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행정의 공공성 가치충돌에 관한 실증연구 - 행정인, 기획인, 예술인 집단 비교분석 -

An Empirical Study on Public Value Conflict in Cultural Administration: Comparison and Analysis Based on Administrators, Planners, and Artists

  • 장석류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투고 : 2020.09.30
  • 심사 : 2020.11.12
  • 발행 : 2020.11.30

초록

본 연구는 행정인, 기획인, 예술인 집단으로 직무자를 나누어 문화행정의 공공성 우선가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자율성-책무성, 형평성-효율성 간의 2×2 가치 매트릭스 위에서 집단별 당위와 현실에서 가치분배에 따른 유형화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책무성 우선 가치 비교는 현실에서 모든 집단이 책무성 요구가 더 강하게 작동한다고 인식하였다. 당위적으로는 행정인, 기획인, 예술인으로 예산분배의 흐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책무성보다 자율성이 더 필요하다는 당위 가치선이 나타났다. 집단별 자율성-책무성 충돌에서 당위와 현실의 인지부조화의 크기는 행정인, 기획인, 예술인 순으로 예산의 위계에서 하위로 갈수록 커지는 결과가 나왔다. 집단 간, 효율성-형평성 우선 가치 비교는 현실에서 모든 집단이 효율성 요구가 더 강하게 작동한다고 인식하였다. 당위적으로는 예술인, 행정인, 기획인 순으로 형평성을 강조하였다. 집단별 효율성-형평성 충돌에서도 당위와 현실의 인지부조화의 크기는 예산의 위계에 따른 행정인, 기획인, 예술인 순으로 커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집단별 당위-현실 간, 2×2 가치 매트릭스를 유형화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당위적인 가치분배는 문화를 통한 공동체주의 가치추구형과 개인의 문화적 자유 균등가치를 균형있게 추구하는 방향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공동체주의 가치추구와 문화의 경제적 가치추구형을 강조한다고 인식하였다. 한국문화행정은 현실에서 자율보다 책무를 기반으로 관료통제를 통한 공동체주의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강조하는 가치분배 압력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행정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가치분배를 위한 의사결정과 정책실행에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value conflicts of cultural administration based on the needs of axiological discussions and the differences in intersubjectivity among the cultural administration groups and the contradicting attributes of culture and administration. The study classified the stakeholders into administrative staff, planners, and artists to compare their value priorities of publicness in cultural administration. A classific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based on the normative by each group and the value distribution on a 2×2 value matrix between autonomy and accountability and fairness and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tudy, the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groups and cause and effects of value conflicts was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u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rections for value distribution wherein the values of administration and culture can coexist and determine the implications of expanding this mutual understand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conflict between autonomy and accountability, all groups had a greater awareness of accountability. In terms of normative aspects, it was possible to see a normative value line with an emphasis on autonomy, rather than on accountability from the lower stages on the budget hierarchy (administrators at the top, followed by planners and artists). In the conflict between autonomy and accountability, the size of dissonance between appropriateness and reality was the largest among the groups in the lower stages of the budget hierarchy, and became larger along the order of administrators, planners, and artists. In the conflict between efficiency and fairness, all groups had a greater awareness of efficiency. In terms of fairness in normative aspects, emphasis was placed on was artists, administrators, and planners, in that order. The size of dissonance between efficiency and fairness by groups became larger along the order of budget hierarchy-administrators, planners, and artist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2×2 value matrix between the normative and actualities by groups. The normative value distribution emphasized Type 1 (accountability x fairness) as seeking communitarianism values through culture and Type 2 (autonomy x fairness) as seeking balanced values of cultural freedom of individualsonabalance. However, in actualities, although the communitarianism values of Type 1 were considered important, there were no distributions to the liberal values of Type 2, rather to the economic values of culture from Type 4 (accountability x efficiency). In summary, the Korean cultural administration isunderapressureof value distribution to emphasize the communitarianism and economic rather than liberal values, through bureaucratic control in actualities compared with the normative. This study w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value distribution decision-making by groups and political implementations within the purview of cultural administ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구광모(2000), 「문화정책과 예술진흥」, 중앙대학교 출판부.
  2. 구문모.이현숙(2012), 공연예술 기업의 지적 자본,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 성과의 관계, 「문화정책논총」, 26(1): 7-28.
  3. 김경욱(2000), 팔길이 원칙과 문화정책, 「민족예술」, 11월호.
  4. 김근세(1997), 책임집행기관에 대한 연구: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7(2): 132.
  5. 김두이.금현섭(2018), 문화예술향유의 다양성 측면에 대한 분석: 혼종성과 균등성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018-01 32:115-143.
  6. 김여수(1988), 문화정책의 이념과 방향, 「문화정책논총」, 1988-01 1:19-32.
  7. 김정수(2002), '미녀와 야수': 문화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행정연구」, 11(1).
  8. 김정수(2003), 문화행정의 본질에 대한 재고찰: 「문화정책논총」, 15집.
