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s and Users: Alipay's ANT FOREST Focuses on Analysis

온라인 공익 프로젝트와 사용자의 상호작용관계에 관한 연구: 알리페이의 앤트 프레스트를 분석중심으로

  • 조효룡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박사 과정) ;
  • 염택욱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석사 과정)
  • Received : 2020.05.20
  • Accepted : 2020.07.06
  • Published : 2020.08.28

Abstract

Launched in August, 2016, the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 ANT FOREST has planted more than one hundred million trees in desertification areas and is currently continuing on with its activities. It is a fruit of online communications network development, and the public benefit project based on this puts more emphasis on the spirits of public interest rather than the investments of public services, unlike traditional public benefit activitie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s supporting the online public benefit and the public benefit progress online. The study was divided into 4 stages in order to find out the interaction, key factors for users to continue to support online public interest. First, preceeding studies on online public benefit will be review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public benefit. Second, determine the public benefit nature of ANT FOREST and investigate the project progress. Third, review the usage rate of ANT FOREST and categorize the properties of users. Four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direc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 and the user. In conclusion, the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 completes the public benefit process through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supporter, the important factor connecting the energy connecting the process in cyber space and the public benefit activity in reality is the sense of participation, and the user continues the public benefit project through this sense of participation.

온라인 공익프로젝트 '앤트 프레스트'는 2016년 8월부터 운영이 시작되었고, 사막화지역에 1억 이상의 나무를 심었으며, 공익활동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온라인은 통신망이 발달하여 생성된 산물이며, 이를 바탕으로 진행된 공익 프로젝트도 전통적인 공익활동과 달리 공익사업의 투신보다 공익지원정신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온라인 공익을 지지하는 사용자와 온라인 공익진행과정의 상호작용관계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온라인 공익을 지지하는 핵심요소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고, 핵심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를 4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온라인 공익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온라인 공익의 특징을 파악한다. 둘째, 앤트 프레스트의 공익 성격에 대해 판단하고, 프로젝트 진행과정을 조사한다. 셋째, 앤트 프레스트의 이용률을 검토하고, 이용자의 속성에 대해 분류한다. 넷째,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온라인 공익프로젝트와 사용자의 상호작용관계를 연출한다. 그 결과, 온라인 공익프로젝트는 사용자, 운영자, 협조자로 인하여 공익과정을 완성하며, 사이버 공간에서 에너지 수집하는 과정과 현실의 공익행위 완성을 연결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참여도이며, 참여도로 인하여 사용자가 공익 프로젝트를 지속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Keywords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사막화와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오늘날에 사람들은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에 대하여 점차적으로 중시하고 있으며, 환경보호를 위한 여러 가지 공익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 알리바바 회사에서 운영하는 공익 프로그램 앤트 프레스트는 2016년 8월부터 시작되었고, 그 뒤를 이어서 3년 만에 국제 환경보호 대상 ’Champions of the Earth’ 을 수상하게 되었다[1]. 앤트 프레스트의 시작은 ‘탄소계좌’를 컨셉으로 한 공익활동이며, 탄소 배출량을 감소하는 행위를 통하여 사이버 에너지가 탄생하고, 사용자가 사이버 에너지를 수집하여 식물나무, 혹은 야생동불 보호지를 교환하면, 그 뒤로 알리바바 회사가 나무와 야생동물 보호지의 인증번호를 코딩하고, 지역공익 단체가 사용자를 대신해서 지정한 지역을 보호하는 공익활동이다[2]. 알리바바 회사에서 운영하는 앤트 프레스트 공익프로젝트는 2016년부터 현재까지 지속하였다. 2019년 8월에 발표된 「互联网平台背景下公众低碳生活方式研究报告」에서 2019년 8월까지 앤트 프레스트를 이용한 사용자가 약 5억에 도달되었다고 밝혔고, 탄소 배출량을 약 792만 톤([표 1] 참조)이 감소하였으며, 실제로 사막화지역에 약 1.22억의 나무를 심었다고 제시하였다[3].

