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s of Work-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age Workers: Focusing on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in the Workplace

기혼남녀근로자의 일-생활 만족유형화 연구: 직장내 휴가관련 가족친화제도를 중심으로

  • Lee, Yu Ri (Research Institute of Healthy Family Consulting) ;
  • Lee, Sung Hoon (Dept. of College of Liberal Arts, Anyang University) ;
  • Park, Eun Jung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이유리 (건강가정컨설팅연구소) ;
  • 이성훈 (안양대학교 교양대학) ;
  • 박은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Received : 2020.03.20
  • Accepted : 2020.04.27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first, to classify work-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age workers aged 20-59 years into several distinct types based on two dimensions of work and life, using data from the 20th(2017) wave of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Second,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age, educational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and workplace-related variables (weekly working hours, full-time employment, job stability, business type,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by work-life satisfaction type. Accordingly, four types of work-life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work-life satisfaction, work-life dissatisfaction, work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work-life satisfaction among married waged workers based on sex, age, educational level, and average monthly income.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work-life satisfaction for all workplace-related variables, namely, weekly working hours, full-time employment, job stability, business type, and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In particular, proportionally higher values of work-life satisfaction were evident among the workers in companies with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such as paid leave, menstrual leave, maternity leave, childcare leave, and family events leave, whereas there was a high rate of work-life dissatisfaction among the workers in companies without family-friendly leave policies.

