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s of Uses of Childcare Facilities on Mothers' Labor Supply under a Rationing Mechanism

보육시설이용이 기혼여성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입소 순위를 중심으로 -

  • Lim, Eunjae (Department of Econom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Yoon, Jayoung (Department of Econom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0.02.10
  • Accepted : 2020.03.30
  • Published : 2020.03.31

Abstract

The recent reform of child care policy is to give priority to double-income households in the use of childcare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use of childcare facilities on th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under the on-going reform. Using the data from the 19th and 21st wave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Study, the marginal treatment effect (MT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liminate the selection bias in which the sub-population targeted for polic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ority when childcare demand exceeds supply. The study finds that the employment effect of married women who use childcare facilities does not differ statistically from the employment effect of married women who do not use childcare facilities.

최근 맞벌이 가구 자녀에게 어린이집 입소 1순위를 부여하여 보육시설 이용에서 맞벌이 가구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정책 기조가 강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9~21차연도 자료를 이용하여 취업모 우선 보육정책이 강화된 시기 보육시설이 기혼여성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취업모 우선 보육정책은 취업 가능성이 높은 기혼여성을 시설 이용에서 배제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한계 처치효과(MTE)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보육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정책 대상이 되는 부분 모집단이 결정되게 되는 선택편의를 제거했다. 분석 결과, 보육시설 이용하는 기혼여성의 취업 효과가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는 기혼여성의 취업 효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없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09년도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연차보고서(안). pp. 1-388, 2009.
  2. 김유진. 맞춤형 보육정책에 대한 원장, 영아반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육아교육전공 석사학위청구논문, 2019.
  3. 김은지.김소영.선보영.성 경.양난주.김수정.김혜영. 지속가능한 돌봄정책 재정립 방안 연구(I).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4. 김현숙. 정부의 영유아 보육지원과 기혼여성 노동공급에 관한 패널분석. 여성경제연구 15권 1호 (2018.4): 1-24.
  5. 민인식.최필선. STATA 기초통계와 회귀분석. (주)지필미디어, 2018.
  6. 보건복지부. 2018년도 보육사업안내. pp. 1-455, 2018.
  7. 보건복지가족부 보육정책과. 2009년 보육통계. pp. 1-184, 2010.
  8.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015년 보육통계. pp. 1-263, 2015.
  9.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016년 보육통계. pp. 1-285, 2016.
  10.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017년 보육통계. pp. 1-286, 2017.
  11. 보건복지부 보육정책과. 2018년 보육통계. pp. 1-288, 2018.
  12. 보건복지부. 2015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 육아정책연구소, pp. 1-501, 2015.
  13. 보건복지부.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 . 육아정책연구소, pp.1-726, 2018.
  14. 유자영.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5권 2호 (2015.1): 23-48.
  15. 이윤진.양미선.김문정. 2018-2022 육아정책 분석과 과제(I). pp. 1-269.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8.
  16. 이 슬. MTE 추정에 있어서의 도구변수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청구논문, 2011.
  17. 이승재. 보육료.유아학비 지원 확대가 모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9호 (2016.2): 353.
  18. 이채정. 영유아양육지원정책 분석 : 보육료.유아학비 및 가정양육수당 지원을 중심으로.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pp.1-77, 2017.
  19. 장하진.이 옥.백선희. 한국의 보육정책. 공동체, 2015.
  20. 최효미.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경제학과 박사학위청구논문, 2014.
  21. 지방재정365. (http://lofin.mois.go.kr).통합재정수지비율(2019.9.26. 접속).
  22. 통계청. KOSIS (http://kostat.go.kr).주민등록인구현황(2019.9.26. 접속).
  23. 통계청. KOSIS (http://kostat.go.kr).인구동향조사(2019.9.26. 접속).
  24. 통계청. KOSIS (http://kostat.go.kr).인구총조사(2019.9.26. 접속).
  25. 한종석.이영재.홍재화. 보육료 지원정책이 기혼여성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생애주기 모형을 이용한 정량분석. 경제학연구 65권 3호 (2017.9): 5-46. https://doi.org/10.22841/KJES.2017.65.3.001
  26. Andresen, Martin E. "Exploring marginal treatment effects: Flexible estimation using Stata." Stata Journal 18(1) (March 2018): 118-158. https://doi.org/10.1177/1536867X1801800108
  27. Bjorklund, A., and Moffitt, R. "The estimation of wage gains and welfare gains in self-selection model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9(1) (February 1987): 42-49. https://doi.org/10.2307/1937899
  28. Brinch, C. N., Mogstad, M., and Wiswall, M. "Beyond LATE with a discrete instrument."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25(4) (June 2017): 985-1039. https://doi.org/10.1086/692712
  29. Cornelissen, T., Dustmann, C., Raute, A., and Schonberg, U. "From LATE to MTE: Alternative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policy interventions." Labour Economics 41 (August 2016): 47-60. https://doi.org/10.1016/j.labeco.2016.06.004
  30. Cornelissen, T., Dustmann, C., Raute, A., and Schonberg, U. "Who benefits from universal child care? Estimating marginal returns to early child care attendanc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26(6) (December 2018): 2356-2409. https://doi.org/10.1086/699979
  31. Frank, H. "Why Women Earn Less: The Theory and Estimation of Differential Overqualifica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68(3) (June 1978): 360-373.
  32. Hanson, S. and Pratt, G. "Job Search and the Occupational Segregation of Women."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1(2) (June 1991): 229-253. https://doi.org/10.1111/j.1467-8306.1991.tb01688.x
  33. Heckman, J. J., and Vytlacil, E. J. "Local instrumental variables and latent variable models for identifying and bounding treatment effec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6 (April 1999): 4730-4734. https://doi.org/10.1073/pnas.96.8.4730
  34. Heckman, J. J., and Vytlacil, E. J. "Local instrumental variables." In Nonlinear Statistical Modeling: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International Symposium in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Essays in Honor of Takeshi Amemiya,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February 2001): 1-46.
  35. Heckman, J. J., and Vytlacil, E. J. "Structural equations, treatment effects, and econometric polict evaluation." Econometrica 73(3) (April 2005): 669-738. https://doi.org/10.1111/j.1468-0262.2005.00594.x
  36. Yamaguchi, S., Asai, Y., and Kambayashi, R. "Effects of subsidized childcare on motehrs' labor supply under a rationing mechanism." Labour Economics 55 (December 2018): 1-17. https://doi.org/10.1016/j.labeco.2018.09.002
  37. YoungWook Lee. "Effects of a universal childcare subsidy on mothers' time allocation."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38(1) (February 2016): 1-22. https://doi.org/10.23895/KDIJEP.2016.38.1.1