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정지. (2018). 디지털 시대의 매개적 신체와 조형예술의 융합: 패션과 결합한 신체의 확장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59(2), 167-178.
- 김계옥. (2016). 비물질적 표현으로서 장신구아트-<제2의 피부로서의 장신구>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53, 45-56.
- 김은영. (2005). Antony Gormley의 인체조각에 표현된 신체담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정, 박옥련. (2012). 2000년 이후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실험적 디자이너의 표현특성.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2(3), 97-114.
- 김화람. (2011). 현대조각에서 있어서 매체의 확장과 비물질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현수. (2018). 뉴미디어 예술의 물질성 변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현신. (2003). 20세기 후기 패션의 신체부재와 탈재현 현상.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현신. (1998). 카오스.프랙탈적 사고에 기초한 의상의 해체 경향에 관한 연구: 작품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38, 197-192.
- 박용숙. (1988). 현대미술의 반성적 이해. 서울: 집문당.
- 서상숙. (2019). 고요한 긴장 속에 요동치는 미국의 혼란상: 인종, 정치, 젠더 그리고 아이덴티티. 월간미술, 154-159.
- 오생근. (1993). 데카르트, 들뢰즈, 푸코의 육체, 사회비평-몸의 정치학: 시선과 권력. 문화과학사.
- 유태순. 전경숙. (1996). 인체미의 이상형에 따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변화. 한국복식학회, 28, 65-84.
- 유재부. (2016. 4. 24). 뉴 패션 메시아(구주, 예수)로 불리는 세계 패션계의 '라이징 앙팡테리블'. FASHIONN. 자료검색일 2019. 6. 20, 자료출처 http://www.fashionn.com/board/read_new.php?table=1010&number=15766
- 이슬아. (2017). 현대 패션쇼에 표현된 인터미디어 특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승현. (2015). 신자유주의 시대 미술의 두 가지 가능성-데미안 허스트와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 현대미술사연구, 37, 153-177.
- 이효문. (2013). 부리오의 관계미학과 아르테포베라의 예술적 의의. 유럽문화예술학논집, 7, 71-108.
- 이윤경, 김민자. (2009). 패션과 Arte Povera에 표현된 물질성: 1960년대와 이후 이탈리아 패션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9(4), 126-142.
- 임근준. (2018a. 3. 27). 스마트폰으로 재매개된 세상, 그리고 위기의 현대시각예술: 자본주의 상업적실재 그 자체가 예술화하는 새로운 시대의 도래. Chungwoo. 자료검색일 2019. 6. 10,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4151663
- 임근준. (2018b. 6. 15). "쇼의 미래를 예상하라"는 요청에 답한다: 패션쑈는 현대미술 프로젝트처럼 재창안: 변주될 운명이다. Chungwoo. 자료검색일 2019. 7. 1,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4155789
- 임근준. (2018c. 7. 15). 경제적/정치적/문화적/예술적(미학적) 전유의 동역학. Chungwoo. 자료검색일 2019. 6. 20, 자료출처 http://chungwoo.egloos.com/4157236
- 임은혁. (2013). 복식과 회화에 표현되는 몸의 재현-프란시스 베이컨의 작품과 레이 카와쿠보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7(4), 40-57. https://doi.org/10.12940/jfb.2013.17.4.40
- 조은애. (2016).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 소비에트 특성.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지현. (2008).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디지털 이미지에 관한 연구: 후세인 샬라얀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재훈. (2009). 문화연구 시각에 의한 현대 패션의 디지털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정희, 임은혁. (2019). What is critical fashion?. 한국의류산업학회, 21(5), 540-551. https://doi.org/10.5805/sfti.2019.21.5.540
- 최운. (2016. 4. 26). 택배회사 티셔츠 한 장에 38만원?. CHOSUN. 자료검색일 2019. 6. 21, 자료출처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26/2016042603032.html
- 최정렬. (2003). 비물질적 특성을 적용한 Fluxus gallery 계획.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혜원. (1996). Arte Povera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허가영. (2011). 현대 패션 프레젠테이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nnamari, V., & Clark, H. (2018). Fashion curating: Critical practice in the museum and beyond. London, Oxford, New York, New Delhi, Sydney: Bloomsbury Academic.
- Alice, A. (2009). Exhibition review: The house of Viktor and Rolf. TEXTILE 7(1), 120-126. https://doi.org/10.2752/175183509x411807
- Bakhtin, M. (1984). Rabelais and his world.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 Brand, J., & Teunissen, J. (2009). Fashion and imagination. Arnhem: ArtEZ Press.
- Bruno du Roselle. (1980). La mode. Imprimerie Nationale: Paris.
- Brand, J. (2008). The power of fashion: On design and meaning. Arnhem: ArtEZ Press.
- Bonni, E. (2011). Japanese fashion designers: The work and influence of Issey Miyake, Yohji Yamamoto and Rei Kawakubo. London, New York: Berg.
- Bruderlin, M., & Lütgens, A. (2011). Art & fashion: Between skin and clothing. Bielefed: Kerber Verlag.
- Evans, C. (1998). The golden dustman: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work of Martin Margiela and a review of Martin Margiela exhibition (9/4/1615).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2(1), 82-83.
- Evans, C., Frankel, S., Susannah, A., & Yedgar, A. (2008). The house of Viktor & Rolf. London, New York: Merrell.
- Entwistle, J. & Wilson, E. (2001). Body dressing: Dress, body, culture. New York: Berg Publishers.
- Foster, H., Krauss, R., Bois, Y. A., Benjamin, H. D., & Buchloh. (2007). 1900년 이후의 미술사: 모더니즘, 반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배수희, 신정훈 외 역). 서울: 세미콜론.
- Geczy, A., & Karaminas, V. (2018). The end of fashion: Clothing and dres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New York: Bloomsbury USA Academic.
- Geczy, A., & Karaminas, V. (2017). Critical fashion practice: From Westwood to Van Beirendonck. London, Oxford, New York, New Delhi, Sydney: Bloomsbury Academic.
- Geczy, A., & Millner, J. (2015). Fashionable art. New York, London: Bloomsbury.
- Geczy, A., & Karaminas, V. (2012). Fashion and art. New York: Berg.
- Gertrud, L. (1999). Fashion: A concise history. London: Laurence King.
- Kawamura, Y. (2005). Fashion-ology: An introduction to fashion studies. Oxford: Berg.
-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 (2009). Masion Martin Margiela. NY: Rizzoli.
- Perrot, Philippe. (1984). Le travail des apparences: Ou les transformations du corps feminin XVIIIE-XIXe siecle. Paris: Le Seuil.
- Teunissen, J., Nefkens, H., Arts, J., & van der Voet, H. (2014). The future of fashion is now: Dutch exhibition catalogue. Rotterdam: Museum Boijmans Van Beunin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