표 1. 2016~2019년 앤트 프레스트 사용자 절약 에너지 통계

CCTHCV_2020_v20n8_513_t0001.png 이미지

온라인 공익활동은 현대사회에서 시작되었으며, 전통적인 공익활동과 구분되어, 실제로 공익사업의 투신과 비교하여 그 공익지원정신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4][5]. 이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는 앤트 프레스트 공익을 지지하는 사용자와 공익활동 진행과정을 중심으로 양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공익을 지지하는 핵심적 요소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공익시스템 개발과 운영에 관한 선행 자료로 남기는데 그 의의가 있다.

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알리페이 회사가 운영하는 앤트 프레스트 공익프로젝트를 사용하는 이용자를 연구대상으로 온라인 공익프로젝트의 진행과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공익을 지지하는 핵심적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그림 1] 참조).

CCTHCV_2020_v20n8_51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연구진행 과정

가. 온라인 공익에 관한 선행 자료를 참고하여 사이버공간에서 온라인 공익의 특징을 파악함.

나. 구분된 유형을 바탕으로 앤트 프레스트 프로젝트의 성격에 대하여 판단하고, 앤트 프레스트의 공익 진행과정을 조사함.

다. 알리페이를 이용한 사용자에 대한 예비조사로 앤트 프레스트의 이용률을 검토하고, 조사대상의 속성을 검토함.

라. 조사대상을 선정하고, 앤트 프레스트 사용에 관한 인터뷰조사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사용의도 및 공익프로젝트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연출함.

Ⅱ. 이론적 고찰

1. 온라인 공익의 특징

「当代中国网络公益分析」에서 중국의 온라인 공익을 4가지 요소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온라인 공익제창자, 온라인 공익 참여자, 온라인 공익 플랫폼, 온라인 공익활동 유형이라고 제시하였다. 또한, 온라인 공익활동의 유형을 공익활동홍보, 학생지원, 금전기부, 사회약자 후원, 공익정보플랫폼 구축으로 구분하였다[6]. 이에 따라 연구자는 앤트 프레스트의 온라인 공익 요소별 체크상황을 작성하였고([표 2] 참조), 이를 해석하는 구성요소 도표를 연출하였다([그림 2] 참조).

표 2. 온라인 공익 요소별 체크상황(앤트 프레스트)

CCTHCV_2020_v20n8_513_t0002.png 이미지

CCTHCV_2020_v20n8_51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앤트 프레스트 공익활동 구성도표

2. 앤트 프레스트 이용규칙

앤트 프레스트는 알리페이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한 미니 응용프로그램이며, 알리페이 인터페이스의 첫화면에서 미니응용을 추가하여서 사용할 수 있다([그림 3] 참조). 앤트 프레스트 사이버 공간에서의 에너지 생성은 알리페이를 이용하여 온실기체 배출 감소에 도움을 주는 유익한 부분을 승인하며, 그 대응하는 저탄행위에 대하여 분류하고 각 항목에 따라 에너지를 생성한다([그림 4] 참조).

CCTHCV_2020_v20n8_513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앤트 프레스트 이용방법

CCTHCV_2020_v20n8_513_f0004.png 이미지

그림 4. 저탄행위 종류별 에너지 탄생기준

알리페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저탄행위 에너지는 당일에 계산되고, 다음날의 오전 7시(중국시간)부터 점차 수령 가능하며, 수령한 에너지로 타인의 사이버 나무에 증정하는 이외에 야생동물 보호지([표 3] 참조) 교환과 식물 나무([표 4] 참조) 교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7].

