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nings and Tasks of the Three Revised Bills which Ease Regulations o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데이터 3법 개정의 의미와 추후 과제

  • 김서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 Received : 2020.06.01
  • Accepted : 2020.06.22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In January 2020,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revisions of three bills which ease regulations o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evised laws include the launch of an independent supervisory body, the arrangement of redundant regulations, and regul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ata economy.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 and meaning of each law of the Three Revised Bills that Ease Regulations o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future challenges outline three aspect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ensure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of privacy concerns, the establishment of a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presentation of reasonable guidelines, and the expectation of professional performance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2020년 1월,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의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현행 법률이 개인정보의 보호에 치우쳐 정보의 활용이 어렵고 감독 기구의 분산과 규정의 중복 등으로 수범자들이 혼란을 가중시켜 데이터 활용 경제 산업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수용하여, 이번 개정법에서는 가명 정보를 활용하고 마이데이터 산업을 도입, 개인정보 보호위원회를 독립기구로 일원화 하는 등의 내용으로 많은 부분이 개정되어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본격화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지만 가명 정보의 활용에 대한 프라이버시(Privacy)침해에 대한 우려와 함께 여전히 중복된 규정이 혼재하며, 모호한 개념이 존재, 가명정보의 활용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 등의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3법의 개정 내용과 의미에 관하여 서술하고, 추후 과제를 세 가지 측면, 즉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에 대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실질 보장을 위한 시스템 구축, 안전조치 확보를 위한 인증제도의 구축 및 합리적인 가이드라인의 지속적인 제시, 독립 기구로서의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전문적 업무 수행의 기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욱, "데이터 3법 통과...의료.AI 등 산업 탄력 전망", KISO 저널 (38), pp. 25-29, 2020.3.
  2. 권영준, "개인정보 자기결정권과 동의 제도에 대한 고찰", 2015 NAVER Privacy White Paper, pp. 78-148, 2015.
  3. 김민호, "개인정보의 의미", 성균관법학, 제28권 제4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pp. 1-22, 2016.12.
  4. 김병욱 의원 외,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2020.01.
  5. 김서안, 이인호, "유럽연합과 미국에서의 개인정보이동권 논의와 한국에의 시사점", 중앙법학, 제21집 제4호, 중앙법학회, pp. 270-308, 2019.12.
  6. 김윤정, '개인정보를 위협하는 데이터 3법', 월간 한국노총 통권 558호, pp. 28-29, 2020.1.
  7. 김일환, 홍석한,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 집행 체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제24권 제4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pp. 1-27, 2012.12.
  8. 김현경, "개인정보의 개념에 대한 논의와 법적과제", 미국헌법연구 제25권 2호, pp. 135-164, 2014.8.
  9. 노웅래 의원 외,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대안)', 2020.1.
  10. 배영임, 신혜리, '데이터3법, 데이터경제의 시작', 이슈&진단, 경기연구원, pp. 1-26, 2020.2.
  11. 이인호 외, '개인정보 관련 국내기업의 역차별에 관한 실태조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2018.12.
  12. 이인호,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의 집행을 위한 해결 현안들 토론문 - 데이터 3법의 개정과 향후 입법과제 모색", 개인정보보호법학회 제23회 특집세미나 자료집, pp. 7-22, 2020.2.
  13. 인재근 의원 외, 개인정보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 2019.11.
  14. 임상빈, 'ICT 기술변화에 따른 데이터 3법 개정과 지방세 정보화 및 납세편의 제도 발전 과제', 지방세포럼 제49호, pp. 52-68, 2020.1.
  15. 전승재.주문호.권헌영,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의 법률적 의미와 쟁점", 정보법학, 제20권 제3호, 한국정보법학회, pp. 259-290, 2016.12.
  16. 최경진, '데이터 3법 통과에 부쳐: 기대와 우려, 그리고 향후 과제', KEF e매거진 vol.66, pp. 6-7, 2020.02.
  17. Andrew T. Kenyon and Megan Richardson, 'New Dimensions in Privacy Law', cambridge, 2006.
  18. C. Nicoll, J.E.J. Prins, M.J.M. van Dellen, 'Digital Anonymity and The Law', T.M.C, Asser Press, 2003.
  19. CJEU, C-518/07, European Commission v. Federal Republic of Germany, 2010.
  20. CJEU, C-614/10, European Commission v. Republic of Austria), 2012.
  21. Claudia Rast et al., 'Recent trends in provacy and data security', ASPATORE, 2013.
  22. Serge Gutwirth et al., 'European Data Protection: In Good Health?', Springer, 2012.
  23. Tobias K. Buckner, Bertram L. Knowles, 'Privacy-Management, Legal Issues and Security Aspects', Nova, 2012.

Cited by

  1. Framework for assessing responsiveness to personal data breaches based on Capture-the-Flag vol.7, pp.3, 2020, https://doi.org/10.33851/jmis.2020.7.3.215
  2. 4차 산업혁명시대 스마트 강군 건설을 위한 국방 데이터의 전략적 활용 방안연구 vol.20, pp.4, 2020, https://doi.org/10.33778/kcsa.2020.20.4.113
  3. A Knowledge Model of Data Map for Semantically Representing National Data vol.22, pp.3, 2021, https://doi.org/10.9728/dcs.2021.22.3.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