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Survey about SMEs Empl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Area: Based on Text-mining

충북지역 대학생의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조사: 텍스트마이닝을 기반으로

  • 최다빈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최우석 (충북대학교 빅데이터협동과정) ;
  • 최상현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 이정환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20.11.03
  • Accepted : 2020.12.03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employ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 in the Chungbuk area to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In particular, the data were collected in descriptive questions along with the existing survey methods, and the perception of SME and decent work was identified using text-m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positive perceptions of jobs at SME such as various work experiences and low job competition rates, while there are generally many negative perceptions in pay, work and welfare. However, as a result of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of responses to decent jobs, 'Information' was derived as a keyword. Currently, college students' negative perception of SME is affected by the lack of sufficient information, which needs to be improved first.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nd operate a platform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on employment of SME and select necessary personnel.

본 연구는 대학생의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충북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특히 기존 설문 중심의 일자리 인식 조사에 그치지 않고 서술형 문항에 대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해서 다양한 업무경험, 낮은 취업 경쟁률 등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가 있는 반면 급여, 업무, 복지 등에서 대체로 부정적 인식이 여전히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대학생의 중소기업 취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중심어 도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대학생들이 중소기업 취업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 받지 못하는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예산 지원 중심의 중소기업일자리 정책에서 정보 미스매치 해소하는 해결 방안을 우선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충북대학교 국립대학육성사업(2020)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음

References

  1. 김만술.황봉기(2015), "중소기업과 대학생 간의 취업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 : 강원, 경기, 충청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HRD연구」,제10권, 제4호, pp. 77-98.
  2. 박광옥(2016), "ILO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개념에 따른 장애유형별 고용의 질 평가", 「장애와 고용」, 제26권, 제4호, pp.125-152.
  3. 박성욱.김영훈.김영생(2015),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기 위한 세제 지원제도의 한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제37권, 제4호, pp. 279-299.
  4. 백필규.고종욱(2016), "대학생의 중소기업 취업인식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중소기업금융연구」, 제36권, 제4호, pp. 33-60. https://doi.org/10.33219/JSMEF.2016.36.4.002
  5. 서울연구원(2014), "서울시의 괜찮은 일자리에 관한 실태분석과 정책방향", 정책리포트.
  6. 성필석.김영필.김양균(2018), "중소기업의 일자리 창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제8권, 제1호, pp. 91-114.
  7. 송영조.이연우(2017),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직업능력개발연구」, 제20권, 제2호, pp. 61-88. https://doi.org/10.36907/KRIVET.2017.20.2.61
  8. 송진구(2016), "근로자 관점에서의 좋은 일자리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부패학회」, 제21권, 제3호, pp.113-133.
  9. 양정승(2014), "지방대학 졸업생의 지방중소기업 취업과 이직결정요인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7권, 제2호, pp. 153-177.
  10. 염동기.문상규.박성수(2017), "대학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취업진로연구」, 제7권, 제24호,pp. 45-68.
  11. 유일.김소라(2017), "광양만권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구직자와 재직자의 요구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56권, 제2호, pp. 235-266.
  12. 임진혁.박성희.권혁(2018), "노동자의 좋은 일자리 요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 제2018권, 제2호, pp. 49-76.
  13. 장현진(2016),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의향 결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9권, 제2호, pp. 33-56.
  14. 정재희.김성범(2016),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20대 리드 유저의 인식 조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2권, 제2호, pp. 613-625.
  15. 중소기업중앙회(2020), "취업 관련 인식 조사", 조사보고서.
  16. 중소벤처기업부(2018), "좋은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의 특성분석", 조사보고서.
  17. 최재우.강운선(2015), "4년제 대학졸업 구직자의 구직선호 유형과 성별과 졸업 대학 소재 지역에 따른 차이", 「한국창업학회」, 제33권, pp. 633-652.
  18. 통계청(2020), "2020년 6월 고용동향"
  19. 하규수(2014), "대학졸업생들의 중소기업 취업촉진 방안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4호, pp. 55-64. https://doi.org/10.16972/APJBVE.9.4.201408.55
  20. 한국노동연구원(2007), "고용의 질 : 거시.기업.개인수준에서의 지표개발 및 평가",연구보고서.
  21. 한국중소기업학회(2018), "청년의 일자리 인식조사 및 맞춤형 정책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22. Anker, R., I. Chernyshev, P. Egger, F. Mehran, and J. A. Ritter(2003), "Measuring decent work with statistical indicator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Vol.142, No.2, pp. 147-178 https://doi.org/10.1111/j.1564-913x.2003.tb00257.x
  23. Dodd, V., H. Tristram, and B. Ciaran(2019), "Decent work in the UK: Context, conceptualization, and assess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12, pp. 270-281. https://doi.org/10.1016/j.jvb.2019.04.002
  24. Ferris, G. R., P. L. Perrewe, W. P. Anthony, and D. C. Gilmore(2000), "Political skills at work", Organizational Dynamics, Vol.28, No.4, pp. 25-37. https://doi.org/10.1016/S0090-2616(00)00007-3
  25. ILO(1999), "Decent work", Report of the Director-General to the 87th Session of the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26. Manning, C. D., P. Raghavan, and H. Schutze (2008), Introduction to information retriev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Page, L., S. Brin, R. Motwani, and T. Winograd(1998), "The PageRank Citation Ranking: Bringing Order to the Web", Technical Report, Stanford Infolab.
  28. Qaiser, S. and R. Ali(2018), "Text Mining: Use of TF-IDF to Examine the Relevance of Words to Docu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Vol.181, No.1, pp. 25-29. https://doi.org/10.5120/ijca2018917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