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iving the Key Factors of Commentaries in Classical Music Concerts with Commentaries Using DHP

DHP를 이용한 해설이 있는 클래식공연의 해설 핵심요인 도출

  • 오대영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한주희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20.01.10
  • Accepted : 2020.02.25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key factors of commentaries in classical music concerts with commentaries and to measure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thereby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entaries and commentators as well as suggestions to concert planners in terms of composition. In addition, by developing a scale that can measure classical commentary, a questionnaire is provided so that concert planners can plan programs that gathered the opinions of the audience. To this e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unds of the Delphi survey and AHP were applied to concert planners, musicians (performing artists), and academic expert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and the survey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pilot test with the general aud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commentaries must be focused on arousing the audience's interest rather than on delivering information. Second, commentators must meet the auditory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with a good voice and clear pronunciation based on impeccable vocalization. Third, commentaries must be concise, with the commentaries appearing at least five times per concert, each of which must not exceed five minutes. Fourth, as a result of the pilot test, this study derived 14 items to rate commentary skills across four factors: four items for "arousing interest," three items for "delivering information," three items for "favorability," and four items for "expressive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of study presented effective implications for concert plan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해설이 있는 클래식 공연에서 해설의 핵심요인을 도출하고 각 속성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기획자에게 해설의 특성과 해설자의 특성,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제언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클래식 해설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기획자가 관객의 의견을 수렴한 프로그램 기획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설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연기획자, 공연연주자, 학계에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1·2·3차 설문과 AHP기법을 적용하였고, 이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 일반관객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여 설문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설의 목적은 정보전달보다는 관객의 흥미를 유발하는 데 두어야 한다. 둘째, 해설자는 연마된 발성을 기초한 좋은 목소리와 명료한 발음으로 관객의 청각적인 만족에 충실하여야 한다. 셋째, 구성적 특성은 간결성으로 한 번의 공연에 해설의 총 출연빈도는 5회 이상으로, 한 번의 해설당 소요시간은 5분을 넘기지 않는 범위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흥미유발' 4문항, '정보전달' 3문항, '호감도' 3문항, '표현력' 4문항인 총 4가지 요인의 14가지 해설의 역량 측정을 위한 문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공연기획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도 중앙대학교 CAU GRS 지원에 의하여 작성되었음.

