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권연희 (2010). 아동의 기질,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정서표현 행동의 매개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57-280.
-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 김계수 (2010). AMOS 18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 김대웅, 박윤현 (2018).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 전자매체 이용시간,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 성별 다집단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3(6), 135-156. doi:10.20437/KOAECE23-6-06
- 김미숙 (200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기와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소영 (2008).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요구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순이, 서호찬 (2016).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부모의 양육행동,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연구, 18, 93-115.
-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 김현주 (2009). 학령후기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 아버지 애착 및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미예 (201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와 어머니의 취업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류관열 (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 아동교육, 21(3), 231-240.
- 류다형, 이순형 (2016). 농촌 지역 결혼이민자 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일반가정과 비교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107-131. doi:10.20437/KOAECE21-2-05
- 문혜련 (1999). 어머니의 사회적지지 체계와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주연, 최영희, 황리라, 박남심 (2019).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사회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2(1), 1-19. doi:10.17641/KAPT.22.1.1
- 배병렬 (2017). AMOS 24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청람.
- 서미옥 (2004). 한국판 취학 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척도(K-SSRS: 교사 평정용, 부모 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23-242.
- 송민영 (2018).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가족 상호작용,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0(1), 139-162.
- 송소아 (2019).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어머니와 자녀의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유아의 학교 준비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주연, 이선영 (2017). 또래 놀이 행동에 대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역할: 사회적 기술의 매개 효과. 유아교육연구, 37(5), 507-531. doi:10.18023/kjece.2017.37.5.022
-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경기도: 21세기사.
- 신연희, 정현희, 최성열 (2010). 아동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자기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아동교육, 19(3), 143-158.
- 안지영 (2000).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양은호 (2012).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양혜련 (2000).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인기도와 사회적 문제해결행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옥경희 (2019). 부모의 양육행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연구. 인문사회21, 10(3), 603-616. doi:10.22143/HSS21.10.3.43
- 이영미 (200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정 및 거부적 양육행동에 따른 남녀 유아의 자기조절. 가족과 문화, 21(4), 41-61. doi:10.21478/family.21.4.200912.003
- 이인성, 이상희 (2009).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아동교육, 18(3), 177-189.
- 이지영, 고보선, 최진아, 성지현 (2018). 어머니의 심리적 요인과 온정적 양육행동, 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또래 놀이 행동 간의 구조모형 분석. 유아교육연구, 38(2), 501-527. doi:10.18023/kjece.2018.38.2.020
- 이혜원, 양옥승 (2006).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69-92.
- 이희연, 김경숙, 이미나 (2018). 어머니의 우울 수준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육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109-126. doi:10.22251/jlcci.2018.18.109
- 임성실, 이정미, 김영희 (2010).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2), 143-157.
- 임연진 (2002). 어머니의 양육 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3-124.
- 임현주 (2018). 유아 변인, 가족 간 상호작용, 양육 변인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1), 183-206. doi:10.22155/JFECE.25.1.183.206
- 장명림, 신나리, 박수연 (2006). 아동 패널조사 모형개발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장혜림 (2012). 빈곤 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언어.사회성 발달 간 관계: 한부모 양육 태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3), 67-97. doi:10.16999/kasws.2012.43.3.67
- 정순자 (2007).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영애 (2005). 농촌 지역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취학전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2), 75-91.
-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 조부월 (2009). 부모의 양육 태도 유형과 일치유형 및 일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비교.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4), 93-119.
- 최옥주 (2016).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유아 사회성 간의 종단연구. 유아교육연구, 36(3), 127-149. doi:10.18023/kjece.2016.36.3.006
- 최윤희, 문혁준 (2018).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7), 221-228. doi:10.5392/JKCA.2018.18.07.221
- 하유미, 박성연 (2012). 어머니의 성인 애착, 부정 정서 및 정서조절 양식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2), 175-195.
- 한준아 (2019).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 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589-609. doi:10.22251/jlcci.2019.19.13.589
-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 홍종원, 최영희 (2015).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관계연구. 상담심리교육복지, 2(2), 81-94.
- Abidin, R. R. (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doi:10.1207/s15374424jccp1904_1
- Anthony, L. G., Anthony, B. J., Glanvile, D. N., Naiman, D. Q., Waanders, C., & Shaffer, S.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problems in the classroom.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33-154. doi:10.1002/icd.385
- Arnold, D. H., Kupersmidt, J. B., Voegler-Lee, M. E., & Marshall, N. A. (2012). The association between preschool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and their emergent academic skills. Early Child Research Quarterly, 27(3), 376-386. doi:10.1016/j.ecresq.2011.12.009
- Aunola, K., & Nurmi, J. 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doi:10.1111/j.1467-8624.2005.00840.x-i1
-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doi:10.2307/1129836
- Crick, N. R. (1996).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5), 2317-2327. doi:10.1111/j.1467-8624.1996.tb01859.x
- Crnic, K. A., Gaze, C., & Hoffmam,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2), 117-132. doi:10.1002/icd.384
-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2307/1130770
- Denham, S. A. (2006).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 support for school readiness: What is it and how de we assess it?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7(1), 57-89. doi:10.1207/s15566935eed1701_4
-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s. In E. M. He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 103-198). New York: Wiley.
-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 Hosokawa, R., & Katsura, T. (2017). A longitudinal study of socioeconomic status, family processes, and child adjustment from preschool until early elementary school: The role of social competence.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Metal Health, 11(1), 1-28. doi:10.1186/s13034-017-0206-z
-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P., Rupiper, M. L., & Gregory, K. M. (2017).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 learning, 8th edition.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경기: 교문사(원판 2015).
- McCay, L. O., & Deyes, D. W. (2001).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in the inclusive primary classroom. Childhood Education, 78(2), 70-78. doi:10.1080/00094056.2002.10522707
- McClelland, M. M., & Morrison, F. J. (2003). The emergence of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2), 206-224. doi:10.1016/S0885-2006(03)00026-7
- Perlman, M., & Ross, H. S. (2005). If-then contingencies in children's sibling conflicts. Merrill-Palmer Quarterly, 51(1), 42-66. doi:10.1353/mpq.2005.0007
- Odom, S. L., McConnell, S. R., & Brown, W. H. (2008).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influences. In W. H. Brown, S. L. Odom, & S. R. McConnell (Eds.),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Risk, disability, and intervention (pp. 3-29). Towsou, WA: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Inc.
- Raver, C. C., & Zigler, E. F. (1997). Social competence: An untapped dimension in evaluating head start's succes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4), 363-385. doi:10.1016/S0885-2006(97)90017-X
- Simons, R. L., Beaman, J., Conger, R. D., & Chao, W. (1993). Stress, support, and antisocial behavior trait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well-being and parenting practices among single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2), 385-398. doi:10.2307/352809
- Suchman, N. E., & Luthar, S. S. (2001).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ng stress in methadone-maintained mothers' parenting.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1(4), 285-315. doi:10.1207/S15327922PAR0104_2
- Webster-Stratton, C., & Reid, M. J. (2004). Strengthen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The foundation for early school readiness and success; Incredible years classroom social skills and problem-solving curriculum. Infants and Young Children, 17(2), 96-113. doi:10.1097/00001163-200404000-00002
피인용 문헌
-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vol.16, pp.5,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