women's Univ.) ;
  • Lee, Joo-Young (Dept. of Child Development, Education and Psychology, Dongduk Women's Univ.)
  • 전세진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심리학과) ;
  • 이주영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심리학과)
  • Received : 2020.07.20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callous-unemotional traits(CU) on juvenile crime and explore additional effects of parenting and socioeconomic status on juvenile crime. A total of 103 juvenile probationer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t 3 probation offices in Seoul, and a total of 123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Seoul and Gyeongg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juvenile crime group showed higher score in uncaring subscale of CU, lower parent's education and lower economic level than normal group. Second, in both groups, uncaring subscale of CU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arent's acceptance and daily monitoring. Third, in logistic regression, uncaring subscale of CU and low economic level significantly predicted juvenile crime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uncaring characteristic of CU and socioeconomic status are potential factors contributing to juvenile crime.

본 연구는 냉담-무정서 특질의 하위요인인 냉담성, 부주의/무신경, 감정표현결여와 부모양육행동, 사회경제적 지위가 소년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6년 7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서울 소재 보호관찰소에서 만 15~17세의 소년법 위반 청소년 103명, 2018년 7월에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123명의 자기보고식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범죄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범죄 집단이 일반 집단에 비해 냉담-무정서 특질의 부주의/무신경이 더 높았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더 낮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냉담-무정서 특질 중 유일하게 부주의/무신경이 부모의 수용, 일상생활 모니터링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부주의/무신경과 가정의 경제 수준이 소년범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냉담-무정서 특질이 높은 청소년은 범죄 유무와 상관없이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적게 지각함을 보여주며, 부주의/무신경과 가정의 경제 수준이 소년범죄의 발생에 기여하는 잠재적 요인임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제 1저자의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 및 보완한 것이며, 2015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RF-2015S1A5A2A030480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