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llection of Philosophical Concepts for Video Games -Theory of Art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Shinji Matsunaga's The Aesthetics of Video Games

인간과 컴퓨터가 공유하는 인공적인 놀이에 관한 개념상자 -마쓰나가 신지의 『비디오 게임의 미학』이 체계화하는 인공지능시대의 예술과 유희 이론

  • 김일림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 Received : 2020.10.17
  • Accepted : 2020.11.13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to introduce and review Shinji Matsunaga's The Aesthetics of Video Games which published in Japan in 2018. Shinji Matsunaga has studied video games from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 In The Aesthetics of Video Games, he took video games as a hybrid form of traditional games. Shinji Matsunaga particularly notes that video games can design human behaviors and experiences. From this point of view, he tries to construct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will be able to describe the ways of signification in games and fiction respectively. In previous studies, video games have been main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ultural studies and entertainment culture in Japan. The Aesthetics of Video Games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Aesthetics of Video Games pioneered the method of studying video games in art theory. Second, it established various types of relationships with video games and traditional aesthetic concepts. Third, this book connects new concepts that emerge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video games as an aesthetic action. Through this work, not only video games were discussed academically, but also the fields of aesthetics and art were expanded. The Aesthetics of Video Game is like a collection of philosophical concepts for video games. Through this book, it can be said that the pat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approach human secrets is closer than before.

이 글은 마쓰나가 신지가 2018년 일본에서 펴낸 『비디오 게임의 미학』을 소개하기 위해 씌어졌다. 마쓰나가 신지는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비디오 게임을 연구해온 일본의 대표적인 연구자다. 그가 이 책에서 주목하는 것은 비디오 게임이 지닌 인공적인 놀이로서의 측면이다. 마쓰나가 신지는 비디오 게임이 인간의 행위와 경험을 디자인하는 놀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비디오 게임의 수용 과정에서 일어나는 의미 작용의 측면에서 논했다. 이를 위해 도입된 것은 컴퓨터와 공유되는 분석철학의 방법이다. 그동안 일본에서 발표된 선행연구에서 비디오 게임은 주로 일본 문화론이나 오락 문화의 문맥에서 논해졌다. 그러나 『비디오 게임의 미학』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선행연구와 구별된다. 첫째, 예술 이론의 내부에서 비디오 게임이라는 장르를 연구하기 위한 연구방법을 개척하고, 둘째, 전통적인 미학적 개념과의 연관 관계를 도출하는 동시에, 셋째, 인공지능시대에 부상한 새로운 개념을 미적 행위로서의 비디오 게임에 결부시키고 있다. 이 작업을 통해서 비디오 게임이 미학의 대상으로 체계화되었으며, 미학과 예술의 영역도 확장되었다. 이 책의 독보적인 특징은 철학과 미학의 언어로 비디오 게임을 체계화했고, 그 언어를 컴퓨터가 공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사했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비디오 게임의 미학』은 인간과 컴퓨터가 공유할 수 있는 개념 상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의 궁극적인 의의는 전통적인 인문학의 언어를 컴퓨터가 해독 가능한 언어로 번역함으로써 인공지능이 인간의 비밀에 다가서는 길을 개척했다는 점에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松永伸司, 「ビデオゲームの美学」, 東京: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18.
  2. 마쓰나가 신지, 「양식화된 시뮬레이션으로서의 초기 JRPG」, 최재혁 옮김, 「문화과학」 제91호, 문화과학사, 2017, 292-330쪽.
  3. 요시다 히로시, 「디지털 게임 플레이어와 '타자'를 향한 신뢰」, 최재혁 옮김, 「문화과학」 제89호, 문화과학사, 2017, 332-354쪽.
  4. 요한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개정판), 이종인 옮김, 연암서가, 2018.
  5. 이동연 외, 「게임의 이론」, 문화과학사, 2019.
  6. Juul, Jesper, Half-Real: Video Games between Real Rules and Fictional Worlds,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05.
  7. Salen, Katie & Eric Zimmerman,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03.
  8. 牧野武文, 「ゲームの父.横井軍平伝 任天堂のDNAを創造した男」, 東京: 角川書店, 2010.
  9. 牧野武文, 「任天堂ノスタルジー: 横井軍平とその時代」, 東京: 角川書店, 2015.
  10. 上村雅之.細井浩一.中村彰憲, 「ファミコンとその時代」, 東京: NTT出版, 2013.
  11. 石井ぜんじ 外, 「ゲームセンタークロニクル: 1972-2017」, 東京: standards, 2017.
  12. 小山友介, 「日本デジタルゲーム産業史: ファミコン以前からスマホゲームまで」, 東京: 人文書院, 2016.
  13. 松永伸司 外, 「ゲーム学の新時代: 遊戯の原理.AIの野生.拡張するリアリティ」, 東京: NTT出版, 2019.
  14. 桝山寛, 「テレビゲーム文化論: インタラクティブ.メディアのゆくえ」, 東京: 講談社, 2001.
  15. 深田洋介, 「ファミコンの思い出」, 東京: ナナロク社, 2012.
  16. 日本記号学会, 「ゲーム化する世界: コンピュータゲームの記号論」, 東京: 新曜社, 2013.
  17. 日経BP社 ゲーム産業取材班, 「日本ゲーム産業史 ゲームソフトの巨人たち」, 東京: 日経BP, 2016.
  18. 井上理, 「任天堂: "驚き"を生む方程式」, 東京: 日本経済新聞出版, 2009.
  19. 中川大地, 「現代ゲーム全史 文明の遊戯史観から」, 東京: PLANETS, 2016.
  20. 川野洋, 「芸術情報の理論」, 東京: 新曜社, 1972.
  21. 川野洋, 「芸術.記号.情報」, 東京: 勁草書房, 1982.
  22. 川野洋, 「芸術の論理-情報美学の方法」, 東京: 早稲田大学出版部, 1983.
  23. 川野洋, 「コンピュータと美学-人工知能の芸術をさぐる」, 東京: 東京大学出版会, 1984.
  24. 川野洋, 「ネットワーク美学の誕生-「下からの綜合」の世界に向けて」, 東京: 東信堂,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