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treme Job, How Will We Survive Since "Candlelight Protest"? -A Revival of Comic Mode and a Comedy Film in the Age of Self-Management

<극한직업>, '촛불혁명' 이후 어떻게 버티며 살아남을 것인가? -코믹 모드의 부활과 자기경영 시대의 코미디영화

  • 정영권 (동국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학과)
  • Received : 2020.07.17
  • Accepted : 2020.08.14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paper finds a solution in the social context which cannot be explained thoroughly by well-timed release date, revival of comedy films, and the attraction of Lee Byeong-heon's comedy etc. while it throws question of how the film, Extreme Job captivated 16 million audience. The incredible hits of Extreme Job cannot be explained by analyzing the text alone. After this essay investigates a function and a role of comedy as a public sphere, it examines people's desires and wishes in the comedy and other genres since 2008 when the conservative government has seized power. Since 2008 a series of dark tone's action thriller, social problem film, and disaster film have emerged, these genres showed absence of public security, crisis of democracy and criticism against rulling class. On the other hand, hit comedy films have showed escapism such as weepie, nostalgia, and fantasy at the same time, generally. Although Veteran (2015) is not full-blown comedy, after this film's big success, "comic mode" has gradually revived. A light tone's films which are truer to genre rules has started representing the wishes of people toward social reforms and changes. Meanwhile, "Candlelight Protest" served as a momentum to recover the democracy which has been in crisis, but it could not lead changes in economic and daily lives. Exreme Job can be read as a question how we will survive since "Candlight Protest." The lives of detectives as self-employed workers who has taken over a fried chicken restaurant for going undercover are appearances of ordinary persons who must survive in the edless conpetition. Furthermore, this film shows a dream of a "great success myth" which becomes well-known as a famous restaurant and a self-management such as brand-naming and an exapansion of franchise business. We can read ganster's chicken franchises as a huge distribution industry which disturbs market system by delivering drugs secretly. While applauses that we give to the police having identities of self-employed workers which sweeps the ganster are giving support to oridinary neighborhood like us, they are also wishes of people who long for the restoration of publicness of police in the market which is becoming increasingly privatized today. A significanc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Extreme Job in terms of the geography of film genres and the revival of comic mode sicne 2008 at the macro level, and is to read the film in the perspective of the problems of economic and daily lives which has been still unsolved since "Candlelight Protest" at the micro level.

