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Extracting Industrial Security Jobs and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Focusing on the Unclassified Security Area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의 산업보안 직무 및 직무능력 추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NCS 미분류 보안영역을 중심으로

  • 임동선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신은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장항배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 Received : 2020.11.28
  • Accepted : 2020.02.27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In the midst of the rising need for Industrial Security experts,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ith regards to industrial security is a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The NCS standardizes university-level academic curriculum and qualification systems and connects them with the industry's needs. This study has extracted, classified and analyzed security-related jobs and tasks requiring security expertise that is required within NCS. Through this study, many tasks have been confirmed to require security competencie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IT-security, physical security that already exist as a NCS tasks. It is expected that the industry's needs of industrial security expertise will be reflected in future NCS development, whi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ystematizing industrial security jobs and competency.

산업보안 전문인력양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산업현장 수요에 맞춰 대학 교육과정들이나 자격제도 체계를 표준화하고 연결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의 산업보안 개발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NCS 내에 있는 보안관련 직무와 보안능력을 요구하는 직무, 해당 직무에 요구되는 보안능력을 추출, 분류,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많은 직무들에서 이미 NCS 직무분류로 존재하는 IT보안, 물리보안 등과 다른 보안능력 요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산업보안능력 및 수준 등에 대한 산업현장의 요구가 이후 산업보안 NCS개발 과정에 반영되어 산업보안 직무 및 직무능력을 체계화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호, 박종성, 김상진, '자격의 경제적 효과(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2. 장봉기, 양해술,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기술분야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눈문지, 제12권, 제12호, pp. 5420-5429, 2011.
  3. 한국산업인력공단, 'NCS 개발 매뉴얼', 2019.
  4. 서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내용에 관한 타당성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7권, 제10호, pp. 313-326, 2015.
  5. 김건휘, 하헌후, 우이식, "숙박서비스분야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및 적용 소개", 관광연구, 제30권, 제3호, pp. 1-20, 2015.
  6. 김진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기준 운영실태 분석 및 연계방안 연구, 직업과 자격 연구, 제8권, 제2호, pp. 1-19, 2019.
  7.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 2019.10 검색.
  8. 이기영, "사회복지분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현황의 분석과 논의",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7권, pp. 135-168, 2014.
  9. 서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7호, pp. 203-216, 2014.
  10. 이창무, "산업보안 개념의 비판적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50호, pp. 285-303, 2017.
  11. 박상호,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업보안 전문인력 요구직무 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2. 나원철, 이효직, 성소영, 장항배, "미래 융합보안 인력양성을 위한 보안교육과정 분류체계설계",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47-59, 2015. https://doi.org/10.7838/jsebs.2015.20.3.047
  13. 김자원, 전민서, 박상호, "산업보안 현장 전문인력을 고려한 요구역량 분석 연구",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지, 제6권, 제2호, pp. 7-27, 2016.
  14.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산업보안관리사 및 산업보안우수기관 인증제도 연구', 2019.
  15. 정진효, 이창무, "국내 산업보안학과의 교과과정 분석: 교육 영역과 과목별 분류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29-53, 2019. https://doi.org/10.7838/jsebs.2019.24.2.029
  16. 박준석, "산업보안 분야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방안", 한국산업보안연구, 제9권, 제1호, pp. 141-163, 2019.
  17.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산업보안학', 박영사, 2019.
  18. 켄트주립대 산업보안학과 홈페이지, , 2019.9검색.
  19. 아우스부르크 응용과학대학 산업보안 석사과정 홈페이지, , 2019.9검색.
  20.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홈페이지, , 2019.9검색
  21. 산업보안실무위원회, 'ISE 국가공인 산업보안관리사', 케듀아이, 2019.
  22. 최선태, "산업보안 전문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제12권, 제4호, pp. 221-255, 2010.
  23. 정진영, 박지영, "산업보안 교육기관 구축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과정 개발", 한국산업보안연구, 제6권, 제2호, pp. 81-109, 2016.
  24. ASIS, 'Borad Certification Handbook', 2019.
  25. NCMS ISP Committee, 'Industrial Security Professional Certification Program Manual: ISP-2004', ver2.7, 2019.
  26. 주일엽, "경호경비 관련인력 수급실태 분석 : 고용노동부의 직업분류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 45, pp. 191-220, 2015.
  27. 전민서, 장항배, "ICT기반 보안개념 정의와 범위에 관한 설계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 21권, 제 3호, pp. 49-61, 2019. https://doi.org/10.14329/isr.2019.21.3.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