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Peer Attachment on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ear of Missing Out

  • 한다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
  • 김빛나 (가천대학교 심리학과)
  • Han, Da-Jung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 Kim, Bin-Na (Department of Psychology, Gachon University)
  • 투고 : 2020.06.02
  • 심사 : 2020.07.31
  • 발행 : 2020.12.30

초록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은 흐름을 놓치거나 자신이 포함되지 않을 것이 두려워 남들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계속 확인하고 싶은 욕구를 의미하며, 특히 소셜미디어 분야에 널리 퍼져있는 현상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SNS 중독과 밀접한 변인으로 조명되어 왔으나, 어떤 경로를 거쳐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청소년의 애착과 SNS 중독경향성 사이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총 517명의 중고등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관련 척도들이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부모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 및 또래와 애착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느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며, 또래애착의 경우 이러한 관계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설명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실용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Fear of missing out (FoMO) refers to the desire to stay continually connected with what others are doing because they are afraid of missing the flow or not being included. Although FoMO has been recently proposed as a widespread phenomenon within social media, there has been few empirical research by which mechanism FoMO leads to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oM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 total of 51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FoM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arental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he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fully mediated by FoMO.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stable attachment might contribute to SNS addiction through FoMO, especially in case of peer attachment. Lastly,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수영 (2013). 부모애착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인터넷진흥원 (2019). 2018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3. 권지영 (2019). 중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와 모의 의존지향 심리적 통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기정 (2010). 부모애착과 또래 애착이 청소년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민경 (2012).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 부모애착이 인터넷 게임 중독과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학회, 19(4), 1-22.
  6. 김보경, 백용매, 허창구 (2016). 애착과 스마트폰 및 SNS 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3), 483-502.
  7. 김영숙 (2017).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유연 (2015). 또래애착과 자기통제력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윤희, 조규영 (2014). B시 고등학생의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6(2), 1075-1086.
  10. 문화림 (2019). 자기개념명확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사회비교경향성과 상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이중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선영 (2014). 중학생의 우울과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주리 (2020). 상향비교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박지수, 서영석 (2018).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4), 1239-1269.
  14. 송두리 (2013). 부모 및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오윤경 (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옥 정 (1998).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성경, 박승리, 황매향 (2010). 한국 초.중.고등학생용 부모애착척도의 타당화 연구. 초등상담연구, 9(1), 21-39.
  18. 유현욱 (2015). 중학생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상호 (2013).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 지수(KSAI)제안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1), 256-265.
  20. 이수하 (2005).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윤희 (2014). 국내 SNS의 이용 현황과 주요 이슈 분석. Internet & Security Focus, 8, 56-78.
  22. 이재현 (2012). 트위터란 무엇인가: 다학제적 접근. 커뮤니케이션북스.
  23.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중독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3), 463-486.
  24. 정소영, 김종남 (2014).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47-166. https://doi.org/10.17315/KJHP.2014.19.1.008
  25. 조영일, 김지현, 한우리, 조유정 (2015). 임상 연구에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의 비교 및 통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1113-1131.
  26. 조혜진 (2006). 청소년의 또래 애착과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주은선, 전소연, 심솔지 (2018). 한국형 소외에 대한 두려움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2), 248-261.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248
  28. 허일수, 유진이 (2018). 중장기청소년쉼터 여자 청소년들의 SNS 범죄경향 분석. 청소년시설환경, 16(3), 67-72.
  29. 황은숙 (2011). 청소년의 부적절한 휴대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애착과 충동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Ainsworth, M. S. (1989). Attachments beyond infancy. American Psychologist, 44, 709. https://doi.org/10.1037/0003-066X.44.4.709
  31.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27-454. https://doi.org/10.1007/BF02202939
  32. Assuncao, R., Costa, P., Tagliabue, S., & Matos, P. (2017). Problematic Facebook use in adolescents: Associations with parental attachment and alienation to peer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 2990-2998. https://doi.org/10.1007/s10826-017-0817-2
  33. Badenes-Ribera, L., Fabris, M. A., Gastaldi, F. G. M., Prino, L. E., & Longobardi, C. (2019). Parent and peer attachment as predictors of Facebook addiction symptoms in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early adolescents and adolescents). Addictive Behaviors, 95, 226-232. https://doi.org/10.1016/j.addbeh.2019.05.009
  34. Beyens, I., Frison, E., & Eggermont, S. (2016). "I don't want to miss a thing": Adolescents' fear of missing out and its relationship to adolescents' social needs, Facebook use, and Facebook related str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4, 1-8. https://doi.org/10.1016/j.chb.2016.05.083
  35. Bowlby, J. (1958). The nature of the child's tie to his mother.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39, 350-373.
  36. Brennan, K. A., Clark, C. L., & Shaver, P.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ive overview.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New York: Guilford Press.
  37. Coleman, J. C., & Hendry, L. B. (1990). 청소년과 사회: 청소년기의 심리, 건강, 행동 그리고 관계의 본질 (강영배, 김기헌, 이은주 역). 파주: 성안당.
  38. D'Arienzo, M. C., Boursier, V., & Griffiths, M. D. (2019). Addiction to social media and attachment styl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7, 1094-1118. https://doi.org/10.1007/s11469-019-00082-5
  39. Dempsey, A. E., O'Brien, K. D., Tiamiyu, M. F., & Elhai, J. D. (2019). Fear of missing out (FoMO) and rumination mediate relations between social anxiety and problematic Facebook use. Addictive Behaviors Reports, 9, 100150.