본 논문은 영화 <극한직업>의 1,600만 흥행에 질문을 던지면서, 절묘한 개봉 시기, 코미디영화의 부활, 이병헌 감독 코미디의 매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회적 맥락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한다. <극한직업>의 놀라운 흥행은 해당 영화에 대한 텍스트 분석만으로는 도저히 설명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공론장으로서의 코미디의 기능과 역할을 규명한 후 보수정권이 집권한 2008년 이후 코미디와 타 장르에 나타난 대중의 욕망과 염원을 진단한다. 2008년 이후 어두운 톤의 액션 스릴러·사회문제영화·재난영화 등이 부상했고 이들 장르는 치안의 부재, 민주주의의 위기, 지배층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었다. 그에 비해 같은 시기 흥행한 코미디영화는 대체로 신파, 노스탤지어, 판타지 경향으로서 현실도피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격 코미디는 아니지만 <베테랑>(2015)의 커다란 성공 이후 대중영화에서 '코믹 모드'는 서서히 부활했다. <도가니>(2011)가 파생시킨 진지한 사회문제영화 대신 장르 관습에 더 충실한 밝은 톤의 영화들이 사회의 개혁과 변화에 대한 대중의 열망을 담기 시작했다. <극한직업>은 이러한 분위기의 산물이다. 한편, '촛불혁명'은 위기에 처한 정치적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경제적·일상적 삶에서 변화한 것은 거의 없었다. <극한직업>은 민주주의의 회복이라는 촛불혁명 이후 어떻게 버티고 살 것인가의 문제로 읽힐 수 있다. 형사들이 잠복근무를 위해 치킨집을 인수하면서 벌어지는 자영업자로서의 삶은 끝없는 경쟁 속에 생존해야 하는 서민들의 모습이다. 또한 맛집으로 유명해지는 '대박신화'의 꿈과 브랜드 네이밍, 프랜차이즈 확장이라는 자기경영의 면모도 담고 있다. 조폭이 치킨 프랜차이즈를 통해 암암리에 마약을 배송하는 것은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거대 유통산업으로 독해 가능하다. 경찰이 자영업자의 정체성을 갖고 이들을 소탕하는 것에 보내는 박수는 나와 다르지 않은 평범한 이웃에 대한 응원이자 오늘날 점점 사사화(私事化)하는 시장에서 공권력의 공공성 회복을 열망하는 대중의 염원이다. 본 논문의 의의는 <극한직업>을 2008년 이후 영화장르의 지형도와 코믹 모드의 부활이라는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규명하고, 미시적 수준에서는 이 영화를 '촛불혁명' 이후에도 해결되지 않은 경제적·일상적 삶의 문제로 읽어내는데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병헌 감독, <극한직업>, 어바웃필름, 2019.
  2. 곽한주, 「부패한 권력, 사라지는 공동체: 근래 한국영화 서사의 주요 경향과 공동체담론」, 「현대영화연구」 32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145-175쪽.
  3. 김소연, 「1990년대 이후 한국영화에서 '코믹 모드'의 문제: 로맨틱 코미디 장르의 이행기적 등장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60호, 한국영화학회, 2014, 29-55쪽. https://doi.org/10.17947/KFA..60.201406.002002
  4. 대중서사장르연구회,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4: 코미디」, 이론과실천, 2013.
  5. 박근서, 「코미디, 웃음과 행복의 텍스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6. 박형신.정수남, 「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공포 감정의 거시사회학」, 한길사, 2015.
  7. 서곡숙, 「코미디영화의 이해」, 아모르문디, 2018.
  8. 송효정, 「광장과 법정: 블랙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사회적 상상력」, 「대중서사연구」 25권 4호, 대중서사학회, 2019, 159-190쪽. https://doi.org/10.18856/JPN.2019.25.4.006
  9. 신동주.최배근, 「우리나라 영세자영업자 증가의 원인: 탈공업화와 영세자영업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31권 5호,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1831-1856쪽.
  10. 안영임, 「2000년대 중후반 한국 스릴러 영화 연구: 불안의 감정 구조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 오영숙, 「1950년대, 한국영화와 문화 담론」, 소명출판, 2007.
  12. 윤도현, 「한국의 복지국가와 중간계급: 자영업자 문제를 중심으로」, 「스칸디나비아 연구」 15호,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2014, 63-102쪽.
  13. 이영일, 「한국영화전사」(개정판), 소도, 2004.
  14. 정영권, 「영화 장르의 이해」, 아모르문디, 2017.
  15. 조 흡, 「[영화이야기] <극한직업>: 대중 코미디의 정치적 함의」, 「대한토목학회지」 67권 4호, 대한토목학회, 2019, 78-80쪽.
  16. 한송희, 「한국 재난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201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7권 2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98-166쪽.
  17. 홍진혁, 「한국 사회문제영화의 특징과 의미: 현실정치의 패배감에 대응하는 제의로서의 장르-2011~2013년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79호, 한국영화학회, 2019, 217-247쪽.
  18. Friedman, Lester et al., An Introduction to Film Genres, New York & London: W. W. Norton & Company, 2014.
  19. Gehring, Wes D. (ed.), Handbook of American Film Genres, Westport: Greenwood Press, 1988.
  20. Grant, Barry Keith, Film Genre: From Iconography to Ideology, London & New York: Wallflower, 2007.
  21. Horton, Andrew (ed.), Comedy/Cinema/Theor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22. Neale, Steve & Frank Krutnik, Popular Film and Television Comedy, London & New York: Routledge, 1990.
  23. 이건엽.김영선 연출, <시사 직격>(36회. '배달 앱의 두 얼굴: 누가 이 공룡을 키웠나'), KBS1TV, 2020.7.10. 방송.
  24. <7가지 키워드로 돌아보는 2019년 한국영화 배급과 흥행>, 「씨네21」(인터넷판)2020.3.12.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4564
  25. <한국 자영업자 비율 OECD 7위...4명중 1명 자영업자>, 「서울신문」, 2020.6.10.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610500176
  26. 박우성, <<극한직업>의 자영업 판타지가 헛헛한 이유>, 「중앙SUNDAY」 623호, 2019, 31면.
  27.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극한직업> 항목.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mast/mvie/searchMovieList.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