표 3. 야생동물 보호지 교환 품목

CCTHCV_2020_v20n8_513_t0003.png 이미지

표 4. 식물나무 교환 품목

CCTHCV_2020_v20n8_513_t0004.png 이미지

사이버 에너지로 교환된 야생동물 보호지과 식물 나무는 모두 유일한 인증번호가 코딩되어 있으며, 알리바바 회사와 지역공익 단체에서 공동으로 운영 실행하고 있다[8]. 두 가지 환경 보호 종류 중에서 야생동물 보호지의 경우에 그 보호지에 대하여 인증번호 생성 일을 기준으로 향후 10년 동안 알리바바 회사와 지역 공익단체가 본인을 대신하여 보호해주며, 식물나무의 경우에 인증번호에 따라서 교환된 나무의 위치까지 체크 가능하고, 스스로 그 지역의 녹화영상으로 현황을 파악하도록 미니 응용프로그램에 기능을 설치하였다([그림 5]참조).

CCTHCV_2020_v20n8_513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식물나무 위치 확인 방법

상기의 내용을 총괄하면, 알리바바 회사에서 운영하는 앤트 프레스트는 알리페이를 이용하여 완성된 저탄행위로 에너지가 생성되고, 생성 된 에너지를 수집하여 환경보호를 목적으로 한 야생동물 보호지, 혹은 식물나무를 선택한 후, 지정된 에너지로 교환하여 실제로의 공익 환경보호행위를 실현한다. 그 과정에서 저탄 행위, 에너지 수집, 식물나무/보호지 선택은 모두 사용자 개인으로 의하여 완성되고, 최종교환을 거친 후, 사용자의 공익행위는 알리바바 회사와 지역 공익단체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공익행위를 완성하게 된다([그림 6] 참조).

CCTHCV_2020_v20n8_513_f0006.png 이미지

그림 6. 앤트 프레스트 공익활동 진행과정

Ⅲ. 조사대상 선정을 위한 예비조사

1. 앤트 프레스트 이용자 조사

연구표본 산출을 위하여 연구자는 2020년 5월 4일~6일기간 내에 알리페이 이용자 10명을 선택하여 알리페이 친구에서 앤트 프페스트를 사용한 인수([그림 7] 참조)를 파악하였다([표 5] 참조).

CCTHCV_2020_v20n8_513_f0007.png 이미지

그림 7. 앤트 프레스트 사용인수 파악방법

표 5. 앤트 프레스트 사용인수

CCTHCV_2020_v20n8_513_t0005.png 이미지

조사된 결과, #1, #2, #4의 알리페이 친구 중에서 앤트 프레스트 사용인원이 30명이하이고 기타는 모두 40명 이상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리페이 친구 중에서 40명 이상 앤트 프레스트 사용한 자가 대표성을 띤다고 판단하여서 이를 기반으로 연구표본 산출을 계획하고자 한다.

2. 연구표본 산출

연구자는 2020년 5월 8일~10일 기간 내에 앤트 프레스트 사용자 40명 이상을 초과한 사례를 15명 수집하였고, 사용자의 알리페이 총 친구 수를 파악하였다. 그 중에서 환경보호 인증서의 수량에 따라 1~4개, 5~9개, 10~14개, 15~19개 20~24개, 25개 이상으로 구분하였으며, 개별의 인증서 총수와 알리페이 친구 수의 비율을 검토하였다([표 6] 참조).

표 6. 앤트 프레스트 사용자와 에너지 교환 인증서 비율

CCTHCV_2020_v20n8_513_t0006.png 이미지

총 15명 앤트 프레스트 사용자를 검토한 결과, 인증서와 친구수의 점거비율관계는 각각 45.90%, 76.11%, 51.22%, 58.82%, 51.47%, 42.22%, 43.18%, 42.19%, 46.88%, 52.44%, 58.57%, 60.34%, 40.32%, 46.51%, 36.36%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서 수량구분에 따라 앤트 프레스트 인터페이스의 캡처화면에 그래프를 작성한 결과, 1~4개 인증서를 교환한 사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8] 참조).

