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Training Program for Core Teachers of Elementary SW Education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양성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분석

  • Received : 2020.01.23
  • Accepted : 2020.04.13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In this study, researchers developed the cor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W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training program, the direction of training development was set, and the final version of the training was prepared through the pilot training. The main focus of the training program was to cultivate the teachers' ability to understand and apply SW edu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fter the program development, its effectiveness was analysed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national training course. This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2019 winter and summer teacher training courses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SW education teaching efficacy and satisfaction were surveyed. The results analysis found out the developed train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rained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SW교육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제 전국 단위 직무연수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개발 방향 설정, 파일럿 연수 진행, 연수 최종안 적용 및 추가보완의 과정을 거쳤으며,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을 교육부 주관 2019년 동계 및 하계 직무연수에 적용 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SW교육 교수효능감, 만족도 조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송기상.소효정 (2017). ICT4ED 2017 : 해외 소프트웨어(SW)교육 동향 분석 및 시사점. 2017 KERIS 이슈리포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 교육부 (2015)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정보 교육과정. 별책 10.
  3. 교육부 융합교육지원팀 (2017.2). 2017년 소프트웨어(SW) 교육 담당교원 역량강화 연수 기본 계획.
  4. 전용주, 서정희 (2019). 소프트웨어(SW)교육 핵심교원의 역량 정립 및 역량 증진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슈리포트, 2019-6.
  5. 교육부 미래교육기획과 (2019.1). 2019 수학 핵심교원 특별연수(4기) 추진 계획.
  6. 대한민국 (2017). 과학․수학․정보 교육 진흥법. 법률 제1493호, 2017.10.24. 전부개정.
  7.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8. 김진규 (2009). 교사 학습공동체 활용 평가연수의 실천전략. 교육평가연구, 22(4), 939-959.
  9. 교육부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10. 교육부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연수자료. http://www.edunet.net/nedu/ncicsvc/listTrngSubForm.do?menu_id=627.
  11.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초등. 연구자료 ORM 2017-19-1.
  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C 2016-2-8.
  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정보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C 2016-2-14.
  14. 교육부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http://www.edunet.net/nedu/ncicsvc/listTchLearn2015.do?boardNum=1&menu_id=701.
  15. McTighe, J., & Wiggins, G. (2005) Understanding by Design.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ASCD).
  16. 김성숙.양혜련.임부연 (2011). 수업창안능력을 위한 유아교사연수프로그램의 구성과 참여교사들의 반응에 관한 연구:표현실기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6), 311-334.
  17. Garet, M. S., Porter, A. C., Desimone, L., Birman, B. F, & Yoon, K. S. (2001). What make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ive? Results from a national sample of teache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4), 915-945. https://doi.org/10.3102/00028312038004915
  18. Asghar, J. & Ahmad, Asif. (2014). Teacher Development: An Overview of the Concept and Approaches. Journal of Educational and Social Reasearch. 4(6), 147-159.
  19. 교육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초등 소프트웨어(SW)교육 핵심교원 연수교재.
  20. 에듀넷 (2019). 초등 SW교육 핵심교원 연수. http://www.edunet.net/swedu/swedusvc/introRemote. do?menu_id=1329.
  21. 이소율 (2017). TPACK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이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2. Bleicher, R. E. (2004). Revisiting the STEBI-B: Measuring Self-Efficacy i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4(8), 383-391.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4.tb18004.x
  23. Enochs, L. G., & Riggs, I. M. (1990a).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9(1), 63-75. https://doi.org/10.1002/sce.373079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