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e Study of Ancient Northeast Asian Lead Glass and Green Glaze Based on Analysis Results

분석자료를 기초한 고대 납유리와 녹유의 특성 연구

  • Lee, Jihee (Dept. of History of Ar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지희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
  • 김현정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Received : 2020.09.30
  • Accepted : 2020.11.1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sults of analyses of the lead isotope ratio and chemical composition of lead glass and green glaze from ancient Northeast Asia in order to suggest their production sites and reveal further characteristics. The comparison of the lead isotope ratio of lead glass and green glaze from two Baekje remains in Iksan-the Wanggung-ri Site and Mireuksa Temple Site-suggests that they were produced to the west of the South Gyeonggi Massif (Zone 4) using lead extracted from the same area. With a few exceptions, it has proved difficult to identify the production sites of most of the green-glazed roof tiles from Unified Silla-period Buddhist temples across Northeast Asia. The major component of the lead glass from Baekje, Silla, China, and Japan during the seventh century is PbO, SiO2, Al2O3, CuO, and Fe2O3, with a ratio of PbO and SiO2 of 70 and 30 wt.%, respectively. The green-glazed roof tiles excavated from a templ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have a high proportion of lead, ranging from 64 to 90 wt.%. Green-glazed lozenge tiles excavated from the Sacheonwangsa Temple site in Gyeongju were shown to contain PbO, SiO2, Al2O3, and CuO, a similar composition with lead glas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produce a glaze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mentioned in the Zō hotokesho sakumotsu-chō (Buddhist statue workshop crop book) in the Shosoin Repository. In this experiment, an identical ratio of PbO was observed for Japanese green-glazed ceramics from the eighth to eleventh century as that found in Chinese lead-glazed ceramics excavated from kilns operated from the seventh to tenth century in Henan. This indicates that production methods for lead glass and glaze were shared across Northeast Asia.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에서 고대에 제작되었던 납유리와 녹유의 납동위원소비와 화학조성의 분석자료를 기초하여 산지를 추정하고 그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백제의 익산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납유리와 녹유의 납동위원소비를 비교한 결과, 추정산지는 한국 남부 경기육괴 서부(zone4)로 같은 지역에서 납을 채취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사찰에서 출토된 녹유와전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동북아시아에서 그 산지를 짐작하기 어려웠다. 7세기경 백제와 신라, 중국, 일본에서 출토된 납유리의 주성분은 PbO, SiO2, Al2O3, CuO, Fe2O3이며, 비율은 PbO 70wt.%, SiO2 30wt.%으로 확인된다. 통일신라 사찰에서 출토된 녹유와전은 PbO 64~90wt.%로 납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능형전>은 주성분이 PbO, SiO2, Al2O3, CuO이며 납유리와 조성성분이 유사하다. 일본의 『조불소장물장(造佛所作物帳, AD733년)』에 대한 유약 재현실험 결과, 중국과 일본 가마터 출토품의 PbO 값이 일정하게 확인되었다. 이는 당시 동북아시아에서 제작기술의 공유가 있었음을 시사해 준다.

Keywords

References

  1. 표준국어대사전, 유리, https://ko.dict.naver.com/#/entry/koko/ba9fd7e74f814545b132697232898f60 (2020년).
  2. 이지희, 통일신라시대 연유도기 연구,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3. 馬淵久夫, 平尾良光, 鉛同位體比法による漢式鏡の硏究(2), MUSEUM 382, p16~30, (1983).
  4. Mabuchi, H.,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p19,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Japan(No.58540374-59540377), (1985).
  5. 馬淵久夫, 平尾良光,"東アジア鉛鑛石の鉛同位體比法", 考古學雜誌 73(2), p199-210,245, (1987).
  6. 정연중 외, 한반도 방연석 광석 조사 및 납동위원소 기초연구, p68-100, 국립문화재연구소,(2012).
  7. Youn-Joong Jeong, Chang-sik Cheong, Dongbok Shin, Kwang-Sik Lee, Hui Je Jo, Mukesh Kumar Gautam, Insung Lee,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61, p116-127, (2012). https://doi.org/10.1016/j.jseaes.2012.09.008
  8. 정연중, 정창식, 최정윤, 안유미, 한민수, 황진주, 김소진, 한반도 남부지역 금속광상의 납동위원소비 광역 분포도 작성, p319-366,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2015).
  9. 金炫廷, 古代东亚细亚青铜器材料的使用与原产地问题, p175-193, 二届中韩考古研究生论坛 東北亞古代文化交流, 赤峰学院博物馆报告厅, (2019).
  10. 김규호, 平尾良光, 한송이, 노제현, 김나영, 임덕수, 익산 왕궁리유적 관련 유리 및 坩堝의 납동위원소비, p73-118, 왕궁의 공방II-유리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7).
  11. 강형태, 정광용, 허우영, 김성배, 조남철, 익산 왕궁리유적 납유리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한국상고사학보 45, p31-48, (2004).
  12. 강형태, 정영동, 조재영, 김호상, 통일신라시대 녹유전돌(綠釉塼)의 녹유 특성- 부석사, 천룡사지 및 법광사지 녹유 전돌, 先史와 古代 25, p211-222, (2005).
  13. 조남철, 허우영, 김호상, 강형태, 경주 靈廟寺址 녹유전의 녹유 특성, 호남고고학보 27, 호남고고학회, p129-142, (2007).
  1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사천왕사녹유신장벽전 복원 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8).
  15. 奈良文化財硏究所, 河南省文物考古硏究所, 关于古代日本.中国铅釉陶器釉药的铅同位素比值测定, p148-152, 华夏考古, (2011).
  16. 平尾良光 외, 大航海時代の日本と金屬交易, p80-101, 思文閣出版, (2014).
  17. 김현정, 김수기, 보물 제1167호 청주 운천동 출토 통일신라 범종의 형태와 보존과학적 특성 고찰, 문화재 40, p357-386, (2007).
  18. 한민수, 김소진, 익산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 내 출토 고대 납유리 유물의 성분특성 분석, 한국광물학회지 28, p187-193, (2017).
  19.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경주 황남동 376번지 통일신라시대 유적,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2002).
  2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왕궁의 유리공방, p10-71, 왕궁의 공방II-유리편,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7).
  21. 谷一尙, 고대 유리의 제작과 전래, p194-203, 백제 불교문화의 寶庫 미륵사-학술심포지엄 논문집, (2010).
  22. 王洪敏, 潘伟斌, 朱铁权, 安阳北朝墓出土铅釉陶的分析研究, 中国国家博物馆, (2011).
  23. 이한형, 정민호, 문은정, 박지연, 김수경, 최장미, 한민수, 경주 사천왕사지 녹유전의 녹유 특성 연구, 文化財 44-3호, p112-131, (2011).
  24. 문환석, 한민수, 황진주, 김호상, 浦項 法廣寺址 出土 綠釉瓦의 自然 科學的 調査, 古文化 60, p101-120, (2002).
  25. 巽淳一郞, 日本の美術 12, 至文堂, (1985).
  26. 山崎一雄, 綠釉と三彩の材料と技法, p12-19, 日本の三彩と綠釉, 五島美術館, (1998).
  27. 河南省文物硏究員.中國文化遺産硏究員.日本奈良文化財硏究所, 鞏义黃冶窑, 科學出版社,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