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 공간 혁신' 정책 키워드 분석 -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Keywords on 'School Space Innovation' Policies using Text Mining - Focused on News Articles -

  • 이동국 (충청북도단재교육연수원)
  • 투고 : 2020.04.23
  • 심사 : 2020.06.28
  • 발행 : 2020.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한국의 주요 언론 매체를 통해 드러난 학교 공간 혁신 정책의 실행과 관련 이슈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언론에서 발행한 학교 공간 혁신 관련 기사 총 519개를 수집하여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학교 공간 혁신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학교 공간 혁신은 미래교육에 대한 대응으로 추진되고 있다. 둘째, 사용자가 학교 공간 혁신의 주체로 참여한다. 셋째, 전문가는 협력 체제를 갖추어 학교 공간 혁신을 지원하고 있다. 넷째, 학교 공간 혁신에 지역사회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있다. 다섯째, 교육부와 교육청의 주요 사업으로, 상향식과 하향식이 조화를 이루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공간 혁신 정책의 주요 이슈를 이해하고, 차후 연구와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and related issues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issued by key Korean mass media using text mining.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collected 519 news articles associated with the school space innovation issued by 54 Korean mass media companies. Based on this data, this study performed the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regarding the keywords. Based on th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pace innov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hool space innovation has progressed in response to future education. Second, user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school space innovation. Third, experts are supporting the innovation of school space 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urth, the community is actively considering the innovation of school space. Fifth, the main pro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actively conducted in a mix of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a clear direction for contemporary school space innov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genda and implemen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인용, 강태웅(2014). 영국의 DQIfS를 포함한 사용자 참여설계과정(UPDP)의 적용연구: 노량진 초등학교 개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육시설, 21(1), 43-53.
  2. 교육부(2019). 학교 공간 혁신 사업 가이드라인(안). 세종: 교육부.
  3. 김보민, 양혜진, 이경화(2020).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고찰: 국내외 학교공간혁신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8(2), 15-26.
  4. 김성근(2016). 표준설계도 폐지 이후 초등학교 외부공간의 변화가 학생의 공간이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성철, 이윤서, 이상민, 유용흠, 황준성, 김진옥(2018).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I). 진천: 한국교육개발원.
  6. 이광수, 류수훈(2019). 학교시설의 사용자 참여설계 프로세스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연구 및 사업백서를 중심으로. 교육시설논문지, 26(6), 39-49.
  7. 이동국(2019). 미래학교의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공간 설계 방향 탐색. 교육시설, 26(5), 26-31.
  8. 이수상(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9. 이정우(2008). 1960-70년대 서울시 초등학교 건축 표준 설계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9(6), 1718-1725. https://doi.org/10.5762/KAIS.2008.9.6.1718
  10. 유예림, 백순근(2016).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20 15 개정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언론 보도의 쟁점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9(3), 127-156.
  11. 정영린(2019). 학교공간혁신. 교육시설, 26(4), 4-5.
  12. 최호순(2019). 사용자 중심 디자인 기반 교실 공간 설계. 교육시설, 26(6), 19-27.
  13. Cavnar, W. B., & Trenkle, J. M. (1994). N-gram-based text categorization. In Proceedings of SDAIR-94, 3rd annual symposium on document analysis and information retrieval (Vol. 161175).
  14. Ramos, J. (2003). Using tf-idf to determine word relevance in document queries. In Proceedings of the first instruc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242, 133-142.
  15. Snyder, D., & Kick, E. L. (1979). Structural position in the world system and economic growth, 1955-1970: A multiple-network analysis of transnational interaction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4(5), 1096-1126. https://doi.org/10.1086/226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