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laying Trauma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in Taiwan Horror Game Detention

플레잉 트라우마 -대만 호러게임 <반교>의 역사 재현 연구

  • 배주연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 Received : 2020.04.10
  • Accepted : 2020.05.15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f traumatic history in 2D horror game Detention developed by Taiwan game production company Red Candle through an analysis of its method of storytelling. Unlike conventional public media, video/digital games are based on interactivity, in which game players engage in the narratives.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ers and the history in the game world may also change.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players build their way of remembering and recognizing the past in a different relationship. Detention, which was well received, not only in Taiwan but also around the world upon its launch in 2017, is set in a middle school during the martial law era in Taiwan in the 1960s. In the game, the main character encounters her lost memories in the process of following clues and game rules, and finally realizes she is implicated in the 1960s' event. Detention was cinematized after the success of the game. The film achieved enormous popularity both in terms of box office success and criticism. In this paper, the strategy of the game's storytelling is introduced in comparison to the film's approach in the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events. In particular, the paper explores elements such as the interactivity of the game medium, narrative fragmentation, quests, hints and cues, and the horror genre, that asks users to understand history beyond the game world differently from the point of view of other media. Though this study,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igital game is a medium exploring history in a serious manner. In particular, Detention invokes the matter of game-mnemonics as well as cine-mnemonics. Compared to plentiful research in cine-mnemonics, game-mnemonics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to date.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Detention,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games, history and memory.

본 연구는 대만의 레드캔들사(社)에서 개발한 2D 호러 게임 <반교>의 스토리텔링 분석을 통해 역사게임이 트라우마적 역사를 재현하는 방식에 관해 논한다. 기존의 대중미디어와는 달리 게임은 플레이어가 직접 서사에 참여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게임 속 역사 세계와 플레이어가 관계 맺는 방식도 달라진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미디어가 어떻게 이용자의 역사 인식과 기억의 방식을 다른 관계성 속에서 형성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2017년 출시와 동시에 대만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큰 호응을 얻었던 <반교>는 1960년대 대만 계엄시기의 한 중학교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사상 검열과 국가폭력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 특히, 일련의 게임 규칙들을 따라가는 과정에서 주인공은 잃어버린 기억과 마주하게 되고, 이로 인해 트라우마적 과거사에 대한 연루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후 <반교>는 영화로도 제작되어,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나 큰 성공을 거두었다. 본문에서는 게임 <반교>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영화의 재현 방식과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역사적 스토리가 미디어가 달라짐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서술되고, 기억술의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게임의 상호작용성, 파편화된 서사, 퀘스트, 단편적으로 제시되는 단서, 호러게임이라는 장르적 특수성과 같은 것들이 어떻게 게임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넘어, 역사인식과 기억하기의 다양한 계기들을 만들어내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역사기술 매체로서 진지하게 다뤄지지 못했던 게임미디어가 역사를 '하는doing' 방식에 대해 성찰해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반교>는 역사 재현이 어떻게 영화적 기억술, 그리고 게임적 기억술과 닿아 있는가의 문제를 제기한다. 영화적 기억술이 비교적 많은 연구에서 다뤄진데 비해 게임적 기억술은 본격적으로 연구가 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게임 <반교>의 기억술을 분석함으로써, 게임과 역사재현, 그리고 기억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2017S1A6A3A01079727)

