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in Japan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stablishing a Local Government Archives in the Nagano Area

일본의 지방 아카이브 연구 나가노 지역의 기초 자치체 아카이브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03.31
  • Accepted : 2020.04.24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phenomenon that basic municipalities in Nagano Prefecture, Japan, have established archives in the last two to three years, and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auses. The movement of establishing a continuous archive of regional historical associations that encompassed several regions beyond a specific municipality exerted great influence. The linkage and cooperation activities of The Japan Society of Archives Institutions also acted as a major factor. These examples of municipal archives in Nagano Prefecture will give prospects and implications that can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archive in Korea.

일본의 기록공동체는 자치체 통폐합으로 인한 자치체 제도의 변화와 지역의 과소화(過疏化), 사료보존 활동가층의 고령화 등 지역의 기록보존에 대한 심각한 위기감 속에서 아카이브 설립을 위한 활동을 끊임없이 전개하고 있다. 이 논문은 최근 2~3년간 일본 나가노 지역의 자치체에서 연속적으로 아카이브가 설립된 현상에 주목하고 그 배경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자치체사 편찬 과정에서 수집한 기록과 통폐합된 옛 자치체의 비현용기록에 대한 정리·보존 등의 문제가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자치체를 경계 짓는 행정 구역을 뛰어넘어서 역사적·문화적 연원을 같이 하는 전 지역에 걸친 지역사 연구 단체들의 지속적인 아카이브 설립 운동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또한 인접한 선진 아카이브의 지원·협력 등 기록공동체 내 인적 연계와 활동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나가노 지역의 자치체 아카이브 설립 사례는 본격화할 한국의 자치체 아카이브 시대에 대한 전망과 시사점을 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훈. 2007.2. 최근 일본 지방자치단체 합병동향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 47(2), 191-218.
  2. 대전세종연구원(김용동). 2017.10.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및 운영방안, 1-141.
  3. 대구경북연구원(이재필). 2018.8. 대구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연구, 1-67.
  4. 대구광역시. 2019.7. 대구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건립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1-429.
  5. 박찬승. 2000.4. 외국의 지방기록관과 한국의 지방기록자료관 설립방안. 기록학연구, 1, 107-135. https://doi.org/10.20923/kjas.2000.1.107
  6. 손동유. 2011.4. 지방의 역사기록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8, 155-180. https://doi.org/10.20923/kjas.2011.28.155
  7. 이경용. 2016.10. 일본의 지방기록관리 연구. 기록학연구, 50, 389-423. https://doi.org/10.20923/kjas.2016.50.389
  8. 이경용. 2019.1. 지방아카이브의 역할. 기록학연구, 59, 129-157.
  9. 이경용. 2020.1. 일본 가나가와현 아카이브 연구. 기록학연구, 63, 114-141.
  10. 이원규. 지방 공공기록관리의 정책과제. 기록학연구, 26, 95-102. https://doi.org/10.20923/kjas.2010.26.095
  11. 지수걸.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 https://doi.org/10.20923/kjas.2009.21.247
  12. 고마쓰 요시로(小松芳朗). 2015.2. 松本市文書館の新館開館. アーカイブズ, 55, 39-43.
  13. 고바야시 모리히로(小林 盛寛). 2020.2. 上田市公文書館の開館について. アーカイブズ, 75.
  14. 고히라 치후미(小平千文). 2019. 市民要望としての公文書館設置-上田市公文書館の設置などについて-. 全史料協第全国大会及び研修委員会資料集, 61-68.
  15. 네즈 요시카즈(根津良一) 2019.2. 須坂市文書館の設置と一般利用開始に向けた取組. アーカイブズ, 71.
  16. 모토무라 메구미(本村慈). 2013.3. 地方自治体における公文書の管理に関する最近の取組. アーカイブズ, 49, 47-50.
  17. 아라이 히로후미(新井浩文). 2019. 長野県内市町村の公文書館機能ミニア厶モデルを活用した実態調査について. 全史料協第全国大会及び研修委員会資料集, 52-56.
  18. 아오키 미호(青木 弥保) 2019.2. 安曇野市文書館について. アーカイブズ, 71.
  19. 야마기시 마사오(山岸正男).하라다 치카(原田知佳). 2013.3. 小布施町の取組について. アーカイブズ, 49, 30-33.
  20. 야마우라 히사시(山浦寿). 2013.9. 長野県の地方史(地域史)関係団体.組織. 信濃, 第65卷 第9号, 791-812.
  21. 오오타 도미야스(太田富康). 2014.3. 公文書管理条例と自治体アーカイブズ機関-条例等にみる地域資料へのスタンス. 記録と史料, 24, 13-29.
  22. 자료파일(資料ふぁいる). 2013.3. 公文書館機能の自己点検.評価指標 調査結果. 記録と史料, 23, 75-78.
  23. 카츠미 유즈루(勝見 譲). 2020.2. 長和町文書館の開設について. アーカイブズ, 75.
  24. 하시모토(橋本竜輝). 2017.3. 平成28年度公文書館機能普及セミナ-2016in山口. 記録と史料, 27, 50-52.
  25. 호리타 유지(堀田 雄二). 2018.11. '東御市文書館' について. アーカイブズ, 70.
  26. 전사료협 홈페이지 公文書館機能ガイドブック. 2015.3, http://www.jsai.jp/kanko/guidebook/index.html
  27. 군마현립시정촌공문서등보존활용연락협의회, 群馬県市町村公文書等保存活用連絡協議会. 2019. '文書の評価選別を実現するために-市町村の実態と改善策-' 1-8, https://www.archives.pref.gunma.jp/99gunbunkyo
  28. 아즈미노시문서관 홈페이지, 安曇野市文書館業務検討委員会. 2017.9.25. 安曇野市文書館開館に向けた提言書
  29. 安曇野市文書館運用審議会会議録, http://www.city.azumino.nagano.jp/site/bunsho/36201.html
  30. 安曇野市文書館業務検討委員会会議概要, http://www.city.azumino.nagano.jp/site/bunsho/51528.html
  31. 오부세정공문서관 홈페이지, 小布施町公文書管理条例, https://www.town.obuse.nagano.jp/site/bunshok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