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Documentary Archiving Focusing on the case of Archiving by Seoul Metropolitan Archives

'다큐멘터리 아카이빙' 연구 서울기록원의 수집 사례를 중심으로

  • 안드리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송영랑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0.06.30
  • Accepted : 2020.07.18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documentation of a city can never be complete with only the documentation of the administrative domain, and requires that of its citizens, who are living in the city in different ways.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documentation of the memories of the citizens, which either have never been produced or have been damaged and thus are difficult to be collected. From the Archival Activist point of view, this study suggests documentary as its research method, in order to leave trace of various experiences of Seoul, which are not recorded in document but are rooted in its people's memories and their daily lives. Documentari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narrative. This can be somewhat arbitrary, but it is due to their narrative that this study suggests documentaries, rather than oral statements, as a new form of method. While, due to its self-historicality, oral records are subject to producing redundant or irrelevant memories, documentaries enable the documentation of data relevant to the topic of collection. First, the study presents the narrative-based archiving, which is the same method of collection suggested by Seoul Metropolitan Archives, and then explores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documentary archiving. It further presents the conditions in which documentary archiving is required in the context of narrative-based collection. The study presents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documentary archiving and introduces one of the three documentaries produced by 2019 Seoul Archiving Project.

도시의 기록화는 행정영역의 기록만으로 완전할 수 없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에서 살아가는 시민들의 기록이 함께 수집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서울기록원의 서울시 기록화 사업 사례를 토대로, 생산되지 않았거나 훼손되어 수집되기 어려운 시민의 기억을 남기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기록학 실천주의의 입장 아래 기록으로는 남아있지 않아도 기억에는 존재하고 일상에 스며있는 서울에 대한 다양한 경험들을 남기기 위해 다큐멘터리를 도구로 제안하였다. 다큐멘터리는 서사성의 특징을 갖는다. 이는 매우 자의적 성격을 갖지만 구술이 아닌 다큐멘터리를 새로운 방법으로 제안하는 것은 이 서사성이라는 특징 때문이다. 구술기록이 갖는 자기역사성과 그로 인해 제공되는 필요 이상의 기억들을 배제하고 수집주제에 부합하는 내용을 기록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문에서는 서울기록원에서 서울기록 수집으로 제안한 서사 기반의 기록 수집 방법, 그리고 그 안에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사기반 수집 안에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의 방법이 필요한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큐멘터리 아카이빙을 실행하기 위한 기획·절차와 함께 2019년 서울 기록 수집 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3편의 다큐멘터리 중 한 편을 사례로 소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울기록원. 2019. 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콘텐츠 개발 사업 완료 보고서.
  2. 권순명, 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1, 41-84. https://doi.org/10.20923/kjas.2009.21.041
  3. 김지훈. 2018. 2010년대 한국 다큐멘터리의 '아카이브적 전환'과 벤야민적 역사쓰기: <논픽션 다이어리>, <88/18>, <순환하는 밤>. 문학과 영상, 19(3), 379-406.
  4.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
  5. 류한조. 2020. 자기역사 구성에서의 SNS 게시물 기록 적용 연구. 기록학연구, 64, 63-92.
  6. 설문원, 김정현. 2013. 공간 중심의 연계형 기록화의 실행 방안. 기록학연구, 36, 233-269. https://doi.org/10.20923/kjas.2013.36.233
  7. 유지수. 2019. 리티 판의 다큐멘터리 <우리의 모국 프랑스>에 나타난 아카이브 활용양상과 역사서술 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209-221.
  8. 유현준. 2015.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학적 시선, 서울: 을유문화사.
  9.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월가점령운동 기록화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2, 213-243. https://doi.org/10.20923/kjas.2014.42.213
  10. Bill Nichols. 2001. Introduction to Ducumentary. Indiana University Press. (이선화 역. 2005. 다큐멘터리 입문. 파주: 한울아카데미).
  11. Catherine Russell. 2018. Archiveology: Walter Benjamin and Archival Film Practices. Duke University Press Books.
  12. Randall C, Jimerson. 2009. Archives Power: Memory, Accountability, and Social Justic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역. 2016. 기록의 힘: 기억, 설명책임성, 사회정의.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3. Sheila Curran Bernard. 2010. Documentary Storytelling: Creative Nonfiction on Screen. Taylor & Francis Group LLC. (양기석, 신순옥 역. 2013.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2013년 개정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