References

  1. 게임 <반교>, 레드캔들사(社), 2017.
  2. 영화 <반교: 디텐션>, 존 쉬, 2019.
  3. 고병희, 「일본 게임에 나타난 한국 역사의 왜곡사례와 대응방안 연구」,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제2권 2호, 2006, 1-8쪽.
  4. 고지현, 「꿈과 깨어나기: 발터 벤야민 파사주 프로젝트의 역사이론」, 유로, 2007.
  5. 로버트 A. 로젠스톤, 「영화, 역사- 영화와 새로운 과거의 만남」, 김지혜 역, 소나무, 2002.
  6. 롤랑 바르트, 「밝은 방: 사진에 관한 노트」, 김웅권 역, 동문선, 2006.
  7. 마이클 S. 로스, 「히로시마 내 사랑: 당신은 이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로버트 A. 로젠스톤 편저 「영화, 역사- 영화와 새로운 과거의 만남」, 김지혜 역, 소나무, 2002, 145-161쪽.
  8. 발터 벤야민, 「경험과 빈곤」, 「발터 벤야민 선집5」, 최성만 역, 도서출판 길, 1936/2008.
  9. 발터 벤야민, 「이야기꾼: 니콜라이 레스코프의 작품에 관한 고찰」, 「발터 벤야민 선집9」, 최성만 역, 도서출판 길, 1936/2012.
  10. 발터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발터 벤야민 선집5」, 최성만 역, 도서출판 길, 1940/2008.
  11. 수잔 벅-모스,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김정아 역, 문학동네, 2004.
  12. 심혜련, 「초현실주의적 도시와 도시 체험: 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범한철학」 56집, 2010, 207-234쪽.
  13. 이동연, 「게임의 가치를 이해하는 몇 가지 쟁점들」, 이동연 외, 「게임의 이론: 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문화과학사, 2019, 15-47쪽.
  14. 이상우, 「게임, 게이머, 플레이: 인문학으로 읽는 게임」, 자음과 모음, 2012.
  15. 이정엽, 「디지털 게임, 상상력의 새로운 영토」, 살림, 2005.
  16. 이정엽, 「게임 플레이(경험)」, 이동연 외 「게임의 이론-놀이에서 디지털 게임까지」, 문화과학사, 2019, 169-195쪽.
  17. 정찬용, 「역사교육에 대한 게임 활용 방안: 기능성 게임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제18권 6호, 2018, 29-38쪽. https://doi.org/10.7583/JKGS.2018.18.6.29
  18.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모든 것을 무릅쓴 이미지들: 아우슈비츠에서 온 네 장의 사진」, 오윤성 역, 도서출판 레베카, 2017.
  19. 조지 카치아피카스, 「아시아의 민중봉기: 필리핀, 버마, 티베트, 중국, 타이완, 방글라데시, 네팔, 타이, 인도네시아의 민중권력, 1947~2009」, 원영수 역, 오월의 봄, 2015
  20. 주완요, 「대만: 아름다운 섬」, 손준식 외 역, 신구문화사, 2003.
  21. 지은주, 「또 다른 중화, 대만: 대만의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연구」, 김영사, 2015.
  22. 테사 모리스-스즈키, 「우리 안의 과거: 미디어, 메모리, 히스토리」, 김경원 역, 휴머니스트, 2006.
  23. Allison, Tanine, "The World War II Video Game, Adaptation, and Postmodern History", Literature/Film Quarterly, Vol.38 No.3, 2010, pp.183-193.
  24. Fu, Yu-wen, "Space and Cultural Memory: Te-Sheng Wei's Cape No.7(2008)", Postcolonial Film: History, Empire, Resistance, Rebecca Weaver-Hightower & Peter Hulme (eds.),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2014, pp.223-246.
  25. Kapell, Matthew Wilhelm & Andrew B.R. Elliott, "Introduction: To Build a Past That Will "Stand the Test of Time"- Discovering Historical Facts, Assembling Historical Narratives", Playing with the Past: Digital Games and the Simulation of History, New York, London: Bloomsbury Academic, 2013, pp.1-29.
  26. Kocurek, Carly A., "Walter Benjamin on the Video Screen: Storytelling and Game Narratives", Arts, Vol.7 No.4, 2018, https://doi.org/10.3390/arts7040069
  27. Uricchio, William, "Simulation, History, and Computer Games", Handbook of Computer Game Studies, Joost Raessens & Jeffrey Goldstein (eds.), Cambridge, MA,: The MIT Press, 2005, pp.327-338.
  28. 게임 <웬즈데이> 텀블벅 소개페이지 https://tumblbug.com/wednesday
  29. <학술적 인정, 반교와 환원 '하버드 옌칭 연구소' 소장자료로>, 「게임메카」, 2020.2.24.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617056
  30. <[金马56]避不开政治 得奖者发言谈港 《返校》五奖入袋)>, 「多維新聞」, 2019.11.23.
  31. <《还愿》涉敏感词下架 前作《返校》改编电影点映好评)>, 「多維新聞」, 2019.9.5.
  32. <台灣電影《返校》破紀錄 驚悚和「非政治「如何撬動年輕觀眾)>, 「BBC 中文」, 2019.9.27. https://www.bbc.com/zhongwen/trad/chinese-news-49844200
  33. Asheley Oh, "Psychological Horror Game Detention revisits 1960s Taiwan", Polygon, 2018.3.15., www.polygon.com/2018/3/15/17092630/detention-game-ps4-steam-impressions
  34. Kevin Mesereau, "Review: Detention", Destructoid, 2018.3.13.
  35. Robb Fahey, , Gameindustry.biz, 2004.11.22., https://www.gamesindustry.biz/articles/traffics-jfk-assassination-game-stirs-up-controversy
  36. Tiff Liu, "Detention Postmortem: Localizing Taiwanese Game for Western Audiences", Gamasutra, 2017.2.8., https://www.gamasutra.com/blogs/author/LiTingLiu/1018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