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port Strategy of China to the Cosmetic Industry: Focus on Countermeasures against Tariffs and Non-Tariff Measures

화장품 산업의 대중국 수출전략에 관한 연구: 관세 및 비관세조치 대응전략 수립을 중심으로

  • Jung, Woo-Kyung (Gangwon Provincial Government, Chinese Trade Division) ;
  • Lee, Seo-Young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Mokwon University) ;
  • Kim, Tae-I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 Busines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0.02.28
  • Accepted : 2020.03.25
  • Published : 2020.03.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and solutions for entering China in the tariff and non-tariff sectors of the cosmetic industry.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 tariff rate of cosmetics in China, and analyzed the export cost by actually interviewing the exporting companies to derive the economic effect of non-tariff measures. Findings - First, We proposed the use of the FTA business model (basic cosmetics), the use of Korea-China FTA tariffs (foam cleansing, toothpaste), and the use of APTA tariffs (perfume). Second, We propose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s to facilitate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and improvement of FTA awareness among corporate practitioners. Third, We proposed the expansion and support of the AEO MRA system and the expansion of Korea-China MOU conclusions regarding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domestic licensing system and technical conditions. Fourth, We proposed the use of government-supported projects related to obtaining overseas certifications and overseas expans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same industr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HS3304 products excluded from the Korea-China FTA should take full advantage of the FTA business model. In addition, the non-tariff measure costs are fixed costs per year, so the ratio decreases as the number of exports and export volume increases.

Keywords

References

  1. 김한성, 조미진 (2010), Impact of Rules of Origin on FTA Utilization in Korean FTAs, 대외경제연구원, Working Paper, 10-08
  2. 조미진, 김태황 (2012) 한.EU FTA 발효에 따른 경제적 성과 분석, 한국EU학회, EU학 연구, 17(1), 45-82
  3. 심재권 (2013), FTA 활용역량이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과아세안 FTA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태인, 이준건(2014), FTA 인지도 및 활용도가 FTA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통상정보연구, 16(3), 225-251.
  5. 김용태(2014), 한국 중소기업의 FTA 활용도 및 성과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6. 윤영호, 나도성(2013), FTA 활용역량과 수출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8(2), 295-319.
  7. 박근호 (2015), 중소수출기업의 기업가지향성과 FTA 활용역량, 수출성과 간 관계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6(1), 85-105.
  8. 김태인, 션즈펑 (2016), 강원도 경쟁우위산업의 FTA 활용률 제고방안 연구, 무역연구, 12(3), 519-538.
  9. 공윤엽 (2018), 대구 중소기업의 FTA 활용, R&D 역량 및 기업가정신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대구경북연구, 17(1), 89-112.
  10. 제영광, 최장우 (2018), 우리나라 중소기업 FTA활용지원제도의 성과에 관한연구: 관세청의 YES-FTA 컨설팅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관세학회, 관세학회지, 19(3), 3-25.
  11. 김창봉, 정재우, 남윤미 (2018), 자원기반관점(RBV)의 원산지관리역량이 FTA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통상정보연구, 20(1), 153-176.
  12. 김종훈 (2012), 중국 비관세장벽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보험연구, 13(1), 73-99.
  13. 김동휴, 이희진, 곽주영 (2013), 한국 FTA와 중국 FTA의 TBT 장 비교분석: 한중 FTA TBT 협상에 주는 함의, 국제지역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16(4), 125-150.
  14. 손기윤 (2015), 캐나다 반덤핑규정 연구: 공익조항과 일몰재심조항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39(2), 419-438
  15. 류예리 (2015), 한-중 FTA를 통한 중국 의약품분야 무역기술장벽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회, 한양법학, 26(2), 25-42.
  16. 왕상한, 박언경 (2016), 중국 위생검역분야 비관세장벽 완화를 위한 한-중 FTA 이행방안, 법학연구소, 경희법학, 51(2), 303-334.
  17. 이국화 (2013), 국제환경규제에 대한 중국 경제외교와 대응전략연구, 대한정치학회, 대한정치학회보, 23(2), 163-181.
  18. 이찬우 (2012), 중국의 녹색무역장벽에 관한 연구, 한중사회과학연구, 25, 129-154.
  19. 은웅 (2012), 주요국 환경규제 강화로 인한 수출구조 변화 및 대응방향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유통경영학회지, 15(3), 89-101.
  20. 정우경, 김태인 (2018), 중국 무역기술장벽과 인증제도에 관한 연구: 위조방지역추적코드기술조건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20(1), 67-89.
  21. 정우경 (2018), 우리나라 수출기업의 중국 비관세조치 대응에 관한 사례연구 : SPS 인증 제도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관세청, 보도자료 2019. 5. 10(금)
  23. Deardorff, A. and R. Stern (1997), "Measurement of Non-Tariff Barriers",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No. 179, OECD Publishing, Paris.
  24. Linda Cavin and Barry Krissoff(1998), "Technical barriers to trade: A case study of phytosanitary barriers and U.S.-Japanese apple trad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23(2), 351-366.
  25. 化妝品衛生監督條例
  26. 化妝品衛生監督條例實施細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