CCTHCV_2020_v20n8_513_f0008.png 이미지

그림 8. 개별 인증서 교환 체크 그래프

상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알리페이 친구 중에서 앤트 프레스트 사용자가 40명 이상이고, 이미 1~4개의 환경보호 인증서를 교환한 자로 인터뷰대상조건을 제한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Ⅳ. 사용자에 대한 인터뷰조사

1. 인터뷰조사 대상 및 기간

예비조사 한 결과, 앤트 프레스트 사용 친구수가 40명이상이고, 1~4개의 환경보호 인증서를 교환한 사용자가 가장 본 연구에 타당함으로 연구자는 2020년 5월 12일부터 15일까지 조사기간을 선정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한 인터뷰대상 10명을 선택하였으며, 1인당 30분을 기준으로 심층 인터뷰조사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대상의 인적사항은 아래에 표시한바와 같다([표 7] 참조).

표 7. 인터뷰대상 인적사항

CCTHCV_2020_v20n8_513_t0007.png 이미지

2. 인터뷰조사 내용

인터뷰조사의 내용은 앤트 프레스트 운영과정을 참고로 하여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질문을 작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그림 9] 참조).

가. 온라인 공익프로젝트에 대한 이해.

나. 앤트 프레스트의 사용의도.

다. 에너지부터 환경보호 인증과정에 대한 태도.

라. 앤트 프레스트를 지지(거부)하는 원인.

마. 앤트 프레스트에 대한 평가 및 향후발전.

인터뷰 질문과정에서 상기 ‘다’질문에 응답한 자가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면 ‘라’질문에서 지지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면 ‘라’질문에서 거부하는 원인을 질문한다.

CCTHCV_2020_v20n8_513_f0009.png 이미지

그림 9. 인터뷰 질문과정

3. 인터뷰조사결과 정리

인터뷰질문에 대한 응답을 정리한 결과, ‘가’, ‘나’, ‘다’ 문제에 대하여 대부분 3가지 답장으로 응답 받아서 연구자는 조사결과를 참고하여 평가 표기방법과 대표의미를 정리하고([표 8] 참조) 인터뷰조사대상의 인별 평가 상황을 체크하였다([표 9] 참조).

표 8. 평가 표기방법 및 대표의미

CCTHCV_2020_v20n8_513_t0008.png 이미지

표 9. ‘가’, ‘나’, ‘다’ 질문 결과 정리

‘가’, ‘나’, ‘다’응답을 검토 한 결과, 인터뷰대상 중에서 대부분 온라인 공익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가 일반적이고, 타인의 추천으로 인해 앤트 프레스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앤트 프레스트의 공익과정, 즉 사이버 에너지부터 환경보호 인증과정에 대한 태도는 과반수가 긍정적인 것으로 검토되었다.

‘라’ 질문에 관한 응답은 차이성이 있으므로 연구자는 응답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여 핵심부분을 재정리하였다.

그 결과, ‘다’ 질문의 응답에 긍정적인 부분에 포함된 핵심키워드는 호기심, 사회공헌, 자기의 나무, 명예심, 환경보호, 공익행위, 행위동반, 공익참여로 구분되었고, 중립적인 부분은 행위동반, 공익참여, 심심풀이, 소모시간 과대함으로 분류되었으며, 부정적인 부분은 타인과 인증서를 비교, 지루함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마’ 질문에 하여 긍정적 태도와 중립적 태도는 모두 공익실행 과정을 가속화한 내용이고, 부정적인 태도의 응답은 교환 인증서수량을 비공개로 변경하는 것이다([그림 10]참조).