  9. 김정수(2008a), 예술과 공공성: 행정학적 관점에서 본 예술과 공공성. 김세훈 외, 「공공성: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 미메시스.
  10. 김정수(2008b), "문화예술 공적지원에 대한 검토와 재성찰: 경기문화재단의 문예진흥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제20집.
  11. 김정수(2017), 「문화행정론」(개정2판), 집문당.
  12. 라영재(2009), 공공부문 책무성의 변천과 통제방안, 「한국정책연구」, 9(1): 235-265.
  13. 류정아(2015), 「문화예술 지원정책의 진단과 방향 정립: '팔길이 원칙'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4. 백완기(1984), 행정이념간의 갈등 가능성,「고시계」, 1984-01 29:65-74.
  15. 백완기(2007), 행국행정과 공공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07-01 18:1-22.
  16. 서우석(2015), 문화여가활동이 경제적 빈곤층의 행복과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2015-01 29:266-296.
  17. 성연주(2015),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퇴색된 자율성 : 2005-2013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2015-01 108:199-230.
  18. 소병희(2008), 문화예술에 대한 수요 : 문화예술 향수 증대를 위한 정책 제언,「문화정책논총」, 2008-01 20:106-125.
  19. 신상준.이숙 권력의 측정과 권력지수의 개발- 45개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행정논총」 제44권 제4호, 177-197.
  20. 신상준.이숙(2018), 관료제 권력 측정 : 박근혜 정부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52(1) 139-166.
  21. 오재록.전영한(2007), 관료적 자율성과 조직성과: 한국 40개 중앙행정기관 실증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 종(2016), 정부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부성과 만족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다중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23. 오영균(2016), 한국행정과 효율성, 「한국행정학보」, 2016-01 50:43-62.
  24. 오재록(2006), 관료제 권력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원용기(1995), 문화정책학의 발전 가능성과 '가치상호작용모델'의 시론적 검토, 「문화정책논총」, 1995-01 7:229-260.
  26. 윤소영.정보람(2015), 문화융성시대의 문화재정 운용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정책논총」, 2015-01 29:4-26.
  27. 용호성(2012), 문화 바우처 정책의 쟁점과 방향,「문화정책논총」, 2012-01 26:99-124.
  28. 이명석(2002), 거버넌스의 개념화 : '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한국행정학보」.
  29. 이명석(2010), 협력적 거버넌스와 공공성,「현대사회와 행정」.
  30. 이명석(2017), 「거버넌스 신드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31. 이창민(2015), 문화예술기관 운영의 효율성 영향요인,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5-01 2015: 222-251.
  32. 이창원.김현수(2016), 비영리조직의 효율성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문화예술기관을 중심으로,「로고스경영연구」, 2016-01 14:155-172.
  33. 이혜경(2001), 공공 예술지원과 예술의 공공성,「문화정책논총」, 2001-01 13: 255-278.
  34. 임도빈(2007), 관료제, 민주주의, 그리고 시장주의, 「한국행정학보」.
  35. 임도빈(2010), 관료제 개혁에 적용한 신공공관리론,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21(1), 1-27.
  36. 임의영(2003),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정부학연구」.
  37. 임의영(2008), 신행정학의 공공성: 사회적 형평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008-01 47:135-166.
  38. 임의영(2011), 형평성의 개념화, 「행정논총」, 49(2).
  39. 임의영(2012), 공공성에 대한 단상, 「월간 공공정책」, 2012-01 74:10-11.
  40. 임학순(1996), 문화정책의 연구영역과 연구경향 분석, 「문화정책논총」, 1996-01 8:1-27.
  41. 임학순(2001), 문화산업 영역과 예술영역에 대한 정책 목표들 양립가능성 연구, 「문화정책논총」, 2001-01 13:279-300.
  42. 이경호.박현신(2016), 정부조직 관리의 자율성과 제약에 관한 연구: 책임운영기관 제도를 중심으로, 「행정논총」54(1): 31-69.
  43. 이명진.문명재(2010), 공공기관의 조직적 특성과 정보공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4(1), 121-146
  44. 전영웅.서영철.김광모(2015), 문화조직에서 시장 지향이 혁신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 불확실성의 조절효과, 「문화정책논총」, 2015-01 29:132-167.
  45. 정홍익(1992), 문화행정연구:개념틀과 분석, 「한국행정학보」, 25(4).
  46. 정홍익(1993), 문화정책의 가치론적 접근, 「문화정책논총」, 1993-01 5:46-68.
  47. 주재현.한승주(2015), 공무원의 책임성 딜레마 인지와 대응: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 21(3): 1-33.
  48. 표시열(1994), 행정의 효율성 편향에 대한 헌법상의 제한, 「한국행정학보」.
  49. 하연섭(2003), 제도분석: 이론과 쟁점, 다산출판사.
  50. 황광선(2016), 책무성(Accountability)과 성과(Performance)의 호혜성과 차별성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고찰, 「정부학연구」, 22(2).
  51. 황광선(2017), 공공 조직의 자율과 책무, 「한국공공관리학보」, 2017-01 31: 259-284.
