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체면민감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충동구매성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Face Sensitivity on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mpulse Buying Tendency -

  • 유명강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 이보희 (신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Liu, Ming-Qiang (Dep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Silla University) ;
  • Lee, Bo-Hui (Dept.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Silla University)
  • 투고 : 2020.01.06
  • 심사 : 2020.02.20
  • 발행 : 2020.03.31

초록

체면민감성은 한국 사회에서 소비문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크게 관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체면민감성이 충동구매성향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충동구매성향은 체면민감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면민감성의 하위요인인 타인의식성과 형식격식성은 충동구매성향의 하위요인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피의식성은 충동구매성향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동구매성향의 하위요인인 암시충동구매와 상기충동구매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극충동구매와 순수충동구매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체면민감성의 하위요인인 타인의식성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형식격식성과 창피의식성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체면민감성과 만족의 영향관계에서 충동구매성향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체면민감성의 하위요인인 타인의식성이 암시충동구매와 상기충동구매의 매개를 통해 소비자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이나 마케터들에게 보다 의미있는 이론적 시사점,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마케팅 전략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face sensitivity on impulse buying tendency and satisfaction. This study wa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mpulse buying t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face sensitivity and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266 subjects living in Busan, Korea.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22 and Amos 2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thers conscious social face and formality social face were related to impulse buying tendency. However, shame conscious social face was partially related to impulse buying tendency. Second, suggestion impulse buying and reminder impulse buying had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however stimulus impulse buying and pure impulse buying had not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others conscious social fac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But, formality social face and shame conscious social face have not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Finally, this study also fou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uggestion impulse buying and reminder impulse buying in the relation between others conscious social face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implications focused on the social face sensitivity, impulse buying tendency and satisfaction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민철(2009), "청소년의 온라인 스포츠용품 구매결정과정에서 충동구매의 매개효과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8(4), 189-202.
  2. 김세희(2011), "사회적 바람직성이 소비자 설문 응답 및 결과 분석에 미치는 영향: 체면민감성이 의복 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례를 이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35(11), 1322-1332. https://doi.org/10.5850/JKSCT.2011.35.11.1322
  3. 김윤환.강명주(2012), "백화점의 고객만족 및 충성도 제고를 위한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1(1), 65-88.
  4. 김재휘.김태훈.전진안(2008), "체면이 비계획적 상향소비에 미치는 영향", 심리학회지, 9(2), 149-168.
  5. 김화동(2005), "인터넷 쇼핑 충동구매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 및 구매 후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7(4), 297-318.
  6. 박상룡.김선아(2007), "체면민감성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6), 589-594.
  7. 박상수.우양일(2012), "체면민감성에 따른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들의 추구혜택과 만족도에 관한 실증연구", 중국과 중국학, 15, 31-63.
  8. 박은주.강은미(2016), "모바일 패션 쇼핑물에 서 패션제품 속성과 모바일 쇼핑물 속성이 충동구매 행동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8(2), 158-166. https://doi.org/10.5805/SFTI.2016.18.2.158
  9. 박은희.구양숙(2014), "대학생의 과시소비성향과 청바지 착용태도 및 구매행동",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6(1), 65-76.
  10. 박진우.송인암.김규배(2018), "모바일 쇼핑에서 쇼핑 특성과 소비자 특성이 충동구매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31(1), 83-111.
  11. 배병렬(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서울.
  12. 범기수(2007), "대선후보자 TV 토론시 상대 체면에 대한 공격자지지 전략에 관한 한.미 비교연구",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68-170.
  13. 서문식.천명환.안진우(2009), "충동구매, 낭비적인가?", 소비자학연구, 20(1), 65-92.
  14. 서문식.하승범(2014), "충동구매 매커니즘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5(5), 29-62.
  15. 서용한(2013), "쇼핑체험과 충동구매간 과계에서 의류구매자의 조절초점 역할에 관한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32(2), 237-257.
  16. 서용한.오희선.전민지(2011), "체면이 명품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1), 25-31. https://doi.org/10.5805/KSCI.2011.13.1.025
  17. 양성목.김형길(2019), "모바일 충동구매와 구매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9(1), 307-330.
  18. 양윤.박민지(2014), "충동구매 경향성과 예기된 죄책감에 따른 쾌락재와 실용재의 선택", 한국심리학회지, 15(1), 41-56.
