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Analysis of Floral Designs of Shane Connolly and Paula Pryke, Floral Designers from UK

영국 화훼 디자이너, 쉐인 코널리와 폴라 프라이크의 색채 분석

  • Yim, Ji Sook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
  • Wang, Kyung Hee (Department of Horticultural Design, Shingu College) ;
  • Kim, Jung Min (Department of Horticultural Design, Shingu College)
  • 임지숙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환경원예학과) ;
  • 왕경희 (신구대학교 원예디자인과) ;
  • 김정민 (신구대학교 원예디자인과)
  • Received : 2020.01.27
  • Accepted : 2020.02.07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e study aimed at trying to contribute to domestic floral designers by analyzing colors' images of 60 floral designs of British floral designers, Shane Connolly and Paula Pryke, as the basis for color scheme of floral space design. The result of color analysis, Shane Connolly uses colors in the frequency of color order of the GY>Y>RP>YR>P>P>PB and Paula Pryke uses colors in the frequency of color order of the GY>RP>P>YR,Y>G>PB. The result of coordinate analysis of hue, value, chrome, Shane Connolly's works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YtoGY color, the middle and high of value and the middle and high of chrome. Paula Pryke's works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GY color and PtoRP color, the wide areas of the 3.8 ~9 stages of value, and the middle and high of chrome. The result of adjective image scale, Shane Connolly's works were found to be in between soft and static adjective zone, and Paula Pryke's works were distributed in between soft and active zone.

본 연구는 영국 화훼디자이너 Shane Connolly와 Paula Pryke의 작품 60개의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훼 공간 연출 장식의 색채 배색의 기초자료가 되어 국내 화훼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작품의 색채를 가지고 빈도분석, 좌표분석, 이미지분석을 실시한 결과, Shane Connolly는 GY>Y>RP>YR>R>P>G>PB색상순의 빈도로 색채를 사용하며, Paula Pryke는 GY>RP>R>P>YR,Y>G>PB색상순의 빈도로 색채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상, 명도, 채도를 좌표 분석 한 결과, Shane Connolly의 작품에서는 Y~GY색상, 명도는 중·고명도 영역에, 채도는 중·고채도 영역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Paula Pryke의 작품에서는 GY색상과 P~RP색상, 명도는 3.8~9단계에서 폭넓게 보였으며, 채도는 중·고채도 영역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형용사 이미지스케일의 분포도 분석 결과, Shane Connolly의 작품은 부드러운(soft), 정적인(static) 사이의 형용사영역에, Paula Pryke의 작품은 부드러운(soft), 동적인(active) 사이의 형용사영역에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신구대학교 혁신지원사업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아 작성한 논문입니다.

References

  1. 김수원, 「백화점 화훼 공간장식에 대한 전문가 및 소비자의 인식 비교」,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 김용숙, 「컬러심리커뮤니케이션」, 도서출판 일진사, 2008.
  3. 김정민. 왕경희, 「플로럴컬러디자인」, 도서출판 일진사, 2009.
  4. 오은주, 「실내 공공공간의 화훼디자인 연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 윤성은, 「공공공간 화훼디자인의 이미지 특성 분석과 평가지표 도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 이주영, 「감성디자인이 적용된 카페공간의 화훼디자인 현황과 표현」,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