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전경(典經)』 「교운(敎運)」편 1장에 나타난 교운의 의미와 구절의 변이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Gyoun' and Earlier Variations of Chapter One of 'Gyoun' in The Canonical Scripture

  • Ko, Nam-sik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투고 : 2020.05.31
  • 심사 : 2020.12.08
  • 발행 : 2020.12.31

초록

이글은 『전경(典經)』의 「교운(敎運)」편(編) 구절을 통해 교운(敎運)의 의미를 밝히고, 나아가 「교운」편 각 구절들의 변모를 『대순전경』 6판과 비교 대조하여 그 문헌학적 의미를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운」편 1장 구절에서 교운이라는 단어가 있는 구절을 찾아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도출된 교운의 의미를 중심으로 모든 「교운」편 구절을 분류하여 교운 즉 가르침의 운세(運勢)를 펼치는 것과 관련해서 상제의 천지공사(天地公事, 1901~1909), 상제가 준 교법(敎法), 상제가 소유한 권능(權能)과 지혜(智慧), 상제의 제생(濟生), 상제가 재세(在世, 1871~1909)시에 미래사에 대해 미리 보여준 예시(豫示)라는 『전경』의 각 편 명이 갖고 있는 의미의 큰 범주 안에서 「교운」편 구절의 세부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교운」편 1장에 대한 연구의 의미는 기존에 진행된 「행록」, 「공사」, 「교법」편에 이은 『전경』의 각 편(編)별 연구의 지속적인 수행이라는 면과 함께, 학술적으로는 교운의 의미를 찾고 「교운」편 모든 구절들을 천지공사라는 큰 틀 위에서 『전경』각 편 명(名)과의 상관성 속에서 살펴보았다는 것과 문헌학적으로는 『전경』(1974)보다 9년 앞서 출판된 증산교단의 보편화된 경전인 『대순전경』 6판(1965)과 구절들을 비교 분석하여 「교운」편 구절들의 변이의 양상을 알아낼 수 있었다는 데 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운의 의미는 「교운」편 1장에서 '교운을 보다', '교운을 펴다', '교운을 굳건히 하다'와 관계된다. 상제가 9년간(1901~1909) 천지공사를 행하여 인류에게 가르침이 전해진 후 우주에 유토피아인 후천선경(後天仙境)이 이룩되는 것은 상제가 준 가르침의 운세를 따라 연차적으로 완결된다는 것이다. 둘째, '교운을 보는 것'은 상제 가르침의 처음과 마침의 전체적인 모습을 말한다. 상제가 교운 공사를 보았기 때문에 교(敎)는 상제로부터 시작되고 전개 발전하여 종국적으로 후천선경(後天仙境)이라는 상제 천지공사의 목적이 구현된다는 것이다. 셋째, '교운을 펴는 것'은 상제로부터 단순히 천지공사에서 가르침을 받았던 수교자(受敎者)로서의 당시의 종도(從徒)들의 참여의 시대를 지나, 이후 상제로부터 천부적으로 종통(宗統)을 전수(傳受) 받아 계승한 종통계승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구절의 '마음먹은 대로 왕래하고 유력(遊歷)한다'는 '두목'이라는 용어로 예시된 내용이 종통계승자의 면모를 보여준다. 상제의 화천(化天) 뒤에 교운을 펴는 역할을 한다는 신앙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이는 『전경』의 교운 편(編) 1, 2장을 통해 연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교운을 굳건히 하는 것'은 상제의 천지공사로 도통군자가 필출(必出)하며, 또 음해(陰害)하지 말라는 것은 인간의 자기 수행에 의한 인격 완성의 가르침을 제시하고 있다. 이 인격의 완성은 교운을 굳건히 한다는 상제의 주장에 합치되는 인간의 수행 과정임을 보여준다. 다섯째, 『전경』 「교운」편 1장 구절들에 대해 『대순전경』 6판(1965)을 대비시켜보면, 두 문헌에서 거의 같은 구절은 10개 정도이다. 또 각 문헌의 서술이 단어 상 한글이 한문으로 축약되거나, 다른 용어로 나타나는 구절들이 있다. 내용의 서술이 몇 개의 어구 및 문장들에서 차이가 나는 구절들도 있다. 또한 각 문헌의 서술이 시기상 차이가 나는 구절들도 있으며, 『전경』 「교운」편 1장과 『대순전경』 6판 상호 간에 없는 단문(短文) 및 장문(長文)들도 교차적으로 나타난다.

The teachings of Sangje teachings have been spread to humanity and were provided as basis for building the earthly paradise due to His having performed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Cheonjigongsa) for nine years. The work that remains will be completed year by year following the cosmic program that Sangje set for the universe. The chapters titled 'Gyoun (Progress of the Order)' in Jeon-gyeong (The Canonical Scripture)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arts: Viewing Gyoun, Spreading Gyoun, and Establishing the firm ground of Gyoun. Viewing Gyoun is seeing how the teachings would be transmitted from the beginning to end. The work of Gyoun was established by Sangje and promoted as the teachings of Sangje which will ultimately unfold into the realization of an earthly paradise. Spreading Gyoun is performed by disciples who received the teachings from Sangje and then the successor to whom Sangje transmitted the religious authority. Since chapter two of Gyoun is about the hagiography of Doju Jo Jeongsan, it is shown that Doju unfolded and developed Sangje's teachings. Establishing the firm ground of Gyoun is carried out to enable practitioners to understand that Dotong-gunja ('Dao-Empowered Sages,' Earthly Immortals) will be produced as a result of Sangje's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and that humans can perfect themselves through cultivating the Dao. In conclusion, Gyoun can be summarized as a process that started during Doju Jo Jeongsan's 50 years (1909~1958) of holy works and spreading of the teachings. Next, it was continued through the time of Dojeon who was bestowed with religious authority through Doju's last words. Dojeon, like Doju before him, spread the teachings. In later times, there will be Dotong-gunjas who transmit Sangje's teachings to the whole world. Although the above characterizations are accurate, I compared some verses from Chapter 1 of Progress of the Order (Gyoun)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of Daesoon Jinrihoe to the 6 th edition (1965) of Daesoon Jeongyeong, a key scripture from the earliest strata of Jeungsanist scriptures, and found that there were a few earlier variations of the same content. The use of words and sentences were different though in several of these verses. Also, some of the verses indicated alternative historical dates (years), and some of the verses from Chapter 1 of Progress of the Order from The Canonical Scripture do not appear anywhere in the 6th edition of Daesoon Jeong-gyeong.

키워드

참고문헌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전경」 6판, 서울: 동도교 증산교회 본부, 1965.
  4.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5. 고남식, 「「대순전경」 초판 구절의 변이-초판 10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7, 2012.
  6. 고남식, 「「전경」 「교법」편 연구- 「대순전경」 6판 「법언」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6, 2016. https://doi.org/10.25050/jdaos.2016.26.0.1
  7. 고남식, 「「전경」 「공사」편 연구」,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163
  8. 고남식, 「「전경」 「행록」편 연구」, 「대순사상논총」 32,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31
  9. 고남식, 「조선말기 강증산의 역사인식과 조선관」, 「동아시아고대학」 59, 2020.
  10. 김탁, 「증산교의 교리 체계화 과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1986.
  11. 임영창, 「대순전경의 사적 의의」, 「증산사상연구」 15, 1989.
  1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 서울: 지식산업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