  19. 오희선(2016), "충동구매성향이 쇼핑중독과 쇼핑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형미디어학, 19(2), 167-173.
  20. 유민봉.심형인.홍혜숙(2011), "체면의식이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0(3), 121-143.
  21. 유승엽(2007), "한국인의 문화심리 특성요인과 의례소비", 한국심리학회지, 8(2), 205-233.
  22. 이명현.이형룡(2013), "골프참여자의 체면민감성과 소비성향의 관계에서 성별과 골프실력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2(5), 61-82.
  23. 이병관(2012), "골프소비자의 체면중시에 따른 과시소비성향이 명품선호도 및 명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4), 635-644.
  24. 이석재.최상진(2001), "체면지향행동의 이원구조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15(2), 65-83.
  25. 이유재(2000), "고객만족 연구에서 관한 종합적 고찰", 소비자학연구, 11(3), 139-166.
  26. 이은진(2011), "인터넷 패션 소비자의 충동구매성향이 긍정적, 부정적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3(4), 511-522. https://doi.org/10.5805/KSCI.2011.13.4.511
  27. 정명선.김혜진(2009), "체면민감성, 과시소비성향, 패션 명품선호도가 패션 명품 복제품의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17(2), 189-202. https://doi.org/10.29049/RJCC.2009.17.2.189
  28. 진대건.유소이(2018), "소비자의 체면민감성과 아웃도어웨어 구매행동 연구- 과시소비의 매개효과 분석", 패션비즈니스, 22(2), 14-26. https://doi.org/10.12940/JFB.2018.22.2.14
  29. 최상진(2004), "한국인의 사회심리학",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51-162.
  30. 최상진(2011), 한국인의 심리학, 학지사: 서울.
  31. 최상진.김기범(2000), "체면의 심리적구조", 한국심리학회지, 14(1), 185-202.
  32. 최상진.유승엽(1992),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6(2), 137-157.
  33. 최상진.진승범(1995), "한국인의 눈치의 심리적 표상체계: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511-521.
  34. 최상진.최인재(1999), "정, 체면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4(1), 41-56.
  35. 최진.이지환.정아람.김태형(2018), "야구용품소비자의 체면민감성이 구매만족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학지, 27(2), 585-596.
  36. Baron, R. M. and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7. Belk, R. W. (1988), "Possessions and the Exte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139-168. https://doi.org/10.1086/209154
  38. Bloddworth, D. (1980), The Chinese Looking Glass, Farrar Straus Giroux: New York.
  39. Brown, P. and Levinson, S. (1987),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0. Engel, J. F. and Blackwell, R. D. (1982), Consumer Behavior, 4th ed., CBS College Publishing.
  41. Field, A. (2000), Discovering Statistics Using SPSS for Windows, SAGE: Thousand Oaks, CA.
  42. Fornell, C. and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43. Garson, J. M. (2001), Quantification in Modal Logic, In Handbook of Philosophical Logic, Springer: Dordrecht.
  44. Goffman, E. (1955), "On Face-work: An Analysis of Ritual Elements in Social Interaction", Psychiatry: Journal for the Study of Interpersonal Processes, 213-231.
  45. Goffman, E. (1959),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Doubleday: New York.
  46. Goodman, E., Dalon, L. M., Morrison, J. A. and Daniels, S. R. (2005), "Factor Analysis of Clustered Cardiovascular Risks in Adolescence: Obesity is the Predominant Correlate of Risk Among Younth", Circulation, 111, 1970-1977. https://doi.org/10.1161/01.CIR.0000161957.34198.2B
  47.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and Black, W.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U.S.A., Prentice Hall.
  48. Hofstede, G. (1983), "The Cultural Relativity of Organizational Practices and Theorie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75-89.
  49. Hunt, K. H. (1977), Customers Satisfaction/Dissatisfaction-Overview and Future Directions, in Hunt, K. H.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Marketing Science Institute: Cambridge, MA.
  50. Oliver, R. L. (1981),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e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57(Full), 25-48.
  51. Oliver, R. L. (1997),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ustomer, McGraw-Hill.
  52. Rook, D. W. (1987), "The Buying Impuls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2), 189-199. https://doi.org/10.1086/209105
  53. Rook, D. W. and Fisher, R. J. (1995), "Normative Influences on Impulsive Buy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05-313.
  54. Rook, D. W. and Hoch, S. H. (1985), "Consumer Impuls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3-27.
  55.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2, 290-312. https://doi.org/10.2307/270723
  56. Stern, H. (1962),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26, 46-49. https://doi.org/10.1177/002224296202600409
  57. Stover, L. E. and Stover, T. K. (1976), China: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Goodyear Publishing CA: Pacific Palisades.
  58. Tse, D. K. and Wilton, P. C. (1988),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An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04-212.
  59. Weinberg, P. and Gottwald, W. (1982), "Impulsive Consumer Buying as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1), 43-57. https://doi.org/10.1016/0148-2963(82)90016-9
  60. Zeelenberg, M. and Pieters, R. (2007), "A Theory of Regret Regulation 1.0",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7, 3-18.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1701_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