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onsumers' attributions for the social values-seeking 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사회적 가치 추구에 대한 소비자 귀인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Seo, Min Jeong (Dept. of Fashion Desig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0.02.10
  • Accepted : 2020.06.24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e consumers' perceptions of fashion social enterprises' motives for seeking social value affects the consumers' purchase behavior.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egoistic and strategic driven attribution (ESDA), value-driven attribution (VDA), positive authenticity (PA), negative authenticity (NA), anticipated satisfaction (ANS), and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price (WPP) were examined. 151 respond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PA, which was positively affected by VDA, was negatively affected by ESDA. However, NA, which was positively affected by ESDA, was negatively affected by VDA. In addition, ANS affecting WPP was influenced by both VDA and PA. In conclusion,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prioritizing the inherent purposes of social enterprises can lead to more consumers buying products, even though social enterprises set fashion products at higher prices.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찬. (2019. 12. 10). 창업? 사회적 기업으로 포장하면 유리…정부가 밑천 대줘 생존력?.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20. 1. 20, 자료출처 https://news.joins.com/article/23653199
  2. 김백주, 이원준. (2017). 사회적 기업의 긍정적, 부정적 연상과 소비자 태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 1-15.
  3. 김종근, 김성진.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진정성이 기업 사회적 책임 평가, 관계의 질, 그리고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0(7), 123-132. https://doi.org/10.36345/KACST.2012.30.7.010
  4. 김주호. (2011).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 기업의 제품 광고와 가격 프리미엄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0(6), 1455-1478.
  5. 김효숙. (2008). 기업 CSR 활동이 구직자의 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0(4), 139-161.
  6. 나광진, 권민택, 이승준. (2006). 커플링과 기대만족이 서비스 상품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9(5), 2015-2036.
  7. 문희강, 이현화. (2015). 브랜드 신뢰와 사회적 CSR 동기귀인이 환경친화적 라인확장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3(4), 537-553.
  8. 민병욱. (2015).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독일과 한국 사회적 기업 특성 비교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25(3), 101-132.
  9. 박소윤, 구동모, 강보현.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귀인, 지각 그리고 반응. 경영학연구, 41(2), 173-200.
  10. 박현정, 이상환. (2012).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공정무역제품 신뢰, 구매의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의 관계. 상품학연구, 30(7), 103-122.
  11. 배지양, 조수영. (2016). 국내외 사회공헌 활동 효과연구: 사회공헌 주체의 종류, 공간적 거리감, 메시지 해석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8(4), 73-106.
  12. 백승현, 노경목. (2019. 8. 20). 사회적 기업 절반이 적자인데…등록제 전환으로 '유령기업' 양산우려.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19. 11. 15, 자료출처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19082058131
  13. 사회적 기업 활성화 대책, 부실.비리 기업 양산해선 안 된다. (2019).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20. 1. 13, 자료출처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19082057881
  14. 오만덕, 나준희, 김경진. (2009). 공익연계 마케팅의 평가에서 공익제시유형의 효과. 상품학연구, 27(3), 87-95. https://doi.org/10.36345/KACST.2009.27.3.007
  15. 오예진, 차희원. (2017). 다국적기업의 CSR 유형과 적합성 및 자민족중심주의가 CSR 동기인식과 기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설득 지식모델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8(2), 139-170.
  16. 윤대홍, 엄성원. (2014). 소비자의 공감반응을 끌어낼 수 있는 사회적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관한연구: 친숙성과 진정성을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3(5), 131-153.
  17. 이미영, 최현철. (2012). CSR 활동의 진정성이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6(1), 58-82.
  18. 이승조, 최남도. (2011). 관점 수용과 긍.부정 프레이밍의 상호작용이 국제 기아 돕기 캠페인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3), 153-178.
  19. 이형재, 류선호. (2012). 사회적 가치가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일시의 효과. 고객만족경영연구, 14(1), 197-216.
  20. 전용수. (2016). 환대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고객만족, 재이용의도 간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28(2), 401-419.
  21. 조백현. (2018. 10. 13). 사회적기업 최근 5년간 38억원 부정수급 적발. T뉴스타워. 자료검색일 2019. 12. 13, 자료출처 http://www.newstower.co.kr/news/ articleView.html?idxno=59925
  22. 조승호. (2015). 다국적 기업의 위기 후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진정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1(4), 169-183.
  23. 주희연. (2019. 10. 15). 맘카페도 사회적기업? 나랏돈 3000만원 퍼줬다.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20. 2. 3, 자료출처 https://news.chosun.com/site/ data/html_dir/2019/10/05/2019100500118.html
  24. 최은정, 김수현. (2013). 사회적 가치 일치성이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4(1), 87-109.
  25. Alhouti, S., Johnson, C. M., & Holloway, B. B. (2016).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uthenticity: Investigating its antecedents and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9(3), 1242-1249. https://doi.org/10.1016/j.jbusres.2015.09.007
  26. Beckman, T., Colwell, A., & Cunningham, P. H. (2009). The emerge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Chile: 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and social networks. Journal of Business Ethics, 86, 191-206. https://doi.org/10.1007/s10551-009-0190-1
  27. Castaldo, S., Perrini, F., Misani, N., & Tencati, A. (2009). The missing link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 trust: The case of fair trade products. Journal of Business Ethics, 84(1), 1-15. https://doi.org/10.1007/s10551-008-9669-4
  28. Chekima, B., Syed Khalid Wafa, S. A. W., Igau, O. A., Chekima, S., & Sondoh Jr., S. L. (2016). Examining green consumerism motivational drivers: Does premium price and demographics matter to green purchasing?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12, 3436-3450. https://doi.org/10.1016/j.jclepro.2015.09.102
  29. Davis, M. H., Mitchell, K. V., Hall, J. A., Lothert, J., Snapp, T., & Meyer, M. (1999). Empathy, expectations, and situational Preferences: Personality influences on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helping behaviors. Journal of Personality, 67(3), 469-503. https://doi.org/10.1111/1467-6494.00062
  30. Ellen, P. S., Webb, D. J., & Mohr, L. A. (2006). Building corporate associations: Consumer attributions for corporate socially responsible program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4(2), 147-157. https://doi.org/10.1177/0092070305284976
  31. Gilbert, D. T., & Malone, P. S. (1995). The correspondence bias. Psychological Bulletin, 117(1), 21-38. https://doi.org/10.1037/0033-2909.117.1.21
  32. Harter, S. (2002). Authenticity. In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pp. 382-394).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33. Kelley, H. H. (1973). The processes of causal attribution. American Psychologist, 28(2), 107-128. https://doi.org/10.1037/h0034225
  34. Martinez, P., & del Bosque, I. R. (2013). CSR and customer loyalty: The roles of trust, customer identification with the company and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35, 89-99. https://doi.org/10.1016/j.ijhm.2013.05.009
  35. Shiv, B., & Huber, J. (2000). The impact of anticipating satisfaction on consumer choi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7(2), 202-216. https://doi.org/10.1086/314320
  36. Skarmeas, D., & Leonidou, C. N. (2013). When consumers doubt, watch out! The role of CSR skepticism.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6(10), 1831-1838. https://doi.org/10.1016/j.jbusres.2013.02.004
  37. Trudel, R., & Cotte, J. (2009). Does it pay to be good? MIT Sloan Management Review, 50(2), 61-68.
  38. Vlachos, P. A., Tsamakos, A., Vrechopoulos, A. P., & Avramidis, P. K. (2009).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ttributions, loyalty, and the mediating role of trust.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7(2), 170-180. https://doi.org/10.1007/s11747-008-011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