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mart Port Policy Trend of Europe and Singapore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스마트항만의 해외사례 분석과 정책 시사점: 유럽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 이태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상경대학 유통학과)
  • Received : 2020.01.02
  • Accepted : 2020.03.25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Recent studies have offered ambiguous definitions of smart ports. These include smart ports being the only way that fully integrated ports can survive (Deloitte 2017) or ports that have a design based on Internet-of-Things technology to minimize waste of urban space and resources (Port Technology 2016). In addition, many port authorities are creating smart port strategies and have held research seminars focused on smart port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following questions: Why do we need smart ports? Why should all ports be smart ports? Why are overseas advanced ports promoting smartization as soon as possible? What does the future look like for smart por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concept of smart port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d the trends in smart port policies in the Netherlands, Germany, the UK, Italy, and Singapore. Finally, this study proposes useful policies for smart ports and also discusses policy directions that could make our ports truly smart ports.

최근 여러 연구에서 스마트항만에 대한 정의로, IoT 기술을 바탕으로 통찰력을 가진 완벽하게 통합된 항만(Deloitte, 2017)이나 유일한 생존 수단으로서 시·공간 및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항만(Port Technology, 2016)이라는 모호한 정의가 인용되고 있다. 또한, 많은 항만들이 스마트화 추진방안과 같은 연구용역이나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왜 우리 항만이 스마트항만이 되어야 하는지, 모든 항만이 스마트항만이 될 필요가 있는지, 왜 선진 항만은 서둘러 스마트화를 추진하고 있는지, 우리나라 스마트항만의 미래상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스마트항만의 개념을 탐색하고 네덜란드, 독일, 영국, 이탈리아, 싱가포르 항만의 스마트항만 추진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해외 항만이 왜 스마트항만을 추진하는 지에 대해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항만의 스마트화를 위한 유용한 정책을 제언하고 우리 항만이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항만이 될 수 있는 정책 방향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고민을 해 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2019), 스마트 해상물류 체계 구축전략(안).
  2. 김창균(2019), 자율운항선박 IMO 동향 및 정부 대응 방안, 2019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3. 롤랜드 버거(2017), 이미 와 있는 미래, 다산.
  4. 해양수산부(2019), 4차 산업혁명 시대 해양수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안).
  5. 해양수산부 스마트해상물류추진단(2019), 스마트 해운항만 물류정책, 제2차 자율운항선박(MASS) 도입 기술 정책 컨퍼런스.
  6. 이언경, 이수영(2019), 4차 산업혁명시대 국내 스마트항만 수준 측정과 비교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5권 제2호, 323-348. https://doi.org/10.37059/TJOSAL.2019.35.2.323
  7. 정태원(2018), 스마트 항만의 선전사례 분석과 시사점, 해운물류연구, 제34권 제3호, 489-510.
  8.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8), 스마트항만(Smart Port), 전체 물류망을 고려한 로드맵 수립 필요, KMI 동향분석 제74호.
  9. 한철환(2019), 군산항 개항 120주년 기념 포럼, 4차 산업혁명과 군산항 발전방안.
  10. 해양수산부(2018), 해양수산부 지능정보화 기본계획(2018-2022)
  11. Antonio, B., Monda, A., Pellicano, M., Torre, C.(2017),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Port Supply Chain as a Smart Port Service System: The Case of the Port of Salerno, Systems, 5(35), 1-10. https://doi.org/10.3390/systems5010001
  12. Deloitte Port Service(2017), Smart Port Point View.
  13. IAPH(2015), The importance of smartPORTs in global competition - challenge and solutions, Marco Lipponerm Siemengs AG
  14. Jun, W. K., Lee, M. K., Choi, J. Y.(2018), Impact of the smart port industry o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using input-output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118, 480-493.
  15. Molavi, A., Shi, J., Wu, Y., Lim., G. J.(2020), Enabling smart port through the integration of microgrid: A two-stage stochastic programming approach, Applied Energy, 258.
  16. PortTechnology(2016), What is a Smart Port?
  17. Port Technology(2018), Europe's Largest Port Releases App to Optimize Shipping.
  18. UK Department of Transport(2019), Maritime 2050, Navigating the Future.
  19. UKMPG(2018), Port 2050.
  20. Yvo Saanen(2019), 10 PRE-REQUISITES FOR SMART TERMINALS, Port Technology.
  21. https://www.hellenicshippingnews.com(2019년 12월 24일 검색)
  22. https://www.rivieramm.com/(2019년 12월 24일 검색)
  23. http://www.smart-port.nl/en/(2019년 12월 6일 검색)
  24. https://www.smartmaritimenetwork.com/(2019년 12월 5 일 검색)
  25. https://www.youtube.com/watch?v=xYQmfbsVNmM(2020 년 1월 2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