  52. Arjo Klamer.(1996), 원윤선 옮김(2017), 가치기반 경제, 워니북스.
  53. Breaugh, J. A. & Becker, A. S. (1987), Future Examination of the Work Autonomy Scales: Three Studies, Human Relations, 40(6): 381-400. https://doi.org/10.1177/001872678704000604
  54. Campbell, A., Converse, P. E.,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ssell Sage Foundation.
  55. Carter, N. (1989), Performance indicators:'Backseat driving'or'hands off'control?. Policy & Politics, 17(2), 131-138. https://doi.org/10.1332/030557389782454857
  56. Chartrand, H. H., & McCaughey, C. (1989), The arm's length principle and the arts: an international perspective-past, present and future, Who's to Pay for the Arts, 43-80.
  57. Fitzgibbon, M. & Kelly, A. (1997), From Maestro th Manager: Critical Issues in Arts and Cultural Management, Dublin: Oak Tree Press.
  58. Hackman, J. R., &Oldham, G. R.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2), 159. https://doi.org/10.1037/h0076546
  59. Hart, D. K. (1974), Social equity, justice, and the equitable administrator,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4(1), 3-11. https://doi.org/10.2307/974395
  60. Heilbrun, James. (2003), "Baumol's Cost Disease". in Ruth Towse(ed). A Handbook of Cultural Economics, Cheltenham: Edward Elgar.
  61. Higgins, C. (2005), Arts cuts and arm' length: Some thoughts.
  62. Hood, C.(1995), The New Public Management in the Eighties. Organization and Society, 20(2-3).93-109. https://doi.org/10.1016/0361-3682(93)E0001-W
  63. J. Rawls.(2001), Justice as Fairness:Restatement. ed. by Erin Kelly (ed.) Harvard University Press.
  64. Jorgensen, T. B., & Vrangbaek, K. (2011), Value Dynamics: Towards a Framework for Analyzing Public Value Cha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34(8): 486-496. https://doi.org/10.1080/01900692.2011.583776
  65. Kearney, R. C., &Sinha, C. (1988), Professionalism and bureaucratic responsiveness: Conflict or compatibilit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8(1), 571. https://doi.org/10.2307/975521
  66. Klamer, Arjo.(2003), "Value of Culture". in Ruth Towse(ed). A Handbook of Cultural Economics, Cheltenham: Edward Elgar.
  67. Lewis, J. & Miller T. (2003), Critical Cultural Policy Studies: A Reader, Oxford: Blackwell Publishing.
  68. Lowell, J., & Ondaatje, E. H. (2006), The arts and state governments: at arm's length or arm in arm?,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69. March, J. G., &Olsen, J. P. (1995), Democratic governance, Free Press.
  70. Milton, C. Cummings and richard katz.(1989), Understanding the Arts and creative sector in the United States. edited by Joni Maya Cherbo, Ruth Ann Stewart, Margaret Jane Wyszomirski.
  71. Nielsen, Henrik K. (2003), "Cultural Policy and Evaluation of 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9(3).
  72. Norman, R.(2001), Letting and Making Managers Manage, The Effect of Control Systems of Management Action in New Zealand's Central Government, International Public Management Journal, 4: 65-89. https://doi.org/10.1016/S1096-7494(01)00043-5
  73. Olsen, J.P.(2015), Democratic Order, Autonomy, and Accountability. Governance. 28(4): 425-440. https://doi.org/10.1111/gove.12158
  74. Ostrom, Elinor.(1990), Governing the Commons :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Ostrom, V. (2008), The intellectual crisis in American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Alabama Press.
  76. Pfeffer, J. and Salancik, G. (1978),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A ResourceDependence Perspective, Harper &Row, New York.
  77. Pollitt, C.(2004), Theoretical overview. In C. Pollitt & C. Talbot (Eds.), Unbundled government (319-343), London, UK: Routledge.
  78. Quinn, R. B. M. (1997), Distance or intimacy?-The arm's length principle, the British government and the arts council of Great Britain.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4(1), 127-159. https://doi.org/10.1080/10286639709358066
  79. Saaty, T.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New York: McGraw-Hill Book Co.
  80. Saaty, T.L.(1982), Decision Making for Leader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for Decisions in a Complex World. Belmont, Calif.: Lifetime Learning Publication.
  81. Scheff, J. & Kotler, P.(1996), Standing Room Only: Strategies for Marketing the Performing Arts, Cambri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82. Spreitzer, G. M., Kizilos, M. A. & Nason, S. W.(1997), A Dimensio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Strain. Journal of Management, 23(5): 679-704. https://doi.org/10.1177/014920639702300504
  83. Taylor, Andrew. (1997), "Arm's Length But Hands On'. Mapping the New Governance: The Department of National Heritage and Cultural Politics in Britain", Public Administration.
  84. Terry L. Cooper.(2012), 행정사상과 방법론 연구회 옮김, 공직윤리 책임있는 행정인, 조명문화사.
  85. Watkins D.(1978),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lf-esteem Measuring Instru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2(2):171-182.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202_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