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inpa of Along With the Gods and the Korean Sinpa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Sinpa of Singwahamkke Jeoseung and the Sinpa of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신과함께>의 신파성과 한국적 신파 현상 -웹툰 <신과함께-저승편>과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에 나타난 신파성 비교를 중심으로

  • 박재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20.10.16
  • Accepted : 2020.11.1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inpa of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was a box office hit with a 10 million attendance mark, but it was also criticized as a 'Korean Sinpa' at the time of its release. The original version of Along with the Gods is a Webtoon called Singwahamkke in Korean. The popularity of Singwahamkke and its adaptation, Along with the Gods was enormous, which prompted a very active research to be carried about the work.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articles which analyze th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focusing on the Sinpa, even though the Sinpa of th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was a highly controversial issue when the movie was released. In this regard,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Sinpa of th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closely, especially by comparing it with the original webtoon Singwahamkke Jeoseung. The body part of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ree major parts: chapters 2, 3, and 4. Chapter 2 contains an in depth explanation about the notion of Sinpa, the main conceptual research tool for this study. In chapter 3, the original webtoon Singwahamkke Jeoseung is examined closely. This chapter analyzes the 'Sinpajeok moment' in Singwahamkke Jeoseung and argues that despite the presence of Sinpa elements, the webtoon cannot be considered a 'Sinpajeok text'. On the other hand the main subject of chapter 4 is discovering what effect the adaptation from webtoon to movie had on this work,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gender of Sinpa and Kim Ja-hong. Chapter 5, which corresponds to the conclusion, briefly evaluates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controversy arisen in South Korea about the Sinpa in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Sinpa is one of the most repeated code in the realm of Korean popular narrative. This is why the Sinpa of contemporary text is examined continuously even though there are already plenty of studies on the Sinpa. Everyone has called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Sinpa but no one has properly analyzed it.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hich closesly examined the Sinpa in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contribute to the field of Sinpa.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article can find appropriate contextual meaning of the series of Along with the Gods.

이 논문의 목적은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의 신파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신과함께-죄와 벌>은 천만 관객 영화로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개봉 당시 '한국적 신파'라는 혹평을 받기도 했다. 웹툰 <신과함께> 연작과 웹툰을 각색해 제작한 영화 두 편 모두가 큰 대중적 인기를 누리면서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하지만 <신과함께-죄와 벌>의 경우 개봉 당시 영화의 신파성이 관람객과 평론가들 사이에서 꽤나 논란거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상세히 분석한 논문은 그간 나오지 않았다. 이에 이 논문은 <신과함께-죄와 벌>에 나타난 신파성을 특히 원작 웹툰<신과함께-저승편>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고자 했다. 본론은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이 논문의 분석 도구인 신파성에 대한 개념 설정 관련 논의이다. 3장에서는 웹툰 <신과함께-저승편>을 분석했다. 여기서는 웹툰에 나타난 신파적 순간에 대해 다뤘으며 신파적 순간이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왜 이 작품은 신파적 텍스트가 아닌지 설명하였다. 4장에서는 웹툰에서 영화로의 각색이 신파성의 측면에서 어떤 효과를 발생시켰는지를 살핀 후 신파적 남성 주체로서의 '김자홍'에 초점을 맞춰 영화에 나타난 신파성의 젠더적 특성을 분석했다. 결론에 해당하는 5장에서는 <신과함께-죄와 벌>을 둘러싼 한국적 신파 논란의 사회적 의미를 간단히 평하였다. 신파는 한국 대중 서사 영역에서 끊임없이 되풀이하며 등장해온 강한 생명력을 지닌 코드이다. 신파에 관한 연구가 이미 상당히 축적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시대 텍스트에 구현된 신파성을 분석하는 작업이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신파라고 쉽게 명명되었지만 제대로 분석되지는 않았던 텍스트, <신과함께-죄와 벌>을 대상으로 그 신파성을 분석한 이 논문이 앞으로의 신파 연구에 보탬이 되리라 기대한다. 아울러 이 논문이 <신과함께> 시리즈에 대한 보다 적절한 사회적 맥락화와 의미화를 위한 작업의 일부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1」, 애니북스, 2017.
  2.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2」, 애니북스, 2017.
  3. 주호민, 「신과 함께-저승편 3」, 애니북스, 2017.
  4. 김용화 감독, <신과 함께-죄와 벌>,리얼라이즈 픽쳐스.덱스터 스튜디오, 2017.
  5. 김용화 감독, <신과 함께-인과 연>, 리얼라이즈 픽쳐스.덱스터 스튜디오, 2018.
  6. 박유희, 「한국문화사를 '눈물'로 종횡하는 정치 비평」, 「한국극예술연구」 제62집, 한국극예술학회, 2018, 261-276쪽.
  7. 이수재, 「한국전통서사의 스토리텔링 전환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8. 이승희, 「기표로서의 신파, 그 역사성의 지형」, 「한국극예술연구」 제23집, 한국극예술학회, 2006, 9-44쪽.
  9. 이승희, 「'신파'와 '막장'의 시간성」, 「민족문학사연구」 67권,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97-132쪽.
  10. 이영미,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푸른역사, 2016.
  11. 이호걸, 「신파성이란 무엇인가?-구조, 정치, 역사」, 「영상예술연구」 9호, 영상예술학회, 2006, 179-214쪽.
  12. 이호걸, 「신파양식 연구: 남성신파 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3. 이호걸, 「눈물과 정치」, 따비, 2018.
  14. 너돌양, <'신과 함께-인과 연', 신파 대신 천년 거스른 인연 내세워 도달한 가치>, 「미디어스」, 2018.8.3.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071)
  15. 이동진, <[이동진의 어바웃 시네마] 12월 한국영화 대작 세 편의 공과>, 「다음 영화」, 2017.12.29. (http://magazine2.movie.daum.net/movie/43961)
  16. <신과함께' 감독 "신파? 큰 제작비 영화, 이 정도 감정 깊이 필요" / 인터뷰>, 「스포츠조선」, 2017.12.19. (https://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712200100151520010764&servicedate=20171219)
  17. <신과함께' 김용화 감독, 실패→성공 그리고 또 도전 / 인터뷰>, 「국민일보」, 2018.1.30.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089359&code=61181511&cp=nv)
  18. <<신과 함께-죄와 벌> 배우 예수정, "내가 배운 신파는 감정에 충실하다는 의미... 요즘일수록 신파가 필요하다" / 인터뷰>, 「씨네21」(인터넷판), 2018.1.4.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156)
  19. <<신과 함께-죄와 벌> 원작자 주호민 작가, "내게 늘 첫째는 만화적인 재미에 집중 하는 것" / 인터뷰>, 「씨네21」(인터넷판), 2017.12.28.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