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Magma Healing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마그마힐링 프로그램이 노인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배상희 (충청남도 당진시 궁리 보건진료소) ;
  • 최미영 (충청남도 아산시 신남보건진료소) ;
  • 이영희 (충청남도 공주시 장원보건진료소) ;
  • 신정은 (충청대학교 간호학과) ;
  • 장양민 (충북보건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20.04.29
  • Accepted : 2020.06.02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elders taking part in the Magma healing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a single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elders over 60 who had complained of depression more than once within the last 3 months, and who were living in the jurisdiction of a health clinic in the 3-area of Chungnam. Data from 14 e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Magma healing program were analyzed using nonparametric paired t-test with SPSS 25.0.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agma healing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reducing depression (z=-2.91, p=.004) and improving self-esteem (z=-2.91, p=.004) in elders. Conclusion: The Magma healing program has been proven to be a very useful program to reduce depression in elders and promote self-esteem, thereby integrating their lives and leading to successful aging.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7 주요 인구지표(성비, 인구성장률, 인구구조, 부양비 등)[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7[cited 2019 March 28] http://kosis.kr/easyViewStatis/customStatisIndex.do?vwcd=MT_TM1_TITLE&menuId=M_03_01
  2. 남효정, 황성희, 김유정, 김기웅.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중앙치매센터 연구보고서. 성남: 중앙치매센터; 2018 12. 보고서 번호.:NIDR-1802-0023.
  3.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경래, 이윤경, 오미애 등.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세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1. 보고서 번호.:11-1352000-000672-12.
  4. 이난희, 방기현, 송혜숙. 종단자료를 활용한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 변화요인 분석. 대한보건연구. 2017;43(3):13-25. https://doi.org/10.22900/KPHR.2017.43.3.002
  5. 남일성, 윤현숙. 노인 우울증 변화 궤적과 관련 위험 요인.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14;14(3):112-120. https://doi.org/10.15384/kjhp.2014.14.3.112
  6. 김윤영. 만다라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 대구대학교; 2018. 93 p.
  7. 김종임. 농촌 지역 노인들의 우울과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 예측요인. 노인간호학회지. 2014;16(3):231-241. https://doi.org/10.17079/jkgn.2014.16.3.231
  8. 한송희, 최정신, 최윤지, 윤순덕. 농촌 여성노인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사회적 관계망과 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017;24(4):223-235. https://doi.org/10.12653/jecd.2017.24.4.0223
  9. 김향아. 남녀 노인의 우울 변화궤적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019;74(1):91-114. https://doi.org/10.21194/kjgsw.74.1.201903.91
  10. 김신향, 김형수.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2014;40(3):77-97. https://doi.org/10.15820/khjss.2014.40.3.004
  11.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1st ed.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26 p.
  12. 김미선.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2014. 66 p.
  13. 박상연, 전영미, 성정혜, 이선희. 노인의 역할활동과 자아존중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2013;14(1):43-50.
  14. 곽아람.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2014. 98 p.
  15. 정순영, 한상영. 만다라미술치료 과정 명상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2016;23(1):259-311. https://doi.org/10.35594/kata.2016.23.1.012
  16. 김영옥, 김영옥. 만다라 심리상담 기법. 1st ed. 서울: 마그마숲; 2016. 289 p.
  17. 장미림. 만다라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미디어 중독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016;23(2):609-632. https://doi.org/10.35594/kata.2016.23.2.012
  18. 김재순, 최외선. 중년기 여성의 우울 감소와 자존감 향상을 위한 만다라 중심 미술치료사례 연구. 2012;19(4):937-961. https://doi.org/10.35594/kata.2012.19.4.010
  19. 변혜진, 이영옥.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016;23(4):1079-1097. https://doi.org/10.35594/kata.2016.23.4.008
  20. 석상훈, 권혁창, 송현주, 이은영, 오지연, 신혜리 등.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노후준비 실태와 기대; 제3차 국민노 후보장채널 부가조사 분석보고서. 서울: 국민연금연구원;2012 02. 보고서 번호: 조사보고서 2011-01(1/2).
  21. 윤유경. 주관적 연령의 예측 요인과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1996. 105 p.
  22. 권혁례. 뇌교육을 병행한 만다라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삶의 의미 증진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연구. 2019;24(0):7-31.
  23.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등.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ng Sacle (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정신신경의학. 1999;38(1):48-63.
  24. 전병제.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974;11:109-129.
  25. 김금순. 가족관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부산]: 신라대학교; 2016. 115 p.
  26. 김영옥. 만다라 분석심리로 가는 길. 1st ed. 서울: 마그마숲; 2017. 331 p.
  27. 김일식, 신혜숙, 서호찬. 노인대상 우울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2015;35(4):1061-1079.
  28. 서정훈, 고영란. 집단미술치료가 ADHD 시설아동의 자기통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011;18(2):177-201.
  29. 양원영. 집단미술치료가 군 관심병사의 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시설환경. 2019;17(2):87-102.
  30. 박민정, 정미영. 노인의 불안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복수매개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20;31(1):24-33. https://doi.org/10.12799/jkachn.2020.3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