References

  1. 금난새(2019), 「아버지와 아들의 교향곡」, 다산책방.
  2. 김수경(2010),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능력이 관광객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2(2): 97-115.
  3. 남태석.박종호.이명구(2001), 관광인솔자(Tour Conductor)의 특성과 관광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서비스연구」, 1(1): 91-111.
  4. 노승용(2006), 알기 쉬운 연구방법론 7: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하기, 「국토: planning and policy」, 299: 53-62.
  5. 문화체육관광부(2018), 「2018 문화향수실태조사」.
  6. 박다인.김대진(2016), AHP 분석을 통한 영화 예매 플랫폼선택 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0(38): 55-81.
  7. 박석희(1989), 관광자원의 해설과 그 기법, 「論文集」, 24(-): 459-477.
  8. 박은주(2016), 예비보육교사의 적성이 보육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1): 163-182.
  9. 박양우.이유리(2013), 한국 대중음악산업의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예술경영연구」, 0(28): 257-285.
  10. 박희주(2006), 해설. 관광지. 관광자간의 균형이론 적용여부 검정, 「화성학연구」, -(2): 59-75.
  11. 백경수.안영상.안기완(2012), DHP를 이용한 대학수목원의 사회적 책임 요인 선정,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6(2), 27-33.
  12. 서용건.고광희.김민철(2010), 섬 관광목적지 경쟁력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2(1): 167-187.
  13. 세종문화회관(2018), 「자체 보고서」.
  14. 신향희(2018), 문화관광해설사의 서비스 품질이 관광지이미지와 관광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제대학교 특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화경.이준민(2005), 예비노년층이 선호하는 노후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6): 15-23.
  16. 우양호(2008), 공공서비스 관리이론의 한국적 적실성에 관한 비교연구: 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론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2(2): 249-273.
  17. 유광길.정성석2012), 계층구조분석을 활용한 운동선수 자기관리 검사지의 상대적 중요한 변화,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6): 1055-1064.
  18. 윤원정.허용덕.최웅(2018), 문화관광해설사의 성격유형이 조직 특성, 직무환경 및 전반적인 만족과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30(4): 61-77.
  19. 이경민(2017), 관객소통형 클래식 공연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상선(2014), 먹는샘물의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순자(2006), 문화관광 해설사(文化觀光解說士)의 역할이 관광객 만족과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22(-): 117-137.
  22.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3. 이지아(2018), 관광자원해설사의 언어행위가 관람객의 관람만족,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태신(2000), 「체육학대사전」, 민중서관.
  25. 이형진(2012), 클래식공연 관객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훈영(2015), 「이훈영교수의 연구조사방법론」, 청람.
  27. 장상미(2016), 스토리텔링 문화관광해설에 관한 연구, 「지역과 문화」, 3(2): 1-27.
  28. 장우혁(2008),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활동이 관광자의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전유진(2004), 번스타인 청소년 음악회의 음악설명방식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동혁(2013), 클래식 공연의 관객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조성희.이태경(2005), 예비노인의 노후상황별 주거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6(4): 9-16.
  32. 최연식.변혁(2015), 클래식 음악 대중을 위한 관객개발 방향 제언, 「문화정책논총」, 29(1): 50-76.
  33. 최창호.유연우(2017),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비교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103-111. https://doi.org/10.14400/JDC.2017.15.10.103
  34. 함정례(2007), 구성주의 관점의 '해설이 있는 음악회'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홍대근(2018), 해설이 있는 음악회를 통한 관객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Carboni, M. (2011), Changes in marketing in the classical music business over the last 20 years, 2nd Vienna Music Business Research Days.
  37. Coulangeon, P., & Lemel, Y.(2007), Is 'distinction'really outdated? Questioning the meaning of the omnivorization of musical taste in contemporary France, Poetics, 35(2-3): 93-111. https://doi.org/10.1016/j.poetic.2007.03.006
  38. Dewey, J. (1895), The theory of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2(1): 13. https://doi.org/10.1037/h0070927
  39. Dobson, M. (2010), Between stalls, stage and score: an investigation of audience experience and enjoyment in classical music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heffield).
  40. Dobson, M. C. & Pitts, S. E.(2011), Classical cult or learning community? Exploring new audience members' social and musical responses to first-time concert attendance, In Ethnomusicology Forum, 20(3): 353-383, Taylor & Francis Group. https://doi.org/10.1080/17411912.2011.641717
  41. Kolb, B. M.(2000), You call this fun? Reactions of young first-time attendees to a classical concert, MEIEA Journal, 1(1): 13-29.
  42.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43. Martino, J. P. (1968), An experiment with the Delphi procedure for long-range forecasting,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3): 138-144.
  44. Pitts, S. E. (2005), What makes an audience? Investigating the roles and experiences of listeners at a chamber music festival, Music and letters, 86(2): 257-269. https://doi.org/10.1093/ml/gci035
  45. Rowe, G., & Wright, G. (1999), The Delphi technique as a forecasting tool: issues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15(4): 353-375. https://doi.org/10.1016/S0169-2070(99)00018-7
  46. Rozen, B. D. (1998), The contributions of Leonard Bernstein to music education: An analysis of his 53 "Young People's Concerts".
  47. Saaty, T. L. (1990), An exposition of the AHP in reply to the paper "remarks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36(3): 259-268. https://doi.org/10.1287/mnsc.36.3.259
  48. Saaty, T. L. (1996),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Pittsburgh: RWS Publications.
  49. Tilden, F. (1967), Interpreting Our Heritage, Chapel Hill, NC: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