Keywords

References

  1. 가영희(2006). 성인의 직장-가정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1(2), 163-186.
  2. 가족친화 사회환경의 조성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제4조.
  3. 강민재.최수찬.조영은(2017). 기혼 근로자의 일-가정 전이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친화제도 유용성 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2, 119-145.
  4. 강정희.박경숙(2009). 가족친화적 기업복지제도 이용가능 정도가 기혼여성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4), 83-98.
  5. 김경근(2013). 한국사회에서 교육수준과 삶의 질. 교육문제연구, 48(3), 1-28.
  6. 김영흥.나승일.김지현.박용진(2018). 근로자의 고용형태별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메타분석. 직업교육연구, 37(1), 101-118.
  7. 김외숙.이기영(2015).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8. 김주희(2012).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생활 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준기.양지숙(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4), 251-280.
  10. 김진희.한경혜(2002). 남성과 여성의 일.가족 전이와 관련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0(11), 55-69.
  11. 김홍규.가영희(2005). 성인의 직장-가정에서의 갈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85-98.
  12. 남기섭.유병주(2007). 직무불안정성 지각과 정신적 건강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1), 65-85.
  13. 문선희(2013). 기업복지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가정생활과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친화 제도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8(1), 119-141.
  14. 문영만(2014).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생활만족도 패널분석 :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0(2), 187-218.
  15. 박광표.김동철(2019).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고용관계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동정책연구, 19(1), 59-91. https://doi.org/10.22914/JLP.2019.19.1.003
  16. 박은정(2019). 1인가구와 다인가구 미혼자의 전일제임금근로자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7(3), 1-18.
  17. 박주희(2018).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지지 및 일-가정양립지원제도의 조절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43-59.
  18. 서종수(2009).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성미애.이강이.정현심(2019). 인간발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 손영미.박정열.김가영(2006).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의 도입에 관한 연구 :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 송다영.장수정.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3), 27-52.
  22. 송혜림(2012).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18.
  23. 송혜림.고선강.박정윤.권혜진.김유경.진미정(2010). 가족친화환경 측면에서 본 남성의 아버지역할 수행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341-361.
  24. 송혜림.김유경.김주희(2017). 남성 장시간 근로집단 및 그 배우자집단의 생활시간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43-59.
  25. 심지양(2011). 근로자의 일생활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안세연.김효선(2009). 기혼 여성 관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통합적 고찰. 여성연구, 77, 5-48.
  27. 오현규.박성민(2014). 일과 삶의 균형정책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공공 및 민간 조직 내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6(4), 901-929.
  28. 이세훈(2018). 일과 삶의 균형(WLB)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종사원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22(3), 117-135.
  29. 이수진(2008).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차이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이옥순(2011).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유리.이성훈.박은정.이유미(2017). 결혼과 가족생활. 서울 : 시그마프레스.
  32. 이유리.정영금.최나리.강복정.박경은(2018). 가족친화 인증후 컨설팅사업의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1), 1-21.
  33. 이인숙(2010). 일자리 만족도 결정요인의 성별 격차 분석. 사회복지정책, 37(1), 209-236.
  34. 이필우(2018). 고용안정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호텔 조리직원을 대상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임상현(2015). 호텔 종사원의 사회적 관계망이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고용안정성의 조절효과. Tourism Research, 40(4), 173-195.
  36. 정광호.김태일(2003). 공공부문 조직과 민간기업 조직의 직무만족도 비교분석 : 한국노동패널 연구(KLIPS)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2(3), 1-28.
  37. 주은선(2016).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750-75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750
  38. 차승은(2008). 중년의 일, 가족, 여가시간 배분유형과 유형결정요인 : 취업한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6(1), 103-116.
  39. 최영희.임상훈(2012).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성에 대한 인식과 혁신활동 간의 관계 :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노동정책연구, 12(3), 147-175. https://doi.org/10.22914/JLP.2012.12.3.006
  40. 한상근(2015). 우리나라 직업인의 직무만족도 실태. KRIVET Issue Brief, 8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1. 허중욱(2018). 일과 생활의 균형이 직무만족과 생활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2(12), 151-164.
  42. 홍승아.전기택.박수범.배호중.성민정 (2018). 2018년 기업 및 공공기관의 가족친화수준 조사. 여성가족부.
  43. 통계청(2019). 2019년 사회조사결과(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44. Brown, D., & McIntosh, S.(2003). Job satisfaction in the low wage service sector. Applied Economics, 35(10), 1241-1254. https://doi.org/10.1080/00036840210150875
  45. Casper, W. J., Weltman, D., & Kwesiga, E. (2007). Beyond family-friendly : The construct and measurement of singles-friendly work cultur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3), 478-501. https://doi.org/10.1016/j.jvb.2007.01.001
  46. Clark, A. E.(1997). Job satisfaction and gender : Why are women so happy at work?. Labour Economics, 4(4), 341-372. https://doi.org/10.1016/S0927-5371(97)00010-9
  47. Clark, M. A., Rudolph, C. W., Zhdanov, L., Michel, J. S., & Baltes, B. B.(2017).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and work-family outcomes :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Family Issues, 38(11), 1520-1545. https://doi.org/10.1177/0192513X15585809
  48. Clark, S. C.(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 53(6), 747-770. https://doi.org/10.1177/0018726700536001
  49. De Cuyper, N., & Witte, H.(2006). The impact of job insecurity and contract type on attitudes, well-being and behavioral reports : A psychological contract perspectiv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9, 395-409. https://doi.org/10.1348/096317905X53660
  50. Depedri, S., Tortia, E., & Carpita, M.(2010). Incentives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 Empirical evidence in Italian social enterprises. Euricse Working Papers, N.012 $\mid$ 10
  51. Greenhaus, J.H., & Powell, G.N.(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5
  52. Haar, J. M., Russo, M., Sune, A., & Ollier-Malaterre, A.(2014). Outcomes of work-life balance on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 A study across seven cultur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5(3), 361-373. https://doi.org/10.1016/j.jvb.2014.08.010
  53. King, J. E.(2000). Aggregation bias in estimates of perceptual agre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2), 219-229. https://doi.org/10.1037//0021-9010.67.2.219
  54. Kirchmeyer, C.(2000). Work-life initiatives : Greed or benevolence regarding workers' time? In C. L. Cooper & D. M. Rousseau (Eds.), Trends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7. Time in organizational behavior (pp. 79-93). New York, NY, US : John Wiley & Sons Ltd.
  55. Kleiner, S.(2014). Subjective time pressure : General or domain specific?. Social Science Research, 47, 108-120.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14.03.013
  56. Mennino, S. F., Rubin B. A., & Brayfield, A.(2005). Home-to-job and job-to-home spillover : The impact of company policies and workplace culture. The Sociological Quarterly, 46, 107-135. https://doi.org/10.1111/j.1533-8525.2005.00006.x
  57. Thomas, L. T., & Ganster, D. 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6-15. https://doi.org/10.1037/0021-9010.8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