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 교육부 (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 이철현 (2014). 학습자의 21세기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실과교과 정보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1), 23-24.
- 교육과학기술부 (2001).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해설서.
- 교육인적자원부 (2005).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 운영지침 개정안 및 해설서.
- 허서정.손동철.김창석 (2017). 플립드 러닝 기반 컴퓨터 활용 수업의 학습 효과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 155-162. https://doi.org/10.15207/JKCS.2017.8.1.155
- 전혜진.고희청.이경현 (2014). 시청각자료를 통한 기억력, 이해력, 유추력에 관한 실험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47, 83-94.
- 김신자 (2001).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모형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5(2), 5-20.
- 이영민 (2005). 컴퓨터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문제 해결력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8(5), 43-50.
- 주영주・김정현 (2006). ICT활용수업에서 수업통제방식과 학습자의 초인지, 컴퓨터 활용 능력이 학업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19(2), 145-172.
- 전우천.홍석기 (2013).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스마트 소양 척도 개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4(6), 59-70. https://doi.org/10.7472/jksii.2013.14.6.59
- 백순근.김동일.김미량.김혜숙.유예림.박소화.김세원.김미림 (2009).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ICT리터러시 평가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0(2), 383-406.
- 김세리.남찬우.장선영 (2012). 학생의 EBS 및 컴퓨터 활용과 교사의 ICT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8(4), 849-877.
- 권선아.이수영 (2017).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이 중학생의 창의성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3), 35-46. https://doi.org/10.32431/KACE.2017.20.3.004
- Aypay, A. (2010). Information and Community Technology(ICT) usage and achievement of Turkish students in PISA 2006. The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9(2), 116-124.
- 김소영 (2007). 구성주의 학습 환경에 적합한 평가전략: 참평가와 즉각적 피드백. 교육공학연구. 23(4), 31-53.
- 광주광역시교육청 (2000). 컴퓨터 활용능력 급수제 운영. 광주교육대학교 멀티미디어 연구소.
- 허균 (2013). PISA2009에서 ICT 활용능력과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1), 51-61. https://doi.org/10.32431/KACE.2013.16.1.006
- 강민경.부정민 (2013). 컴퓨터를 활용한 동화 재구성 협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3(1), 155-177.
- 이재호.장준형 (2018). ICT 및 SW코딩에 대한 과학영재의 인식조사. 창의정보문화연구. 4(2), 171-181.
- 남창우.전훈 (2012). 교사와 학생의 ICT 활용과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저성취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연구. 29(1), 77-97.
- 허균 (2017). 고등학생들의 학습목적 컴퓨터 사용과 고3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관계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9(1), 180-187.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1.180
- 서울교육정책연구소 (2018). 서울교육종단연구 8차년도 사용자 매뉴얼.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 Hand D, Krzanowski W (2005). Optimising k-means clustering results with standard software packages.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49(4), 969-973 https://doi.org/10.1016/j.csda.2004.06.017
- Genolini, C., Alacoque, X., Sentenac, M., Arnaud, C. (2015). Kml and kml3d: R packages to cluster longitudinal data.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65(4), 1-34.
- Genolini, C., & Falissard, B. (2010). KmL : K-means for longitudinal data. Computational Statistics. 25(2), 317-328. https://doi.org/10.1007/s00180-009-01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