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h Audience Development in the Non-face-to-Face Era: An Action Research of National Theater Company's

비대면 시대의 청소년 관객개발 -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 <영지> 실행연구 -

  • 정용성 (재단법인 국립극단 홍보마케팅팀) ;
  • 장웅조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 Received : 2020.10.14
  • Accepted : 2020.11.19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At a moment in which the entire culture and arts field is in crisi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audience development strategies practiced by arts organizations require significant adapta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theater for young audiences, Youngji, produced by the TYA(Theater for Young Audiences) Research Center(TYARC)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NTCK). We examine how an arts organization develops youth audiences and creates a participatory culture when normal non-face-to-face engagement is not possible. We applied an Action Research methodology to our research filed, which allowed us to track continuous change based on the evolving practices and contingencies of one arts sector organization. Using Brown and Novak-Leonard's (2011) audience involvement spectrum, Koste's (1995) concept of creative drama, and Moore's (1993) transactional distance theory,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ctive audience development by analyzing the ways in which NTCK's arts education has adapted its approach to audience development. We find that, even in this non-face-to-face era,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evelop youth audiences through a dramatic play that continues from play to drama.

코로나19 사태로 문화예술분야 전체가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관객개발 영역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극단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에서 제작한 청소년극 <영지>를 중심으로 비대면 시대의 청소년 관객개발과 참여문화 조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연구현장의 실천과 탐구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모색해 나가는 실행연구를 채택하고, Brown & Novak-Leonard(2011)의 단계별 예술참여 모델과 Koste(1995)의 연극놀이 순환체 개념, 그리고 Moore(1993)의 교류 거리이론을 바탕으로 국립극단의 예술교육이 어떻게 관객개발과 연계되어 운영되는지 분석하여 실제적인 관객참여 활동을 추동하는 적극적인 관객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시대에도 열린 구조와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연극놀이를 활용하여 청소년 관객을 '공동창조'와 '예술가로서의 관객'의 단계까지 유도할 수 있는 적극적인 관객개발이 충분히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19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김유미 외(2020),「국립극단 70년」, 서울: 수류산방.
  2. 김은영(2011),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안산 자바르떼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아동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19, 5-31.
  3. 남인우(2010), 어린이 청소년 연극의 제작과정: 극단 북새통의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공연과이론」, (38), 117-125.
  4. 박신의, 장웅조, & 민정아(2017), 실행연구 방법론을 통한 예술기업가정신 함양 연구, 「문화경제연구」, 20(2), 19-45.
  5. 이수연(2008), 초등교육 과정에서 예술교육으로서의 연극놀이 수업 연구-고학년 아동들의 연극 만들기 활동을 바탕으로, 「교육연극학」, 3, 129-166.
  6. 이승엽(2002), 공연장의 예술 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전망. 「예술경영연구」, 2 , 54-67.
  7. 이혜정(2004), 웹기반 원격교육의 이론적 논의에 관한 새로운 관점: Moore 의 개념을 넘어서, 「교육학연구」, 42, 137-168.
  8. 장웅조(2015). "예술가로서의 관객" 참여문화 조성 연구: PNB 의 호두까기 인형 공연과 발레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31, 519-547. https://doi.org/10.35150/KOREAR.2015..31.018
  9. 장웅조.홍기원(2019), 관객관여에 의한 공연예술콘텐츠 제작의 영향 연구-연극< 파란나라> 의 시민배우 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16), 113-143.
  10. 최영애(2000), 연극놀이의 개념과 실제, 「연극의 이론과 비평」 창간호, 105.
  11. 최지영(2009), 교육연극의 이해 및 필요성, 「학교도서관문화운동네트워크 교육연극 워크숍 자료집」.
  12. Brown, A. S. & Novak-Leonard, J. (2011). Getting in on the act: How arts groups are creating opportunities for active participation. The James Irvine Foundation.
  13. Conner, L. (2013), Audience Engagement and the Role of Arts Talk in the Digital Era, Palgrave MacMillan,
  14. Dalton, A.(2011), Cultivating the next generation of art lovers: How Boston Lyric Opera sought to create greater opportunities for families to attend opera. Bob Harlow Research and Consulting.
  15. Daniel, J. S., & Marquis, C.(1979), Interaction and independence: Getting the mixture right. Teaching at a Distance, 14, 29-44.
  16. Holmberg, B.(1983), Guided didactic conversation in distance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114-122.
  17. Keegan, D.(1990), Foundations of distance education. London: Routledge.
  18. Koste, V. G. (1995), Dramatic play in childhood: Rehearsal for life. Portsmouth, NH: Heinemann.
  19. Mellou, E. (1994), The values of dramatic play in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04(1), 105-114. https://doi.org/10.1080/0300443941040109
  20. Moore, M. G. (1993), Theory of transactional distance. Theoretical principles of distance education, 1, 22-38.
  21. Reason, P. & Bradbury, H. (2008), The Sage Handbook of Action Research: Participative Inquiry and Practice. Sage, CA.
  22. Rosewall, E.(2014), Arts Management: Uniting Arts and Audiences in the 21st Centur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3. Sewart, D.(1982), Individualizing support services. In J.S.Daniel, M.A.Stroud, and J.R. Thompson (eds.), Learning at a Distance: A World Perspectives, 114-122. Edmonton: ICCE/Athabasc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