  40. Elhai, J. D., Gallinari, E. F., Rozgonjuk, D., & Yang, H. (2020). Depression, anxiety and fear of missing out as correlates of social, non-social and problematic smartphone use. Addictive Behaviors, 105, 106335.
  41. Estevez, A., Jauregui, P., & Lopez-Gonzalez, H. (2019). Attachment and behavioral addictions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coping strategie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60, 348-360. https://doi.org/10.1111/sjop.12547
  42. Fabris, M. A., Marengo, D., Longobardi, C., & Settanni, M. (2020). Investigating the links between fear of missing out, social media addiction, and emotional symptoms in adolescence: The role of stress associated with neglect and negative reactions on social media. Addictive Behaviors, 106, 106364.
  43. Feeney, J. A., Noller, P., & Hanrahan, M. (1994). Assessing adult attachment. In M. B. Sperling & W. H. Berman (Eds.), Attachment in adults: Clin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pp. 128-152). New York: Guilford Press.
  44. Hart, J., Nailling, E., Bizer, G. Y., & Collins, C. K. (2015). Attachment theory as a framework for explaining engagement with Facebook.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77, 33-40. https://doi.org/10.1016/j.paid.2014.12.016
  45.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46. Hayes, A. F. (2014). PROCESS 2.13. [Statistical software] / (accessed 15. 08. 26)
  47. Herman, D. (2000). Introducing short-term brands: A new branding tool for a new consumer reality. Journal of Brand Management, 7, 330-340. https://doi.org/10.1057/bm.2000.23
  48. Holte, A. J., & Ferraro, F. R. (2020). Anxious, bored, and (maybe) missing out: Evaluation of anxiety attachment, boredom proneness, and fear of missing out (FoMO).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12, 106465.
  49. Kim, Seungyun (2019), Fear of missing out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cognitive distortion =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인지적 왜곡의 조절된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50. Lai, C., Altavilla, D., Ronconi, A., & Aceto, P. (2016). Fear of missing out (FOMO) is associated with activation of the right middle temporal gyrus during inclusion social cu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1, 516-521. https://doi.org/10.1016/j.chb.2016.03.072
  51. Lei, L., & Wu, Y. (2007). Adolescents' parental attachment and Internet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10, 633-639. https://doi.org/10.1089/cpb.2007.9976
  52. Liu, C., & Ma, J. L. (2019). Adult attachment orientations and social networking sit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online social support and the fear of missing out. Frontiers in Psychology, 10, 2629. https://doi.org/10.3389/fpsyg.2019.02629
  53. Monacis, L., de Palo, V., Griffiths, M. D., & Sinatra, M. (2017). Explo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online addictions: The role of identity and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5, 853-868. https://doi.org/10.1007/s11469-017-9768-5
  54. Nitzburg, G. C., & Farber, B. A. (2013). Putting up emotional (Facebook) walls? Attachment status and emerging adults' experiences of social networking sit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 1183-1190. https://doi.org/10.1002/jclp.22045
  55. Oberst, U., Wegmann, E., Stodt, B., Brand, M., & Chamarro, A. (2017). Negative consequences from heavy social networking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fear of missing out. Journal of Adolescence, 55, 51-60.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6.12.008
  56. Oldfield, J., Humphrey, N., & Hebron, J. (2016). The role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relationships and school connectedness in predicting adolescent mental health outcomes.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21, 21-29. https://doi.org/10.1111/camh.12108
  57. Oldmeadow, J. A., Quinn, S., & Kowert, R. (2013). Attachment style, social skills, and Facebook use amongst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 1142-1149. https://doi.org/10.1016/j.chb.2012.10.006
  58. Przybylski, A. K., Murayama, K., Dehaan, C. R., & Gladwell, V. (2013). Motivational, emotional,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fear of missing ou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 1841-1848. https://doi.org/10.1016/j.chb.2013.02.014
  59. Reiner, I., Tibubos, A. N., Hardt, J., Muller, K., Wolfling, K., & Beutel, M. E. (2017). Peer attachment, specific patterns of internet use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6, 1257-1268. https://doi.org/10.1007/s00787-017-0984-0
  60. Stevens, M. W., King, D. L., Dorstyn, D., & Delfabbro, P. H. (2019).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Internet gaming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26, 191-203. https://doi.org/10.1002/cpp.2341
  61. Wegmann, E., Oberst, U., Stodt, B., & Brand, M. (2017). Online-specific fear of missing out and Internet-use expectancies contribute to symptoms of Internet-communication disorder. Addictive Behaviors Reports, 5, 33-42. https://doi.org/10.1016/j.abrep.2017.04.001
  62. Yang, X., Zhu, L., Chen, Q., Song, P., & Wang, Z. (2016). Parent marital conflict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father-child, mother-child, and peer attach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59, 221-229. https://doi.org/10.1016/j.chb.2016.0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