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n annual average of more than 100 casualties occur on construction sites designat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despite the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Even if those sites involve more harmful or hazardous work than other sites, the result creates doubt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The safety of construction sites is difficult to maintain continuously and instantly because ofthe variabil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espite inspecting workers, equipment, and facilities by managers. Many discussions on how to utilize BIM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BIM-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would bring many benefits to safety. This study examined the hindrance factors of field utilization of the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through a research literature survey, disaster situation analysis and questionnaire,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application of BIM that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safety assessment regulation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ndrance factors and the function of BIM.
산업안전보건법 제48조에 따른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 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해 안전보건 지킴이를 활용한 계획서 확인 모니터링 및 자율안전체계 확보를 위한 계획서 자체 확인 등 여러 대책 시행에도 불구하고 건설공사의 재해율을 살펴보면 연평균 100여 명의 사고사망자가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물론 대상 현장이 다른 건설현장과 비교하여 위험요인이 다수 존재한다는 것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위와 같은 결과는 재해를 예방하고자 작성되고 활용되는 유해·위험방지계획의 효과에 의문을 갖게 한다. 건설현장에서는 관리자가 근로자, 장비,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시행하지만, 시간적, 공간적으로 작업의 내용과 상황이 계속 변화하는 건설업의 특성상 지속적이고 즉각적인 안전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설계 및 시공성 검토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설계 오류의 사전발견 가능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활용하는 방안이 최근 많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건설업에서 실행하고 있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관련 연구 문헌 조사, 재해현황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 활용도 저해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BIM 기능과 저해요인과의 상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적용 필요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