그림 10. ‘라’, ‘마’결과에 대한 정리

4. 소결

질문 ‘가’, ‘나’는 앤트 프레스트 운영의 앞 단계과정이며, 주로 조사대상자의 온라인 공익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 앤트 프레스트의 사용의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이버 에너지수집과 교환을 거친 뒤로 알리바바 회사와 공익단체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공익활동을 실행하며 최종적으로 개인이 전반 공익과정을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과 알리페이, 공익단체 3부분이 공동적으로 공익과정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실행부분은 사용자가 실제로 참여하지 않았지만, 인터뷰 ‘라’ 질문의 결과에서 긍정적 태도와 중립적 태도를 갖춘 대상자는 대부분 개인이 공익행위를 완성한 답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실제로 개인과 알리바바 회사, 공익단체가 공동으로 공익과정을 완성하였지만, 앤트 프레스트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개인이 사이버 에너지를 수집하여 교환한 실물로 인정하여, 실행부분에서 직접 참석하지 않았지만, 전 단계의 에너지 수집과 교환으로 의하여 참여도가 생기게 되고, 그 참여도가 환경보호 공익활동이 완성될 때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그림 11] 참조). 또한, 평가결과에 따르면, 과반수의 인터뷰대상은 앤트 프레스트 공익과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사실을 파악하게 되었다.

CCTHCV_2020_v20n8_513_f0011.png 이미지

그림 11. 앤트 프레스트와 사용자의 상호작용관계 설명

Ⅴ. 결론

본 연구는 온라인 공익프로젝트 ‘앤트 프레스트’를 이용한 사용자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공익을 지지하는 사용자와 공익활동 진행과정은 운영자, 협조자, 사용자로 전반 공익활동을 완성하고 있다. 그 중에서 사용자는 알리페이를 이용하여 기록된 저탄행위로 생성한 사이버 에너지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며, 에너지로 교환된 실물(식물나무, 야생동물 보호지)은 알리바바 회사와 공익단체가 공동으로 실행하여 공익활동을 실현한다. 그런데, 개인이 실물을 교환하는 부분에서 전단계의 참여도를 지속하며, 전반과정에서 공익활동참여도는 사이버 개인 행위와 실제 공익행위를 연결하는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질문 ‘라’의 응답에 근거하면 대부분의 사용자는 공익실행과정의 가속화를 원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생성방식 혹은 교환 에너지 수량의 측면에서 운영방식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공익행위의 자발성 원칙에 근거하여 누구든지 자신의 힘을 스스로 공익활동에 지지할 수 있고, 공익을 지지하는 행위에서 경쟁이 존재하지 않으며, 개인이 사회에 대한 공헌을 차별화하지 않는다. 그 과정에 생기는 지루함은 대부분 똑같은 행위의 반복으로 인하여 생성됨으로 공익참여자한테 행위반복을 방지하는 계획이 필요하며, 경쟁으로 인한 비교행위는 공익자체를 상업화시키는 잠재적인 폐해가 존재함으로 앤트 프레스트에 환경보호인증서를 비공개하는 기능을 추가할 필요성이 보인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가 질적의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음으로 연구과정에서 질적 연구의 한계로 인하여 실행이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였으므로 연구의 후속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양적 연구방법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설득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References

  1. http://www.unenvironment.org, 2020.05.01.
  2. 李博儒, "个人碳账户发展的纵向分析--以蚂蚁森林," 为例, Vol.3, No.1, p.17, 2020.
  3. 环境与经济政策研究中心, "互联网平台背景下公众低碳生活方式研究报告," 生态环境部, pp.27-33, 2019.
  4. 王可心, "互联网时代,从蚂蚁森林看环境保护," 通讯世界, Vol.3, pp.270-271, 2019.
  5. 何梦莹, 互联网+, "时代下环保公益的传播策略分析-以蚂蚁森林为例," 视听, Vol.4, p.204, 2018.
  6. 张雅男, 当代中国网络公益分析, 北京师范大学, 硕士学位论文, 2007.
  7. https://baike.baidu.com/item/蚂蚁森林, 2020.05.03.
  8. https://render.alipay.com/p/f/antforest/license.html, 2020.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